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고액원서 팔아 ‘흥청망청’

鶴山 徐 仁 2010. 9. 15. 22:16
 
고려·단국·중앙대 등 홍보비 수십억 지출

각급 대학들이 매년 수십억 원씩 벌어들인 입학전형료를 홍보비나 직원들 해외연수비 등으로 흥청망청 허비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입시철만 되면 ‘대학들이 원서 장사한다.’는 비난이 터져나오곤 했으나 그 때마다 “입학 업무 다변화로 전형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둘러대 온 대학들의 입장이 궁색해졌다. 게다가 이런 상황에서도 교과부는 “전형료는 대학의 자율 사항”이라며 방관해 학부모들의 경제적 부담만 부추기고 있다.

15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임해규 의원이 제공한 ‘2010학년도 대입 전형료 수입’ 분석 결과, 전국 국·공·사립대학들이 전형료의 상당 부분을 홍보비 등 불요불급한 용도로 지출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1억 6900만원의 전형로 수입을 올린 고려대의 경우 홍보비로 20억 7000만원을 썼으며, 단국대(15억 5000만원), 중앙대(13억 7000만원), 성균관대(11억 3000만원), 한양대(10억 8000만원) 등 서울지역 주요 사립대 대부분이 거액을 홍보비로 지출했다. 세부 지출목록을 공개한 국립대도 규모는 작지만 입시 관계자의 해외 연수비(경북대·750만원)나 연료비(서울대·4900만원) 등으로 지출하기도 했다.

임 의원은 “입시 업무 외에 프린터 구입, 직원 연수, 언론 광고비는 물론 교실 난방비, 전화요금까지 전형료 지출항목에 포함돼 있다.”면서 “홍보는 대학 고유의 업무인데도 홍보비·연수비까지 수험생들에게 부담시키는 것은 수익자 부담원칙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시민단체들도 정부가 전형료에 대한 관리규정을 만들어 직접 감독에 나서야 폭리 논란이 사라질 것이라며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참여연대 이진선 간사는 “(사립대는) 전형료 용처에 대한 규정이 아예 없어 입시 관련 인건비나 홍보비가 어떻게 쓰였는지 확인할 방법조차 없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한 사립고의 고3 담임교사는 “대학이 수험생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1차 합격자를 부풀리거나 학교 간 중복지원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전형료 장사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게 사실 아니냐.”면서 “우리 반에도 전형료 부담 때문에 응시를 망설이는 학생이 여럿”이라고 말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9-16  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