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벌어지는 미중 갈등은 단순히 무역·기술을 둘러싼 대결이 아니라 향후 세계 질서의 주도권을 놓고 벌이는 패권 경쟁이다. 오늘 미중 정상 간 담판에서 휴전이냐, 결전이냐는 일단 판가름이 나겠지만, 휴전에 동의한다고 해서 양측의 전략 경쟁이 수그러들지는 않을 것이다. 지금의 무역·기술 갈등은 조만간 사이버, 바이오, 나아가 군사안보 영역까지 전방위로 이어질 패권 전쟁의 시작에 불과하다.
지금 우리로선 섣불리 한쪽 편을 들 수 없겠지만 마냥 손놓고 기다릴 만큼 한가하지 않다. 문 대통령이 ‘죄수의 딜레마’를 들어 미중에 타협을 촉구했지만 정작 그 사이에 끼어 있는 우리의 딜레마에 대한 해법은 있는지 의문이다. 미중 갈등의 한복판에서 등 터지는 새우 신세가 되지 않기 위해선 장기적인 국가전략 아래 선제적인 외교로 대응해야 한다. 하지만 오히려 우리 외교는 마냥 움츠러들면서 주변으로 내몰리고 있다.
지금 우리로선 섣불리 한쪽 편을 들 수 없겠지만 마냥 손놓고 기다릴 만큼 한가하지 않다. 문 대통령이 ‘죄수의 딜레마’를 들어 미중에 타협을 촉구했지만 정작 그 사이에 끼어 있는 우리의 딜레마에 대한 해법은 있는지 의문이다. 미중 갈등의 한복판에서 등 터지는 새우 신세가 되지 않기 위해선 장기적인 국가전략 아래 선제적인 외교로 대응해야 한다. 하지만 오히려 우리 외교는 마냥 움츠러들면서 주변으로 내몰리고 있다.
주요기사
당장 G20 외교 무대에선 한미일 공조가 미-일-인도 구도로 바뀐 양상이다. 주최국 일본은 한국을 대놓고 홀대하고 있다. 우리 정부가 매달려온 북핵 외교에선 한미 간 이견과 북한의 무시를 불러왔다. 중재 역할을 자처하며 해야 할 선택은 미루고 피하면서 중심을 잃은 탓이 크다. 우리 외교의 토대인 한미동맹을 굳건히 다지면서 적극적인 자세로 외교 영역을 넓혀 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