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Free Opinion

​[사설] 가짜 뉴스 만든 사람들이 국민 세금 쓰며 ‘팩트 체크’했다니

鶴山 徐 仁 2023. 10. 5. 11:11

오피니언 사설

[사설] 가짜 뉴스 만든 사람들이 국민 세금 쓰며 ‘팩트 체크’했다니

조선일보


입력 2023.10.05. 03:12

2021년 서울 양천구 목동 방송회관에서 '팩트체크넷' 출범 간담회가 열리고 있다. 팩트체크넷은 시민과 기자 등 전문가가 협력해 허위 정보를 검증한다는 취지로 방통위 지원하에 만들어진 플랫폼이었다. 하지만 정치 편향성과 객관성 부족 등 비판을 받다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올해 초 자진 해산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 때 가짜 뉴스를 검증하겠다며 국민 세금으로 만든 ‘팩트체크넷’이 올해 초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폐쇄했다고 한다. 팩트체크넷은 한겨레신문과 뉴스타파, KBS, MBC, 미디어오늘 외에 이들과 비슷한 언론·사회단체 인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2020년 이후 예산이 25억원이나 투입됐는데 주무 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와 사전 협의도 없이 해산해 버렸다. 결국 일부의 정치 편향 활동에 세금을 낭비한 꼴이 됐다.

팩트체크넷에 참여한 뉴스타파는 작년 대선 사흘 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건 수사 때 대장동 대출 브로커 조모씨를 만나 커피를 타주고 대장동 사건을 무마했다”는 신학림 전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의 허위 인터뷰를 그대로 보도했다. 터무니없는 가짜 뉴스였다. 신씨는 이 인터뷰 뒤 김만배씨로부터 책 3권 값으로 1억6000만원을 받았다. 신씨와 뉴스타파의 행태는 도저히 언론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당시 KBS와 MBC, YTN, JTBC, 한겨레신문 등은 이 내용을 그대로 받아 크게 보도했다. 이를 계기로 이재명 대표와 민주당은 “대장동은 윤석열 게이트”라고 주장했다. 신씨와 뉴스타파가 주도한 가짜 뉴스 선거 공작에 친야 언론들이 가담한 셈이었다. 이 일로 KBS 등은 방통위에서 중징계를 받았다. 그런데 이런 가짜 뉴스를 만들고 퍼뜨리는 데 앞장섰던 매체의 인사들이 국민 세금으로 가짜 뉴스 잡는다는 팩트체크 조직을 운영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건당 5만~15만원씩의 사례비도 받았다. 팩크체크넷 인사 중엔 김만배로부터 수억 원의 돈을 받은 사람도 있었다.

민간 서울대 팩트체크의 건당 평균 비용이 47만원이었던 반면 팩트체크넷은 1000만원이 훌쩍 넘었다고 한다. 팩트체크 건수도 서울대가 10배가량 많았다. 팩트체크 내용 또한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에 유리한 내용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국가 채무가 문 정부 4년 간 400조가 늘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님’ 식이었다. 팩트 체크의 객관성과 신빙성도 떨어진 것이다. 팩트체크넷은 그동안 자신들이 했던 팩트체크 내용조차 확인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 파렴치한 일이다.

방통위 팩트체크넷 가짜뉴스 문재인 파렴치 관제 언론 뉴스타파 신학림 KBS MBC 정치편향 대선 공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