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科學. 硏究分野

나로호 발사 중단

鶴山 徐 仁 2009. 8. 23. 09:37

현명한 사람(Wise People) 님께 드리는 와플레터 서비스입니다



나로호 발사 중단
 

  •  

    2001년 3월 28일, 인도 동남부 스리하리코타섬의 사티시 다완 우주센터.

  • 인도가 독자 개발한 지구정지궤도 위성 발사체(GSLV)의 첫 발사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

  • "…6, 5, 4, 3, 2, 1." 중계방송을 하던 아나운서는 흥분한 목소리로 외쳤다.

  •  "드디어 로켓이 발사됐습니다." 그러나 로켓은 발사대에 그대로 서 있었다.

  • 발사 1초 전 로켓의 액체연료 부스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감지돼

  • 발사가 자동 중단된 것이었다.

  •  

  • ▶ 이 로켓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느라 18일 뒤에야 발사됐다.

  • 2007년 9월엔 성능이 더 향상된 'GSLV-F04'가 발사 15초를 남기고 카운트다운이 중단되기도 했다.

  • 이때는 곧바로 대처가 가능해 두 시간 뒤 발사에 성공했다.

  • 로켓 발사가 마지막 순간에 중단되는 것은 그리 드물지 않은 일이다.

  • 1997년 미국 NASA의 토성탐사선 카시니호가 탑재 컴퓨터 이상과 지상장비 결함으로

  • 발사 5분 전 중단된 것이 대표적이다.

  •  


  •  ▶ 미국 우주왕복선 엔데버호는 지난 6월 13일 발사 예정이었으나 연료가 새는 문제가 발견돼

    6월 17일로 연기됐고, 같은 문제로 7월 11일로 다시 연기됐다.

    그 뒤로도 기상 악화로 세 차례 더 연기된 끝에 7월 15일 발사됐다.

    로켓에 사소한 결함이라도 발견되거나 기상 조건이 맞지 않으면 발사 직전이라도

    중단시키는 것이 당연하다. 로켓 발사 실패로 막대한 개발비용을 날려버리고,

    자칫 대형 참사가 벌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 ▶ 우크라이나와 기술 협력을 하며 우주발사체를 개발해온 브라질은

  • 1997년과 1999년 로켓 발사에 실패했다.

  • 2003년엔 발사 사흘을 앞두고 사전 테스트를 하다 로켓이 폭발해

  • 과학·기술자 21명이 숨지고 20여명이 부상했다.

  • 이 사고로 브라질은 우주로켓 관련 고급기술자의 3분의 1을 잃었고

  • 우주개발이 사실상 중단되다시피 했다.

  • 중국에서도 창정(長征) 로켓이 발사 직후 인근 마을에 추락해 많은 인명피해를 낸 사고가 있었다.

  •  

  • ▶ 한국의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가 예정시간 7분56초를 남기고 중단된 데에

  • 많은 국민이 아쉬워하고 있다.

  • 정부는 "발사체 내 밸브를 작동시키는 고압탱크의 압력을 측정하는 소프트웨어에 오류가 있었다"고

  • 설명했다. 나로호 발사가 계속 늦춰지고 있는 것 자체는 그리 실망할 일이 아니다.

  • 다만 우리 힘으로 그 원인을 밝혀내고 해결할 수 있느냐가 문제다.

  • 우리 역량으로는 아직 독자적 우주개발을 꿈꾸기 어려운 현실이 안타깝다는 얘기다.

     

  •  - 김기천 논설위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