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히 지역별로 성적을 공개해 오해의 여지가 생길 수 있다.”, “가정환경과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점은 큰 문제다.”
|
한국교육개발원 김양분 조사연구팀장은 이날 “특수한 교육환경과 비평준화 영향, 특목고 유무를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전남 장성군과 경남 거창군을 예로 들었다. 김 팀장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남 장성군에는 J고등학교 하나만 있고 경남 거창군에도 기숙형 자율학교인 KC고등학교가 있어 지역 평균이 크게 높아진 걸로 보인다.”고 했다. 즉 지역 수능 평균점수 차이가 곧 지역 학력 차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실제 이들 학교에는 이 지역 학생들보다는 타지역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두 학교는 모두 기숙사를 운영하고 자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5년 동안 학업성적 향상도가 높아진 경기도 가평군과 동두천시도 기존 학교 외에 국제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가 각각 설립돼 전체 성적을 끌어 올린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김진영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부모의 학력 등 가정이나 지역 환경이 학력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하면 높은 향상도를 보인 중소도시·군 지역의 성취도는 통계 수치 이상으로 높게 평가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부유한 지역이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인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그래도 여전히 지역 규모나 경제력에 따른 학력 격차를 부인할 수는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개인 특성 변인을 포함하지 않은 지역 수능점수 공개로는 정확한 학력 격차의 원인을 보여줄 수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즉 이번에 공개된 수능점수를 곧바로 학교 평가에 활용하는 것은 무리라는 얘기다. 그는 “드러난 점수만으로 학교를 평가하는 것은 학교평가가 아닌 경제력 차이에 따른 학원평가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