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對北 관련 자료

광복~한국전쟁 희귀 북한사진 공개

鶴山 徐 仁 2009. 11. 17. 10:11

광복 이후 한국전쟁 때까지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상 등을 촬영희귀 사진첩 3권이 공개됐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16일 이선근 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정문연·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신)이 한국전쟁 중인 1950년 10월, 평양에서 입수한 사진첩 3권분량의 북한 사진 1062점을 공개했다. 이 사진첩은 당시 북한 문화선전성에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한 권의 표지에는 ‘8·15해방 4주년 기념 사진첩’이란 제목이 붙어 있다. 공개된 사진 대다수는 이미 미군이 보유한 자료이나, 일부 희귀 사진이 포함돼 있다. 사진마다 북측의 설명이 수록돼 있어 당시 상황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한 점이 눈에 띈다.

▲ 1948년 7월8일 북조선 인민회의 제5차 회의에서 김두봉 최고인민회의 의장이 당시까지 사용하던 태극기를 내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기(인공기)를 올리고 있다. 북한은 이 회의에서 태극기와 애국가를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 1948년 5월 남북 정당사회단체 연석회의에서 채택된 남북공동성명에 서명하는 김규식 선생.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 김일성 주석의 젊은 시절 모습.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1948년 7월8일 북조선 인민회의 제5차 회의에서 김두봉 최고인민회의 의장이 당시까지 사용하던 태극기를 내리고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기(인공기)를 올리는 사진, 1948년 5월 ‘남북 정당사회단체 연석회의’에서 채택된 남북공동성명에 김규식 선생이 서명하는 장면 등은 일반에 잘 알려지지 않은 사진들이다. 또 김일성 주석의 젊은 시절 모습, 평양 시민이 김일성과 스탈린의 초상을 들고 행진하는 장면 등도 포함돼 있다.

역사학자로 한국전쟁 당시 국군 정훈감이었던 이 전 원장은 1978년 정문연 초대 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사진 자료들을 연구원에 기증했다. 그러나 남북 대립과 이념 갈등 등으로 공개되지 못하다 30년 만에 빛을 보게 됐다. 김정배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은 “그동안 북한 자료를 함부로 공개할 수 없었는데 국민 의식 수준의 향상에 맞춰 자료를 공개하기로 했다.”며 “위로는 김일성 주석부터 아래로는 일반 국민까지 해방공간의 면모가 담겨 있는 자료”라고 설명했다.

김학준 전 한국정치학회 회장은 “북한의 문서와 사진 자료 등은 미군이 거의 다 수집해 간 걸로 알려졌는데 이번 자료는 우리 국군도 자료 수집에 손 놓고 있지 않았다는 걸 보여주는 증거”라면서 “앞으로 미국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인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말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09-11-17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