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세상 사람들은 돈을 벌거나 승진하려고 노력한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행복하기 위해서일 것이다. 그러면 돈 벌고 출세하면 자동적으로 행복해지는 것일까? 일전에 모 대기업의 잘나가던 엘리트 임원이 자살하는 사건이 있었다. 그 이유는 그동안 회사에서 승승장구하다가 그가 맡았던 일이 소기의 성과를 이루지 못하여 동료에 비해 좌천당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먹고살기 어려워서가 아니라 자존심이 상하여 자살한 것이다.
▲ 최종찬 전 건설교통부 장관 |
행복은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다. 행복은 자기가 원하는 것에 비해 얼마나 가졌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자기가 가지고 있거나 성취한 것에 대해 어떻게 느끼느냐가 중요하다. 어느 공원에 노() 신사가 우울한 표정으로 앉아 있었다. 옆 사람이 “왜 그러느냐.”고 물어보니 “내 자산이 100만 달러가 되어서 그런다.”고 하였다. “100만 달러나 되는데 왜 그리 슬퍼하느냐.”고 물었더니 “얼마 전에는 1000만 달러였는데 10분의1로 줄어 마음이 아프다.”고 하였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과거 1960∼70년대에 비하면 엄청나게 살기 좋아졌다. 그래서 모두 과거보다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는가?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 이유는 남과 비교하기 때문이다. 부인들이 동창회에 갖다온 후 부부싸움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동안 노력하여 30평 아파트에 자가용도 마련해 기분이 좋았는데 학교시절 나보다 못하다고 생각한 친구가 40평의 아파트에 자기보다 더 큰 차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질적으로는 과거보다 크게 나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결국 남과 비교하면서 우리의 기대 수준이 너무 빠른 속도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우리 국민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성취동기가 크다. 즉, 돈 벌고 출세하여 남보다 나아져야겠다는 의욕이 넘친다. 이와 같은 민족성이 그동안 빠른 경제성장을 이룩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불만을 초래해 사회적 갈등과 불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리가 보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감사와 긍정의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물이 2분의1컵 남았을 때 어떤 사람은 “물이 반밖에 안 남았다.” 하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물이 반이나 남았다.”라고 말한다. 교통사고로 팔이 부러졌을 경우 “재수 없게 나만 왜 교통사고를 당했는가.”라는 사람이 있는 반면, “죽지 않고 팔 부러진 정도로 부상했으니 얼마나 다행인가.”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신발 세일즈맨 두 사람이 아프리카에 시장조사차 가서 본사에 보고했다. 한 사람은 “아무도 신발을 안 신어 신발 팔 가능성이 없습니다.”라고 보고하고, 또 다른 사람은 “현재 아무도 신발을 안 신고 있어 앞으로 시장수요가 무궁무진합니다.”라고 보고했다. 이와 같이 생각하기에 따라 모든 일이 달라진다. 감사와 긍정의 마음을 갖는 것은 특별히 돈을 들이지 않으면서 개인과 우리 사회 모두를 행복하게 할 수 있다.
나는 우리 국민 모두가 감사와 긍정의 생각을 갖도록 국민의식 변화운동을 제안한다. 우선 학교교육부터 감사와 긍정의 마인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초등학교 시절 교통안전 교육은 열심히 받아 모든 국민이 기억하지만 감사와 긍정의 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교육을 받은 기억은 별로 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라고 한다. 현대 사회에서 위장병 등 대부분의 질병은 스트레스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자살과 스트레스 예방에 가장 좋은 치료제는 감사와 긍정의 정신이라고 생각한다.
미국 하버드대학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과목은 행복론이라고 한다. 프랑스 사르코지 대통령도 최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센 교수와 스티글리츠 교수에게 국가 행복지수 개발을 요청했다고 한다. 올해부터는 우리 국민이 모두 감사와 긍정의 마음을 가져 우리 사회가 갈등도 적어지고 행복한 사회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