예로부터 우리 나라나·중국에서는 관례(冠禮) 때 성인으로서 붙여 주는 별명으로 어느 정도 글을 아는 사람은 성명 외에 子와 號를
가졌는데, 이는 2가지 이상의 이름 가지기를 좋아하는 복명속(複名俗) 또는 실제의 이름 부르기를 꺼리는 실명경피속(實名敬避俗)에서 유래하였으며,
아호(雅號)는 예술인이나 학자들의 ‘호’, ‘별호’를 아름답게 일컫는 말입니다.
|
설명
우리 나라나 중국에서 관례(冠禮) 때 성인으로서 붙여 주는 별명으러서, 예로부터 중국이나 우리 나라에서는 어느 정도 글을 아는
사람은 성명 외에 자와 호를 가졌는데, 이는 2가지 이상의 이름 가지기를 좋아하는 복명속(複名俗) 또는 실제의 이름 부르기를 꺼리는
실명경피속(實名敬避俗)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따라서, 윗사람에게는 자신을 실명으로 표현하지만, 다른 사람을 부를 때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는
자를 통상 불렀으며, 부모·스승이 자녀·제자를 부를 때는 거의 실명을 사용하였습니다. 《예기(禮記)》에 의하면 남자 20세, 여자 15세가 되면
자가 붙는데, 여자의 자에는 자매의 순서를 나타내는 백(伯)·중(仲)·숙(叔)·계(季)를 붙이고, 남자는 그 실명과 의미상 관련이 있는 자를
붙여 그 위에 백·중·숙·계나 자(子)를 붙이는 일이 많았다고 전합니다. 그러나 한국에서 여자는 자를 거의 가지지 않았고, 남자의 자에도
형제간의 차례를 나타내거나 같은 글자를 넣어 짓는 일이 흔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옛 문헌에는 실명이 아닌 자로 지칭한 사례가 많아 자를
중요시 했다는 것은 알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아호로 사용 중인 학산(鶴山)은 제가 어려서 꿈을 키우던
초등학교가 소재 하고 있는 동산의 이름임과 동시에 당시 제가 살던 마을의 이름이기도 하지만, 후에 항공장교로 조종사 생활을 했던 연과 관계가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 하나의 별명인 서인(徐仁)은 일제 침략기에 김좌진 장군과 함께 만주 청산리 전투에서 지휘관을 하셨고,
광복 후 초대 국무총리를 지내신 이범석 장군께서 제가 중학교 시절에 지어주신 이름이라 이 또한 제겐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요약 해 설명을 드린다면, 저의 본명인 서정후(徐正厚)는 춘부장(春府丈)께서 지어 주셨고, 서인(徐仁)은 이범석 장군께서, 그리고
학산(鶴山)은 제가 좋아 해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 참고로 말씀드리면, 제 블로그는 그야말로 시골 작은 초막[草幕; a
straw-thatched hut]의 사랑[舍廊]채 정도의 작은 공간을 채우는 노력을 통해서라도 찾는 분들에게 무엇인가 의미를 전하면서
보탬이 되고 자 합니다.
'Free Opin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역사가 있으면 그 나라가 반드시 흥기하니라 (0) | 2005.08.03 |
---|---|
관계(關係) 및 관련((關聯,·關連)의 의미 (0) | 2005.08.03 |
한국인이 자랑스러웠던 순간 (0) | 2005.08.03 |
빌리 그레이엄 목사 설교를 듣고 (0) | 2005.08.03 |
kbs, mbc 상대 소송준비 (0) | 200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