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國際.經濟 關係

[단독] 탈원전 4년 만에 두산重 원전 수주액 반토막... 생태계 붕괴 가속

鶴山 徐 仁 2021. 9. 15. 13:33

[단독] 탈원전 4년 만에 두산重 원전 수주액 반토막... 생태계 붕괴 가속

 

안준호 기자


입력 2021.09.15 10:36

 

 

지난해 3월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두산중공업 노조 간부 40여 명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일자리가 급감했다며 규탄 집회를 열고 있다./조선일보 DB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국내 원전 산업 붕괴가 가속화하고 있다. 신한울 원전 3·4호기를 비롯한 신규 원전 6기 건설 백지화로 국내 대표 원전 기업인 두산중공업을 비롯해 경남 지역 원전 업체들 일감이 사라져 수주 금액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산중공업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수주한 금액은 문재인 정권 출범 4년 만에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두산중공업 협력 업체들의 수주액도 곤두박질쳤다. 원전 관련 일자리도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15일 국민의힘 윤영석 의원이 한수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이 한수원으로부터 수주한 금액은 지난 2016년 3978억원에서 4년 만인 지난해 1766억원으로 2212억원(56%) 급감했다. 올해 들어서는 8월말까지 두산중공업의 한수원 수주액은 175억원에 그쳤다. 두산중공업의 한수원 계약 금액이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두산중공업이 위치한 창원을 포함한 경남 지역에서 한수원과 공급 계약을 맺어온 56개 기업의 수주 금액도 급전직하했다. 경남 지역 원전 관련 기업들이 2016년 한수원에서 수주한 계약금액은 5465억원에 달했지만, 지난해엔 2051억원으로 3000억원 넘게 줄었다. 올 8월까지는 374억원에 불과했다.

 

발전기자재 전문기업인 A사는 지난 2016년 한수원으로부터 520억원의 계약을 따냈다. 그러나 지난 2019년부터는 아예 수주 실적이 ‘제로(0)′다.

한때는 원전 부품이 가득했던 공장이 텅 비어있다. 경남 창원에 위치한 두산중공업 협력업체는 경영난에 시달리다 결국 지난 1월 매각됐다./김동환 기자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등으로 국내 원전 기업의 줄도산도 이어지고 있다. 윤 의원실에 따르면, 두산중공업과 계약을 맺고 부품을 공급해온 협력업체 수는 지난 2016년 320개에서 지난해 227개로 100개 가까이 줄었다. 두산중공업이 이들 협력업체들과 맺은 계약 건수도 2016년 2786건에서 해마다 줄어 지난해엔 1172건으로 절반 이하로 줄었다.

 

일감이 없다 보니 일자리도 급감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의 원전 관련 인력은 지난 2016년 1857명에서 지난해 1468명으로 줄었고, 올 2월 현재 1193명으로 줄었다. 5년 새 600여명의 사람이 일자리를 잃은 것이다.

 

대기업인 두산중공업이 이 정도이다 보니 중소기업인 두산중공업 협력업체들의 경영난과 직원 감소는 훨씬 더 심각한 상황이다. 경남 지역의 한 원전 업체 관계자는 “정부는 미국과 협력해 원전 수출한다고 하지만, 어느 세월에 수출하겠느냐”며 “언제 될지도 모를 수출 타령보다 중단한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해 숨통이라도 틔워달라”고 하소연했다.

 

문제는 정부가 탈원전 기조를 버리지 않는 한 원전 일감이 더욱 급격히 줄어들 것이란 점이다.

 

한수원의 자체 전망에 따르면, 발주 금액은 지난해 2조5585억원에서 올해 2조1698억원으로 줄고, 2024년엔 1조5379억원으로 쪼그라들 것으로 보인다. 4년 만에 1조원 이상 감소하는 셈이다.

 

윤 의원은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서라도 원전은 필수”라며 “무모한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해 원전 산업 생태계를 다시 살려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