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09월 02일
잉글버트 험퍼딩크(Engelbert Humperdinck)
잉글버트 험퍼딩크가 "Release Me"라는 곡으로 전 세계를 강타한 것이 1967년 초였으니 그가 MOR(Middle of the Road)황제로 군림하기 시작한지 올해로 만 40년이 되었다. 물론 쇼 비즈니스계에 발을 들여 놓은 것은 그 훨씬 이전이지만 서른이 넘어서야 그는 진가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Arnold George Dorsey(본명)는 1936년 영국령 인도의 마드라스에서, 영국인 아버지와 인도인 어머니 사이의 10남매 가운데 막내로 태어났다. 10살 때 가족과 함께 본국인 영국으로 이주했고, 학교 졸업 후 엔지니어 일을 했으나 타고난 끼를 버리지 못해 Gerry Dorsey라는 이름으로 쇼 비즈니스계에 뛰어 들었다.
그러나 무명 시절은 생각보다 길었다. 신경쇠약에까지 이르는 좌절을 겪으면서 군복무까지 마치고 난 다음에야 당시의 거물 제작자인 고든 밀스(Gordon Mills)를 만났고 그때부터 그는 빛을 보기 시작했다. 새로운 출발을 하자는 의미에서 밀스의 조언에 따라 그때까지의 이름을 버리고 ‘잉글버트 험퍼딩크’라는 예명을 채택하게 된다. 알다시피 이 이름은 오페라 『헨젤과 그레텔』을 작곡한 독일의 클라식 작곡가 훔페르딩크(Engelbert Humperdinck)에게서 따온 것이다.
고든 밀스가 길러낸 60년대 영국 팝의 쌍두마차 톰 존스(Tom Jones)와 잉글버트 험퍼딩크는 각기 전혀 다른 매력으로 전 세계 대중음악팬-특히 여성-들을 사로잡았다. 톰 존스가 더할 나위 없이 야성적인 남성성으로 폭발하는 창법을 구사한 반면, 잉글버트 험퍼딩크는 일관된 낭만과 부드러움으로 ‘로망스의 제왕’(King Of Romance) 자리를 40여 년 동안 지켰다.
그는 어떠한 정해진 장르에 자신을 결코 국한시키지 않는 가수지만, 3옥타브 반을 넘나드는 성량 폭으로 모든 곡을 지극히 부드럽게 소화해내는 바람에 어떤 어려운 곡도 자기 식으로 유연하고 쉽게-따라 부르기도 좋게- 만들어 버린다. 그의 앨범은 64장의 골드 앨범과 24장의 플래티넘 앨범을 포함해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1억 5천만장이 넘게 팔렸다.
엄마 쪽 피를 많이 받은 탓인지 인도 혈색이 꽤 짙어 영국인으로 봐서는 이국적 용모의 사람이다. 그의 인도인 분위기 때문에 내 딸아이는 느끼하게 생겼다며 고개를 젓는다.ㅎㅎ 왜 그런 소리를 하는지는 알만하다. 딸애가 말하는 종류의 느끼함은 사실 나도 결코 좋아하지 않지만, 잉글버트 험퍼딩크만은 절대적으로 예외다.
그 외에도 나는 인도계(영국령 카리브 해 출신) 영국작가 나이폴(V. S. Naipaul)과 팔레스타인 출신의 영문학자(&문화이론가)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를 ‘무척’의 정도를 넘어 말할 수 없이 좋아한다. 1935년생인 사이드는 백혈병으로 2003년 안타깝게 작고했고, 1932년생인 나이폴은 아직도 건재하다. 다들 내 아버지 세대의 사람들이지만 나는 그들과 생각을 공유할 수 있음이 너무나 행복하다.
역시 아버지뻘인 잉글버트 험퍼딩크에게 나는 청춘을 저당 잡혔었다. 그를 빼고 나면 내 10대 후반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 사람 목소리에 빠져 밤잠 설치며 정신을 못 차리고 산 세월이 얼마인지 모를 정도다. 나는 그 사람을 지독하게 사랑했다. 노래와 함께, 검고 짙은 그의 눈썹과 구렛나루는 너무나 매력적이었으며, 남달리 큰 손은 마음을 편안하게 했고 넓은 어깨의 상체를 받치는 유난히 긴 다리는 나를 넉 아웃시켰다. 게다가 넘치는 쇼맨십은 엔터테이너로서의 그에게 넋 잃게 만들었다.
보통은 클라식 음악을 편애해도 연주자나 지휘자를 꼼꼼히 가리고, 드물게 구입하는 대중음악의 경우엔 앨범의 양(?)과 질을 엄격히 따지는 편인데, 이안 보스트리지나 잉글버트 험퍼딩크의 노래 같이 대책 없이-무조건적으로- 구입하는 음악들이 간혹 있다. 거의 자신의 드라마를 위해서만 노래했던 중국가수 정소추도 유사한 예다. 이 세 사람은 모두 나로 하여금 식음과 수면을 전폐하게 만든 경험이 있는 사람들인데, 그 중 가장 오래 된 사람이 바로 잉글버트 험퍼딩크다. 이제 잉글버트도 칠순을 훌쩍 넘긴 푸짐한 아저씨(?)가 되어 예전의 섹시함은 찾을 수 없지만, 그와 함께한 추억은 죽을 때까지 내 가슴을 설레게 할 거다.
10대 초반에 할아버지 같은 로렌스 올리비에를 좋아하기 시작한 것을 필두로 아버지 같은 사람들만 사랑하다가 슬슬 큰오빠들로 넘어가더니(정소추, 가브리엘 번 등) 30대가 넘어서야 적당한 연상이나 또래에게 관심이 가기 시작했다. 그들이 게리 시니즈(Gary Sinise), 숀 빈(Sean Bean), 양조위, 나가량, 랄프 파인즈(Ralph Fiennes), 이안 보스트리지 같은 사람들이다. 그런데 나이 마흔을 넘어서고 나니 연하까지 좋아지니 이 주책을 어찌하랴... 이를 테면 맷 데이먼(Matt Damon)이나 데이빗 보레아나즈(David Boreanaz) 같은 남자들 때문에 가슴이 설레는 거다. 급기야 데미 무어가 이해되려고 한다. 이러다가 나중엔 아들 또래를 좋아하게 되는 거 아닌지 모르겠다.>.<
그래도 내 인생에서 잉글버트 험퍼딩크만큼 사랑한, 그리고 사랑할 사람을 찾을 수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내 감성을 소녀에서 어른으로 만들어 준, 내 통속성을 완성시켜 준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를 사랑하면서 내 감정은 점점 여자가 되어 갔다. 그래서 어쩌면 그가 내 진정한 첫사랑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여고동창 중엔 내가 그를 얼마나 좋아했는지 기억하는 친구도 있을지 모르겠다. 그렇게 20대 초반까지 나는 이 남자에게 빠져 살았다.
요 며칠 마음이 극도로 심란했던 탓에 잠시 만사를(삶까지) 놓고 싶을 만큼 그로기 상태에 빠졌다. 이럴 때 옛 애인의 추억이 더욱 절실한 법이다.^^* 전에는 엠파스에 잉글버트 노래가 한 곡도 없더니만, 언제부터인지 상당한 양이 엠파스 배경음악 샾에 풀렸기에 좋아라하며 배경음악을 그의 노래 위주로 바꿨다. 요즘 내 블로그에서 나오는 영어 노래들 대부분이 잉글버트의 음성이다. 그가 부른 거의 모든 노래를 좋아하지만, 지난 30년간 변함없이 가장 좋아하는 곡은 “In Time” 이다. 건지기 힘든 이 곡을 엠파스에서 감사하게도 구해 놨더라. 너무 좋아 숨 넘어 갈 뻔 했다.
유튜브(Youtube)가 생긴 이후로 클라식과 대중음악을 막론하고 주옥같은 (옛)동영상들이 슬그머니 살아 나온다. 좀체 인터넷항해를 할 시간이 없어 유튜브의 보석들도 도통 구경하지 못하는데, 오늘 밤은 모든 걸 포기하고 유튜브의 잉글버트와 함께하고 있다. 기분전환삼아 유튜브에서 잉글버트 험퍼딩크의 옛날 영상을 (오로지 나를 위해) 몇 개 가져왔다. 50대의 영상까지만 가져왔지만, 잉글버트 험퍼딩크는 칠순이 넘은 지금도 내년 초까지 스케줄이 빡빡하게 잡혀 있을 정도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물론 누구나 그렇듯 전성기 때와 비교할 수는 없다.
![](http://pds11.egloos.com/pds/200901/08/95/a0100795_49656a5fdb003.jpg)
(20대의 앳띈 잉글버트 험퍼딩크)
![](http://pds11.egloos.com/pds/200901/08/95/a0100795_49656a6000a41.jpg)
![](http://pds10.egloos.com/pds/200901/08/95/a0100795_49656a60157d0.jpg)
(50대의 사진들; 개인적으로 콧수염은 좋아하지 않지만 '그'라서 봐준다.^^*)
아래는 (나를 위한) Youtube출처의 동영상들이다.
<30대 험퍼딩크의 Old영상>
(어찌 보면 무지 촌스러운 모습인데 난 그 촌스러움이 더 좋다.)
"Dommage, Dommage" (1966) http://youtube.com/watch?v=yMhKojize-s
(이 영상을 볼 수 있으리라곤 상상도 못했다. 세계적 명성을 얻기 직전, 험퍼딩크의 최초 히트곡이기 때문이다.
Oh, I absolutely thank Youtube!!)
“The way it used to be”(1969) http://youtube.com/watch?v=xYLEYm6BWoc
(내가 무지무지 좋아하는 곡이다.)
“Winter world of love”(1969) http://youtube.com/watch?v=D3qcdytbuFQ
(60년대 후반에 나온 최고의 노래들 가운데 하나다.)
“Release Me” (1967) http://youtube.com/watch?v=rCZO9xeYA8g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잉글버트의 첫 대박히트곡)
Dean Martin쇼에 출연한 잉글버트 http://youtube.com/watch?v=HmK1-vpYK_c
(타고난 끼는 어쩔 수 없는 것이지...)
"Am I that easy to forget" http://youtube.com/watch?v=ROkFbJVp_vQ
(이노래 역시 너무 많은 가수의 음성으로 잘 알려졌지만 잉글버트의 음성으로 가장 히트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스키터 데이비스나 짐 리브스의 음성으로도 상당히 친숙하다.)
"When There's no you" http://youtube.com/watch?v=uoVirfKSPus
(노래 부르면서 펼치는 손바닥의 면적을 보면 무서운 세상을 다 가려줄 것 같다.^^*)
"I'm a better man" http://youtube.com/watch?v=4AmH_l-kTo8
(He' s every case's better man, I think.)
"Spanish Eyes" http://www.youtube.com/watch?v=-jRvnhyHgWs
<40 대중반 at Hilton, LasVegas>
1982년 라스베가스 힐튼 호텔에서 열렸던 디너쇼는 그의 섹시한 매력을 만끽할 수 있다.
그 중 몇 곡을 골랐다. (40대 후반을 바라보는 아저씨가 이토록 섹시해도 되나 몰라.^^)
“You make my pants” http://youtube.com/watch?v=H2SZXj5-or0
(그의 대단한 쇼맨십을 여지없이 즐길 수 있는 장면들이다.)
“Endless Love” http://youtube.com/watch?v=iM_WFHmNCnI
(브룩 실즈의 영화, 『끝없는 사랑』을 아마 대학 1학년 때쯤 봤나보다.
라이오넬 리치와 다이아나 로스의 듀엣으로 히트 친 영화 주제가인데
노안이 오기 시작하는 40대 중반 잉글버트의 과장적인 퍼포먼스가 정겹다. 공감하거든~ㅋ
1981년도 동경국제가요제 심사위원으로 왔을 때도 무대에서 안경을 찾더니만...^^*)
“Baby Me baby” http://youtube.com/watch?v=_h991phD0aY
(라스베가스에서의 공연인 만큼 그만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Welcome to my world" http://youtube.com/watch?v=bhfTvaFxxjE
(엘비스 프레슬리의 노래를 부르며 엘비스의 목소리를 흉내내 농담하는 센스^^)
(쇼 끝부분이었는지 자기히트곡을 메들리로 부르는데, 지쳐 보여도 그의 춤이 좋다.
그의 긴 다리가 휘청거리며 리듬을 타기 시작하면 나는 새삼스레 넋 나가 버린다. )
<50-60대 시절의 콘서트 >
(잉글버트는 라이오넬 리치를 비롯한 흑인 가수들과도 꽤 친한 편이다.
요즘 라이오넬은 딸 니콜때문에 속 좀 썩지 않을지...^^)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 http://youtube.com/watch?v=u0uC05o5liE
(우리 세대라면 크리스 크리스토퍼슨의 이 노래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거다.)
“There goes my everything” http://youtube.com/watch?v=-1DL3R3LiKs
(Release Me의 후속타로 1967년에 히트한 곡, 엘비스도 불렀지만 나의 잉글버트와는 잽이 안된다.)
Ray Charles와 함께 부르는 “Release Me” http://youtube.com/watch?v=AGQk18Sqk-A
(앞이 안 보이는 Ray Charles가 피아노 반주를 한다. 다정하게 보이는 두 사람^^
잉글버트는 레이 찰스의 히트곡인 “I can't stop loving you”를 리바이벌하기도 했다.)
“Can't take my eyes of you” http://youtube.com/watch?v=FNiKW-_8pSo
60년대 초반 프랭키 밸리의 음성으로 히트 친 이 노래는 많은 가수들이 리메이크했다.
나는 잉글버트와 모튼 하킷(Morten Harket)의 음성으로 듣는 걸 제일 좋아한다.
" I believe" http://youtube.com/watch?v=8WiS0Fl-rJc
(60대 중반의 아주 묵직해진 아저씨.. 라이오넬과 친해서인지, 아니면 음악의 분위기가 맞아서인지 그의 노래를 꽤 부른다.
이것은 지난 2000년에 있었던 런던 팔라디움Palladium 공연의 실황영상인데,
로얄 필하모니와 공연한 십여년전의 Royal Albert Hall실황과 이 Palladium 실황 DVD는 갖고 있다.^___^*)
결국 나는 이렇게 밤을 새고 말았다.
(2007년 9월 2일 새벽, 버들아씨...)
Engelbert Humperdin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