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歷史. 文化參考

[스크랩] 고구려관련 석박사학위 논문

鶴山 徐 仁 2005. 7. 31. 12:05

고구려 전공 박사학위
  
  1. 진홍섭, 「三國時代 고구려 미술이 백제, 신라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1974, 149p
  2. 박성봉, 「高句麗의 南進發展에 관한 연구 - 특히 好太왕期까지의 「廣開土境」의 성격을 중심으로 -」, 慶熙大, 1979, 157p
  3. 김광수, 「高句麗-古代-集權國家의 成立에 관한 硏究」, 연세대 대학원, 1984, 225p
  4. 김문경, 「唐 高句麗遺民 과 新羅僑民」, 연세대 대학원, 1984
  5. 박종대, 「廣開土王陵碑의 硏究와 그 東向分析」, 慶熙大 大學院, 1988, 207p
  6. 김정호,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과 사회계층」, 淑明女大 大學院, 1989
  7. 서영수, 「광개토대왕릉비 연구 - 정복기사를 중심으로 -, 동국대 대학원, 1991
  8. 공석구, 「高句麗의 領域擴張에 대한 硏究 : 四世紀를 中心으로」, 忠南大 大學院 1991, 184p
  9. 윤명철, 「高句麗 海洋交涉史 연구」, 成均館大 大學院, 1994, 305p
  10. 금경숙, 「고구려 전기의 정치제도 연구」, 高麗大 大學院, 1995, 168p
  11. 전혜숙, 「고구려 고분벽화의 조형적 특성과 복식의 표현 연구」, 世宗大 大學院, 1995, 106p
  12. 임기환, 「고구려 집권체제 성립과정의 연구」, 慶熙大 大學院, 1995, 259p
  13. 여호규, 「1-4세기 고구려 政治體制 연구」, 서울大 大學院, 1997, 245p
  14. 김현숙, 「高句麗 地方統治體制 硏究」, 慶北大 大學院, 1997, 219p
  15. 박경철, 「고구려의 국가형성 연구」, 高麗大 大學院, 1997, 275p
  16.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 내세관 표현을 중심으로」, 서울大 大學院, 1997, 374p
  17. 한상호, 「고구려 전통신앙 연구」, 연변대 대학원, 1998
  18. 고재휘,「高句麗 前期 中央官制와 地方統治 制度」, 延邊大 대학원, 1998
  19. 김일권, 「古代 中國과 韓國의 天文思想 硏究 : 漢唐代 祭天 儀禮와 高句麗 古墳壁畵의 天文圖를 중심으로」, 서울大 大學院, 1999, 384p
  20. 최종택, 「고구려 토기 연구」, 서울大 大學院, 1999, 147p
  21. 노태돈, 「高句麗 政治史 硏究」, 서울大 大學院, 1999, 367p
  22. 이애주, 「고구려 춤의 상징체계」, 서울대 대학원, 1999, 122p
  23. 강현숙, 「고구려 고분 연구」, 서울대 대학원, 2000, 247p
  24. 서일범, 「북한지역 고구려산성 연구」, 단국대 대학원, 2000, 232p
  25. 임찬경, 「高句麗 官制 硏究」, 延邊大 대학원, 2000
  26. 이인영,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지명의 연구 :일본어와 비교를 위한 전제」, 단국대 대학원, 2001, 129p
  27. 박아림, 「무용총: 동아시아 고분 미술에서 본 고구려 고분 벽화(Tomb of the Dancers: Koguryo Tombs in East Asian Funerary Art)」, Univ. of pennsylvania, 2002
  28. 강선, 「고구려와 북방민족의 관계 연구:선비ㆍ거란ㆍ유연ㆍ돌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대 대학원, 2003, 153p
  29. 박노석, 「고구려 초기의 영토 변천 연구」, 전북대 대학원, 2003, 134p
  30. 이성제, 「5-6세기 고구려의 서방정책 연구 : 북조와의 대립과 공존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강대 대학원, 2003, 189p
  31. 정완진,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 서울대 대학원, 2003
  32. 신지현, 「고대 한국인의 얼굴 특징과 화장에 관한 연구 : 고구려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중앙대 대학원, 2003, 166p
  


  고구려 전공 석사학위
  
  1. 한동섭, 「고구려 자기의 역사적 고찰과 기형의 紋樣에 對해서」, 서울대, 1958
  2. 방선주, 「高句麗上代 傳說의 硏究 : 特히 맥족원류와 關聯하여」, 고려대, 1962
  3. 이윤용, 「高句麗의 五部族에 對한 硏究」, 부산대, 1963
  4. 전준자, 「高句麗古墳壁畵의 硏究」, 홍익대, 1968
  5. 고영실, 「高句麗 古墳壁畵中 人物畵에 대한 類型性의 硏究」, 서울대 대학원, 1976
  6. 문상종, 「광개토왕릉비 무훈기사의 구성체계와 서술방식」, 동아대 대학원, 2000, 54p
  7. 변진의, 「Egypt와 고구려의 분묘벽화에 나타난 시각形式의 比較 硏究 : 人物畵 를 中心으로」, 梨花女大 敎育大學院, 1979, 68p
  8. 유송옥,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1980, 121p
  9. 권경애, 「廣開土王陵碑文解釋의 再整理 - 辛卯年 記事의 解釋을 中心으로 -」, 고려대 교육대학원, 1980, 64p
  10. 서영대, 「高句麗 平壤遷都의 背景:王權强化 過程과 관련하여」, 서울大, 1980
  11. 김태일, 「고구려의 도서발달에 대한 제 측면고찰 : 금석문교육종교적 측면을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 1981
  12. 장준식, 「高句麗 國原城治趾에 관한 硏究」, 단국대 대학원, 106p
  13. 임명순, 「고구려 문화에 끼친 북방아세아의 영향 : 特히 鳥羽揷冠을 을 중심으로」, 동국대, 1982, 87p
  14. 김연호, 「朱蒙이야기의 史的展開와 그 意味」, 고려대 대학원, 1983
  15. 탁봉심, 「“東明王篇”에 나타난 李奎報의 歷史意識」, 이화여대 대학원, 1983, 61p
  16. 공석구, 「高句麗의 遼東進出史 硏究 : 高句麗와 慕容氏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충남대 대학원, 1983, 72p
  17. 백선용, 「강원도 춘성군 고구려식 석실고분 에서 출토된 고인돌 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부산대, 1984
  18. 김영희, 「古墳壁畵에 表現된 服飾形態의 比較硏究 : 高句麗 古墳과 高松塚(다까마쓰총)을 中心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1984, 83p
  19. 염윤수, 「中原 高句麗碑 小考:비의 건립연대와 고구려의 남하정책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1984, 59p
  20. 김기홍, 「고구려의 성장과 대외교역」, 서울大 대학원, 1984, 80p
  21. 신동진, 「고구려 초기의 혼인체계분석:那의 혈연조직을 중심으로」, 건국대 대학원, 1984, 50p
  22. 권선희, 「高句麗 四神圖의 硏究」, 홍익대 대학원, 1985
  23. 금경숙, 「高句麗의 ꡐ那ꡑ에 關한 硏究」, 高麗大 大學院, 1986, 48p
  24. 왕광석, 「高句麗의 道敎思想에 대한 硏究」, 성균관대 대학원, 1986, 83p
  25. 김진희, 「고구려고분벽화의 복식과 일본 埴輪의 복식 비교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1986
  26. 연민수, 「廣開土王碑와 三國史記에 보이는 倭關係 記事의 檢討」, 東國大 大學院, 1987
  27. 윤일령, 「關彌城位置考:廣開土王碑文,三國史記,大東地志를 바탕으로」, 國民大 大學院, 1987, 106p
  28. 박경철, 「高句麗 軍事行動에 關한 一考察:5-7世紀 高句麗大陸政策과 關聯하여」, 고려대 대학원, 1986, 167p
  29. 조익래, 「高句麗 淸州豪族勢力의 存在形態:高麗社會로의 轉化過程을 中心으로」, 國民大 大學院, 1987, 62p
  30. 김동창, 「高句麗 古墳壁畵에 對한 硏究:繪畵의 發展過程中心으로」, 東國大 敎育大學院, 1987
  31. 이종태, 「高句麗 太祖王系의 登場과 朱蒙國祖意識의 成立」, 國民大 大學院, 1987
  32. 지병목, 「高句麗 成立過程에 관한 考察」, 成均館大 大學院, 1987, 131p
  33. 조창열, 「高句麗 漢文學 硏究」, 忠南大 敎育大學院, 1987
  34. 정운용, 「5~6世紀 高句麗ㆍ新羅의 勢力變遷過程에 대한 일고찰」, 高麗大 大學院, 1987, 91p
  35. 박병태, 「廣開土大王 碑文 硏究」, 慶南大 敎育大學院, 1987, 59p
  36. 노영숙, 「高句麗古墳壁畵에 나타난 人物風俗圖硏究」, 弘益大 大學院, 1987
  37. 조중헌, 「廣開土境好太王碑文의 書體에 對한 硏究」, 慶熙大 敎育大學院, 1988, 131p
  38. 김현숙, 「廣開土王碑를 통해 본 高句麗守墓人의 社會的 性格」, 慶北大 大學院, 1988, 75p
  39. 공상섭, 「高句麗 國民精神에 관한 硏究」, 慶尙大 大學院, 1988, 126p
  40. 전년화, 「高句麗 壁畵古墳에 보이는 墨書銘 硏究:安岳3號墳과 德興里壁畵古墳을 中心으로」, 仁荷大 敎育大學院, 1988, 41p
  41. 전호태, 「5세기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佛敎的 來世觀」, 서울大 大學院, 1989, 83p
  42. 김진희, 「高句麗國號表記의 變遷에 關한 考察」, 嶺南大 敎育大學院, 1989, 42p
  43. 김영수, 「高句麗 初期 對外關係의 性格」,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附屬大學院, 1989, 84p
  44. 강영규, 「金東仁 歷史小說에 나타난 英雄崇拜思想과 高句麗 正統史觀」, 仁荷大 敎育大學院, 1989, 52p
  45. 최혜정,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紋樣과 象徵性에 關한 考察」, 世宗大 大學院, 1989, 76p
  46. 양병룡, 「羅唐戰爭 進行過程에 보이는 高句麗遺民의 對唐抗爭」, 高麗大 大學院, 1989, 49p
  47. 임상도, 「高句麗 平壤遷都에 대한 考察」, 成均館大 敎育大學院, 1989, 68p
  48. 김정수, 「高句麗 古墳壁畵와 에트루스크 古墳壁畵의 비교 연구」, 釜山大 敎育大學院, 1990, 76p
  49. 장경혜, 「高句麗古墳壁畵에 나타난 服飾美의 一 考察」, 嶺南大 大學院, 1990, 38p
  50. 안행국, 「高句麗 土地制度에 관한 연구」, 仁荷大 敎育大學院, 1990, 45p
  51. 임병주, 「新羅花郞道의 敎育思想硏究」, 東國大 敎育大學院, 1990, 177p
  52. 권광칠, 「韓國繪畵에 있어서의 彩色畵 연구 : 高句麗 古墳壁畵 및 高麗佛畵를 중심으로」, 弘益大 敎育大學院, 1990, 62p
  53. 지영섭, 「民畵와 高句麗 古墳壁畵의 造形的 特性 比較 연구」, 中央大 大學院, 1990, 60p
  54. 홍정우, 「高句麗 建國始祖 鄒牟王에 대한 一考」, 漢陽大 敎育大學院, 1990, 73p
  55. 김형신, 「高句麗 建國 傳說의 再檢討 : 기원전 37년 건국설을 중심으로」, 韓國外國語大 敎育大學院, 1990, 62p
  56. 서영일, 「5-6世紀의 高句麗 東南境 고찰」, 檀國大 大學院, 1991, 64p
  57. 강선, 「高句麗 國都 移動에 관한 일고찰」, 淑明女大 大學院, 1991, 66p
  58. 최희수, 「平壤 遷都 이후의 高句麗 地方統治制度」, 西江大 大學院, 1991, 42p
  59. 여호규, 「高句麗 初期 ꡐ那部ꡑ統治體制의 成立과 運營」, 서울大 大學院, 1991, 65p
  60. 장석조, 「高句麗의 對日本交涉에 관한 一考察 : 外交ㆍ軍事的인 面을 중심으로」, 高麗大 敎育大學院, 1991, 58p
  61. 김창래, 「高句麗 四神圖의 象徵性과 造形性에 대한 연구」, 慶熙大 敎育大學院, 1992, 50p
  62. 이정룡, 「高句麗 地名表記 연구 : 末音節 音讀字를 중심으로」, 昌原大 大學院, 1992, 115p
  63. 김미경, 「淵蓋蘇文을 중심으로 살펴 본 高句麗末의 情勢變動」, 淑明女大 大學院, 1992, 54p
  64. 박수전, 「高句麗 古墳壁畵와 朝鮮朝 民畵에 있어서의 四神圖 比較硏究」, 釜山大 大學院, 1992, 57p
  65. 이기숙,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人物風俗圖 연구」, 弘益大 大學院, 1992, 72p
  66. 김선중, 「한국 고분벽화에 관한 고찰 : 고구려 시대를 중심으로」, 仁川大 敎育大學院, 1992, 71p
  67. 김용숙, 「고구려 고분벽화와 민화의 양식적 연계성 연구」, 釜山大 大學院, 1992, 66p
  68. 박연진, 「고구려와 수ㆍ당과의 대결」, 忠南大 敎育大學院, 1993, 26p
  69. 오윤경, 「扶餘初期의 對高句麗 관계」, 國民大 大學院, 1994, 55p
  70. 신을련,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율동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弘益大 大學院, 1994, 35p
  71. 우선정, 「麻立干期 신라의 대고구려 관계와 그 변화」, 慶北大 敎育大學院, 1994, 51p
  72. 남봉우, 「대수당전쟁을 통해 본 고구려의 말갈지배」, 東亞大 敎育大學院, 1994, 74p
  73. 이영미,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 복식」, 明知大 大學院, 1994, 49p
  74. 이신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의 氣運生動과 드로잉(Drawing)에 대한 연구」, 梨花女大 敎育大學院, 1994, 86p
  75. 간수진, 「고구려 고분벽화의 조형분석 및 복원 : 오회분사호묘의 신선도를 중심으로」, 檀國大 大學院, 1994, 93p
  76. 정완진, 「고구려 관모고」, 서울大 大學院, 1994, 105p
  77. 신현규, 「東明型 시조신화 연구」, 中央大 大學院, 1994, 117p
  78. 최종택, 「한강유역 고구려 토기 연구」, 서울大 大學院, 1995, 107p
  79. 김미경, 「고구려의 낙랑ㆍ대방지역 진출과 그 지배형태」, 延世大 大學院, 1995, 75p
  80. 이주연, 「한(漢)과 고구려 무용의 비교 연구 : 유물 및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형태를 중심으로」, 梨花女大 大學院, 1995, 163p
  81. 이수진, 「고구려 무용의 특징에 관한 연구」, 淑明女大 大學院, 1995, 59p
  82. 이동희, 「남한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積石塚에 대한 일고찰」, 成均館大 大學院, 1995, 106p
  83. 윤성용, 「고구려 귀족회의의 성립과정과 그 성격」, 慶北大 大學院, 1995, 59p
  84. 정종태, 「고구려형성과정에 대한 일연구 : 초기 왕권의 성격변화를 중심으로」, 明知大 大學院, 1995, 64p
  85. 박성희, 「고구려 고분벽화의 인물풍속도 연구」, 江原大 大學院, 1995, 104p
  86. 이보혜, 「고구려 末 淵氏政權의 성격」, 梨花女大 大學院, 1995, 64p
  87. 고정림, 「高句麗古墳 天井壁畵에 대한 일연구」, 仁荷大 敎育大學院, 1995, 22p
  88. 김영주, 「고구려 故國原王代의 對前嚥關係」, 國民大 大學院, 1995, 50p
  89. 이부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연구 : 시기별 주요고분을 중심으로」, 東國大 敎育大學院, 1995, 56p
  90. 김창수, 「고구려 고분벽화 속에 나타난 회화적 특성 연구」, 關東大 敎育大學院, 1995, 85p
  91. 김선아,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현대 채색화에 수용 가능한 조형성에 관한 연구」, 慶尙大 大學院, 1995, 74p
  92. 김순식, 「고구려 고분벽화의 색채 연구」, 京畿大 敎育大學院, 1995, 57p
  93. 김경영, 「廣開土王陵碑文에 보이는 '倭'의 實體에 대하여 : 소위 '任那日本府說'과 관련하여」, 韓國外國語大 敎育大學院, 1996, 66p
  94. 이종환, 「高句麗 古墳壁畵에 대한 硏究 : 造形空間을 中心으로」, 仁荷大 敎育大學院, 1996, 87p
  95. 박헌, 「高句麗의 軍事力量과 對 隋ㆍ唐戰爭」, 朝鮮大 敎育大學院, 1996, 46p
  96. 정진희, 「高句麗 古墳壁畵의 天人象 연구」, 東國大 大學院, 1996, 75p
  97. 최영주, 「高句麗 古墳壁畵 四神圖에 나타난 象徵性 硏究」, 檀國大 敎育大學院, 1996, 55p
  98. 장윤진, 「고구려 고분벽화의 예술성 고찰」, 全北大 大學院, 1996, 54p
  99. 최융기, 「高句麗의 古墳壁畵에 보이는 體育」, 漢陽大 大學院, 1996, 45p
  100. 장은영, 「문양을 중심으로 한 高句麗四神圖 연구」, 淑明女大 敎育大學院, 1996, 124p
  101. 주종수, 「고구려 고분벽화의 율동미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韓南大 大學院, 1996, 32p
  102. 이성제, 「4-5세기 高句麗의 樂浪ㆍ帶方故地에 대한 統治와 平壤遷都」, 西江大 大學院, 1996, 55p
  103. 한영화, 「高句麗의 地母神信仰에 관한 硏究 : 母處制와 관련하여」, 成均館大 大學院, 1997, 55p
  104. 김정권, 「고구려 법제사 연구」, 光州大 經商大學院, 1997
  105. 조재희, 「고구려 고분벽화 문양을 응용한 도제 장신구 연구 : 집안 지역을 중심으로」, 梨花女大 디자인大學院, 1997, 80p
  106. 심정순,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무용의 특징 고찰」, 中央大 敎育大學院, 1997, 116p
  107. 노현숙, 「고구려 벽화고분의 天井部에 나타난 圖像 및 文樣 연구」, 嶺南大 敎育大學院, 1997, 106p
  108. 박은경, 「고구려 덕흥리 고분벽화에 반영된 종교사상 : 전실 천정과 현실 벽화를 중심으로」, 仁荷大 大學院, 1997, 81p
  109. 박현정, 「高句麗 古墳璧畵에 나타난 生活風俗圖의 性格 : 墓主 夫婦像을 중심으로」, 梨花女大 大學院, 1997, 72p
  110. 이영옥, 「高句麗 古墳壁畵의 四神圖 연구」, 嶺南大 敎育大學院, 1997, 63p
  111. 신경진, 「高句麗 古墳壁畵의 繪畵的 分析 : 安岳 三號墳을 中心으로」, 朝鮮大 大學院, 1997, 69p
  112. 최용호, 「高句麗의 '部'에 관한 硏究」, 全北大 敎育大學院, 1997, 51p
  113. 김령, 「高句麗 古墳壁畵 硏究」, 大邱大 大學院, 1997, 78p
  114. 정수암, 「高句麗 廣開土境好太王碑文의 書法에 관하여」, 慶州大 大學院, 1998, 117p
  115. 신은영, 「고구려 고분벽화의 현대적 수용 및 응용에 관한 연구」, 高麗大 敎育大學院, 1998, 106p
  116. 박신희, 「高句麗 建國神話에 나타난 人生觀과 世界觀 硏究」, 漢陽大 敎育大學院, 1998, 80p
  117. 박선미, 「고구려 고분벽화와 돈황벽화 수렵도에 나타난 수렵복식에 관한 연구」, 世宗大 大學院, 1998, 73p
  118. 주영선, 「高句麗 古墳壁畵를 土臺로 한 表現 硏究 : 本人 作品을 中心으로」, 誠信女大 大學院, 1998, 30p
  119. 김하진, 「高句麗 古墳壁畵에 그려진 연꽃무늬에 관한 一考察」, 大邱曉星가톨릭大 大學院, 1998, 82p
  120. 최재웅, 「6-7世紀 高句麗의 地方統治制度 : 지방5부의 존재와 기능을 중심으로」, 高麗大 敎育大學院, 1998, 52p
  121. 김희선, 「高句麗 方位部의 成立과 機能」, 서울市立大 大學院, 1998, 63p
  122. 이종림, 「고구려 무덤벽화의 풍속도에 나타난 미의 형식 고찰」, 公州大 敎育大學院, 1998, 73p
  123. 이재희, 「高句麗 古墳壁畵 硏究 : 5세기 古墳壁畵를 中心으로」, 誠信女大 敎育大學院, 1998, 47p
  124. 송현주, 「고구려 와당(瓦當)문양을 응용한 넥타이 직물 디자인 연구」, 梨花女大 디자인大學院, 1998, 72p
  125. 최종복, 「고구려후기의 막리지와 그 성격」, 慶北大 敎育大學院, 1999
  126. 고영희, 「고구려 고분벽화의 신화학적 고찰」, 京畿大 大學院, 1999, 86p
  127. 유현희, 「고구려 '중국대회'의 구성과 기능」, 梨花女大 大學院, 1999, 68p
  128. 시노하라 히로카타, 「중원고구려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국가위상」, 高麗大 大學院, 1999, 76p
  129. 안창현,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장식문양 연구」, 서울여대 대학원, 1999, 114p
  130. 김정아, 「고구려지명어 연구」, 暻園大 大學院, 1999, 81p
  131. 박창열, 「고구려 정릉사지의 건축조영에 관한 복원적 고찰」, 延世大 産業大學院, 1999, 109p
  132. 김봉숙, 「4世紀 高句麗의 中央集權力强化와 體制整備」, 啓明大 大學院, 1999, 67p
  133. 이현아,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飛天像에 대한 硏究」, 大邱曉星가톨릭大 大學院, 1999, 112p
  134. 김락기, 「고구려의 말갈 지배방식에 대한 고찰 : 백산부를 중심으로」, 仁荷大 大學院, 1999
  135. 홍재익, 「고구려시대의 불교사상과 무사활동이 체육에 미치는 영향」, 東國大 敎育大學院, 1999, 38p
  136. 이규복, 「廣開土好太王碑 硏究 : 書體를 中心으로」, 圓光大 大學院, 1999, 80p
  137. 채미영, 「무용총·각저총 색채에 관한 고찰」, 경주대학교 대학원, 1999, 137p
  138. 김의신, 「한국 고분 벽화의 내용과 양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를 중심으로」, 인천대 교육대학원, 2000, 50p
  139. 최은승, 「고구려 고분벽화의 연꽃문양을 응용한 직물디자인 연구」,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2000, 73p
  140. 박영신, 「고구려 고분벽화 이미지 텍스타일 디자인」, 숙명여대 디자인대학원, 2000, 57p
  141. 성하춘, 「동명전승의 연구 :양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 2000, 97p
  142. 조윤경, 「한국 벽화의 형성과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2000, 81p
  143. 임삼규, 「고구려시대 고분벽화를 이용한 금속제 벽장식 연구 :센서를 이용하여」, 서울산업대 산업대학원, 2000, 68p
  144. 김정선, 「고구려 고분벽화 인물상의 복식 연구」, 동아대 대학원, 2000
  145. 오은아,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 무용에 관한 연구」, 청주대 대학원, 2000, 69p
  146. 남선주,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춤에 관한 연구 :신화 해석을 중심으로」, 경성대 교육대학원, 2000, 83p
  147. 이선호, 「고구려 유민사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2000, 82p
  148. 인영숙, 「TV 역사 다큐멘터리 <역사스페셜>의 역사쓰기 방식에 대하여 :밀레니엄 특집 "대-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정복루트를 가다"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2001, 130p
  149. 안영숙, 「고구려 사신계 고분벽화의 음양오행사상」, 숙명여대 대학원, 2001, 65p
  150. 류혜진, 「기방무용의 변천과정 연구 :궁중정재 중심으로」, 세종대 교육대학원, 2001, 84p
  151. 민철희, 「고구려 양원왕ㆍ평원왕대의 정국변화」, 단국대 대학원, 2001, 54p
  152. 최장열, 「한강 북안 고구려 보루의 축조시기와 그 성격」, 서울대 대학원, 2001, 67p
  153. 백종오, 「경기 북부지역 성곽출토 고구려 평기와 연구」, 단국대 대학원, 2001, 160p
  154. 장효정, 「3세기 고구려왕의 평양이거와 왕권강화」, 동국대 대학원, 2001, 100p
  155. 최성수, 「고교 국사교사의 수업준비사례 연구 :고구려사」, 단국대 교육대학원, 2001, 96p
  156. 권혜영, 「북조시대 돈황 석굴벽화와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일반복식의 비교 연구」, 성신여대 대학원, 2001, 110p
  157. 조병기, 「고구려고분벽화의 내세관표현에 관한 연구」, 대구대 대학원, 2001, 36p
  158. 이미영, 「고분벽화와 민화의 비교 분석」, 덕성여대 대학원, 2001, 47p
  159. 류성우, 「발해문화의 고구려적 성격」, 부산대 교육대학원, 2001, 59p
  160. 김동규, 「광개토왕비 건립당시 고구려의 정치적 상황과 건립목적」, 경주대 대학원, 2001
  161. 류치혁, 「광개토호태왕비문 서체의 조형적 특징과 서예사적 위치」, 경주대 대학원, 2001, 171p
  162. 손정국, 「고구려 벽화속에 내재된 사상적 배경과 현대 추상미술에 끼친 영향에 대한 고찰」, 원광대 대학원, 2001, 72p
  163. 김버들,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건축요소에 관한 연구 :일본고대사찰과 비교하여」, 동국대 대학원, 20011, 95p
  164. 권오흠, 「고구려의 대수ㆍ대당 항전」, 경성대 교육대학원, 2002, 44p
  165. 김경국, 「고구려 고분벽화의 조형적 Image를 형상화한 장신구 표현 연구」, 광주대 산업대학원, 2002, 39p
  166. 전윤선, 「‘광개토왕비문’과 ‘고사기’에서의 천하사상」, 충남대 교육대학원, 2002, 59p
  167. 황신나, 「고구려 고분벽화 채색 연구」, 한남대 교육대학원, 2002, 60p
  168. 이경숙, 「고구려 중ㆍ후기 교육제도와 인재선발방식」,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2002, 65p
  169. 장은정, 「5-6세기 고구려 철기제작기법에 대한 일고찰 :한강하류역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2002, 70p
  170. 박은주, 「고구려 고분벽화의 주작을 소재로 한 칠예작품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2002, 64p
  171. 조상현, 「고구려 '유인'의 성격 검토」, 전남대 대학원, 2002, 43p
  172. 김혜은, 「고구려 벽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핸드 니들 펀칭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2002, 85p
  173. 박미애,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생활과 신앙」, 한남대 교육대학원, 2002
  174. 김송정, 「고구려 집안과 평양지역 고분에 표현된 여성들의 헤어스타일 연구」, 성균관대 생활과학대학원, 2002, 71p
  175. 김남희, 「“동국이상국집” ‘동명왕편’에 나타난 고구려 건국신화 분석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2002, 101p
  176. 김동욱, 「고구려의 해양활동과 군사전략 고찰 :고대 중국 수군의 해상침략에 따른 고구려 수군의 대응전술을 중심으로」, 경기대 교육대학원, 2002, 70p
  177. 정수희, 「고구려 고분벽화의 천인상 연구 :비천상과 비선상을 중심으로」, 동아대 대학원, 2002, 111p
  178. 김수민, 「고분벽화 수렵도로 본 고구려 사회상과 정신세계」, 동국대 대학원, 2002, 73p
  179. 허정희, 「안악3호분의 주인공 복식에 관한 연구 :중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아대 대학원, 2002, 58p
  180. 손종배, 「광개토호태왕비를 중심으로 한 고례 연구: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전주대 교육대학원, 2003, 59p
  181. 류은규, 「고구려 고분벽화 삼족오 도상의 특징과 기원」, 서울대 대학원, 2003, 63p
  182. 김대현, 「고구려 초기 사회에서 사냥의 유형과 기능」,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2003, 59p
  183. 정상수, 「고구려 고분벽화와 조선시대 수묵 인물화에 나타난 인물 표현 연구 :안악3호분과 윤두서의 수묵 인물화를 중심으로」, 충북대 대학원, 2003, 65p
  184. 송미화,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 - 한~당대의 삼족오 인식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2003, 43p
  185. 김희정, 「고구려 악기 연구」, 중앙대 대학원, 2003, 98p
  186. 양시은, 「한강유역 고구려토기의 제작기법에 대하여」, 서울대 대학원, 2003, 93p
  187. 정희정,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여자 복식의 고증 제작 연구 -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생활과학대학원, 2003, 112p
  188. 김현아, 「고구려 고분벽화의 조형성 연구 - 일월 문양을 응용한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디자인대학원, 2003, 74p
  189. 조영광, 「5세기 말~6세기 초 고구려의 정치동향」, 경북대 대학원, 2003
  190. 고순덕, 「중학교 미술감상수업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고구려 고분벽화 동영상을 중심으로」, 경상대 교육대학원, 2003, 73p
  191. 배혜영, 「고구려 고분벽화와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미- 중학교 미술과 감상 수업 중심으로」, 국민대 교육대학원, 2003, 60p
  192. 김민아, 「거문고 중주곡 ‘고구려의 여운’의 분석적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2003, 97p
  193. 김영완, 「고구려 건국에 대한 일연구」, 명지대 교육대학원, 2003, 46p
  194. 김지영, 「7세기 고구려의 일본관계」, 숙명여대 대학원, 2003, 41p
  195. 이정빈, 「고구려 초기 제가회의와 군신회의」, 경희대 대학원, 2004, 44p
  196. 육용조, 「고구려 고분벽화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작품제작 중심으로」, 성균관대 디자인대학원, 2004, 94p
  197. 도현미, 「고구려 고분벽화 감상을 통한 수업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 교육대학원, 2004, 52p
  198. 이미현,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남자복식의 양식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2004, 111p


 
가져온 곳: [북경이야기(北京故事)]  글쓴이: 지우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