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버려진 군사시설 33㏊ 복원은 큰 성과"
강찬수 입력 2017.10.07. 06:01 수정 2017.10.07. 07:19
목장과 고랭지 채소밭도 복원 나서야
백두대간은 꼭 지켜야 하는 '보존; 정책
산행 예약제로 등산객 몰리는 것 막아야
정맥은 이용과 보호를 조화시켜 '보전'을
대규모 훼손은 방지, 주민재산권은 인정
주민·지자체의 자발적 참여 유도해야
이처럼 훼손되고 상처를 입은 백두대간과 정맥을 치유하고 복원해서 미래 세대에 물려주는 일이 우리 사회의 과제로 등장했다. 산림·생태전문가들은 "백두대간과 정맥에서 나타나는 침엽수림 감소 등은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한 한반도 생태계의 변화를 나타내는 '바로미터'인 만큼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 이들은 "한반도 생태 축인 백두대간과 정맥을 보호해야 하지만 보호구역 지정 등 정부의 직접적인 규제보다는 지역주민과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보호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글 싣는 순서> ➀백두대간 (향로봉~지리산 천왕봉 701㎞) ➁정맥(상) -한북·한남·낙동·낙남정맥 ➂정맥(하) -한남금북·금북·금남·금남 호남·호남정맥 ➃백두대간과 정맥, 어떻게 보존할 것인가
전북 무주와 경남 거창을 연결하는 국도 37호선의 빼재터널(길이 5.4㎞)이 2013년 10월에 뚫렸다. 또 지난 6월 말 서울양양고속도로에는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과 양양군 서면을 잇는 길이 약 10.96㎞의 인제양양터널이 개통됐다. 이로써 평균 7.8㎞마다 1개소씩 도로가 백두대간을 관통한다. 백두대간과는 달리 특별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한북정맥 등 9개 정맥에는 임도(林道)를 포함해 모두 768개 도로가 관통하고 있다. 평균 2.63㎞ 간격으로 도로가 지나간다.
등산로 침식도 심각한 문제다. 2015년 한국임학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백두대간 등산로 중에서 334개 지점은 심각하게 훼손된 것으로 확인됐다. 등산로 주변 나무의 뿌리가 노출되거나 노폭이 확대되고, 암석이 노출돼 안전사고 발생 위험까지 생기고 있다. 백두대간에서 등산로 노폭이 넓은 곳은 강원도 구룡령~남덕유 구간에 걸쳐 곳곳에서 확인되고 있다.
녹색연합 서재철 전문위원은 “해외에서도 핵심 생태계 보호구역에 등산객을 무방비로 출입시키는 경우는 별로 없다"며 "산행 예약제를 통해 이용객 숫자를 제한하거나, 가이드를 동행시키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산림청은 2025년까지 백두대간 훼손지의 20%를 다시 숲으로 복원할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백두대간 마루금 주변의 버려진 벙커와 막사 등 군부대 시설을 철거하고 숲을 복원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보호 방안 필요 일부 전문가들은 “9개 정맥 마루금 주변도 핵심보호구역이나 완충구역으로 지정해서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국립산림과학원 권진오 박사는 “백두대간은 보존 중심으로, 정맥은 보전(保全)을 중심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두대간은 철저하게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키는 쪽으로 가야하고, 정맥은 생태계의 건전성을 유지하는 한계 내에서 일부 이용이나 활용을 병행토록 허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백두대간과 정맥의 숲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 인위적인 훼손을 막느라고 숲을 그대로 내버려두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이다. 조현제 한국산림생태연구소장 등은 “산림 생태계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무차별적으로 벌목이 진행되면 안 되겠지만, 일정 수준의 숲 가꾸기는 필요하다”며 “간벌 후 나오는 목재도 정리를 잘 해야 산불이나 산사태 예방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백두대간과 정맥의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연자원과 훼손 실태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에서도 조사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백두대간 실태 조사는 2006년부터 시작됐다. 백두대간 701㎞를 5개 권역으로 나눠 1년에 1개 권역씩 동식물상과 백두대간 마루금의 이용 실태, 토지 이용 상황, 훼손지 현황조사 등을 조사하고 있다. 하지만 제한된 조사인력과 예산으로 1년에 100~150㎞를 조사하기 때문에 정밀조사는 일부 구간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 특히 마루금 주변에 대한 조사뿐만 아니라 능선 아래쪽이나 계곡 부분에 대한 생태조사로 범위를 넓혀 나가는 것이 시급하다.
자연자원에 대한 조사뿐만 아니라 인문·사회·문화·역사 자원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조사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강원대 박완근 산림학부 교수 등은 "정맥의 경우 5년에 한 번이라도 조사하려면 1년에 400~500㎞씩 듬성듬성 조사할 수밖에 없다"며 "조사 예산과 연구 인력을 늘리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백두대간과 정맥의 관리 업무가 환경부와 산림청 등 여러 부처로 나뉘어진 만큼 부처간 협력도 중요하다. 현재 백두대간 등 산림의 관리는 산림청 소관이지만, 백두대간이나 정맥에 위치한 국립공원은 환경부가 관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산림청은 산림과 사회·문화 자원 위주로, 환경부는 멸종위기종의 분포나 보호대책 위주로 조사를 하는 등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상지대 관공학부 조우 교수는 "산림청이 백두대간 관리 업무를 맡고는 있지만 담당 인원 자체가 적고,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들처럼 실제 현장에서 관리를 전담하는 직원도 없다"며 "전담 인력을 늘리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Free Opin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향기] 공병호 박사의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경영 할 것인가" (0) | 2017.10.14 |
---|---|
[넷향기] 이요셉 소장의 "소장님 책임지세요, 아니면 이혼입니다." (0) | 2017.10.11 |
[추석 특별 교양 프로그램] 민주주의 4부작 (0) | 2017.10.06 |
"옴 가라지야 사바하" (0) | 2017.10.06 |
추석! (0) | 2017.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