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김미라 교수의 부모들을 위한 교육특강] (33) 내 아이, 왜 공부에 재미를

鶴山 徐 仁 2008. 1. 22. 11:38

 

“욕구를 만족시켜 줘야 스스로 공부”

공부하고 싶은 마음은 언제쯤 생길까요. 어느 날 갑자기 아이가 변합니다. 스스로 공부계획을 짜고 계획에 맞춰 공부하기 시작합니다.‘힘드니까 쉬었다 해라.’ 해도 ‘조금만 더 공부하고 쉴게요.’라면서 책상에서 떠나지 않습니다. 반가우면서도 내심 며칠이나 갈까 했더니 ‘게임은 재미없어요, 이렇게 재미있는 공부를 왜 지금까지는 하지 않았을까요.’라고 반문까지 합니다.

어느 집 아이인지 참 부럽습니다. 우리 아이도 이 아이처럼 바뀌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런 환상적인 아이를 찾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실제로 대다수 가정에서는 오늘도 공부를 사이에 두고 부모와 자녀 간에 끝없는 실랑이가 벌어집니다. 밀린 학습지는 산을 이루고, 하라는 공부는 뒷전에 버려두고, 하지 말라는 게임이나 인터넷에만 정신이 팔려 있고, 학원은 가라고 해야만 가고, 숙제나 준비물은 등교 전에나 간신히 생각해내는 아이들이 대다수입니다.

왜 아이들은 이토록 공부하기를 싫어할까요. 때가 되면 밥을 먹으려 하고 때가 되면 잠을 자려고 하는 것처럼 시키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공부를 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래서 부모는 자녀에게 ‘먹는 것처럼, 자는 것처럼 공부 좀 해봐라.’며 질책하곤 합니다. 그렇다면 진짜로 먹는 것과 자는 것은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배가 고파야 음식을 찾고 졸려야 자려고 합니다.‘고파야, 졸려야’, 즉 결핍되어야 그 결핍되는 것을 채우려는 욕구가 생기고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행동합니다.

그림 ‘마슬로(Maslow)의 욕구 위계세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결핍과 그에 따른 욕구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사람에게 중요한 욕구와 욕구 간에도 만족되어야만 하는 순서가 있음을 심리학자인 마슬로는 밝혀냈습니다. 옆 그림은 욕구 위계를 나타낸 것입니다. 마슬로는 인간의 욕구를 7단계로 구분했으며 아랫단계가 만족되어야 윗단계 욕구가 생기는 피라미드 형태를 보인다고 했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물과 음식, 공기, 적절한 기온과 같이 생존에 꼭 필요한 생리적 욕구입니다. 우리는 이 욕구 때문에 먹고, 마시고, 숨쉬며, 너무 덥거나 추운 곳을 피하려고 합니다. 생리적 욕구가 만족되지 않으면 아예 인간 자체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이는 모든 인간이 추구하는 공통적인 욕구입니다. 따라서 배가 고프거나 영양 불균형이 되면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결과입니다.

더 이상 배고프지 않고, 더 이상 목마르지 않게 되면 그 다음 욕구인 안전의 욕구가 생깁니다. 이 단계에서는 신체적·심리적 위험이 주는 불안과 공포로부터 벗어나서 편안하게 지내고 싶어합니다.“공부를 못하면 혼내주겠다.”는 부모나 교사의 말과 표정은 아이 입장에서는 안전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두 번째 단계까지 충족되면 세 번째 욕구인 소속감과 사랑에 대한 욕구로 넘어갑니다. 부모, 형제, 친구와 함께 있고 싶어하는 욕구입니다. 학교에서의 따돌림이나 가정에서의 편애는 이 단계에서의 불만족을 가져옵니다.

네 번째 단계는 의식주 걱정도, 위험도, 내몰림도 없을 때 생기는, 이제는 나 자신의 존재가치를 남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존중의 욕구단계입니다. 내가 얼마나 유능한 존재인지, 내가 얼마나 안정되어 있고 의지할 만한 사람인지를 타인에게 승인받으려는 욕구입니다.

존중의 단계를 지나서 다섯 번째 단계가 되어서야 비로소 생기는 욕구가 앎의 욕구, 즉 지식에의 욕구 및 이해하고 탐구하려고 하는 욕구, 다른 말로 공부의 욕구가 생깁니다. 공부의 욕구가 만족되면 여섯 번째 단계는 공부를 통해서 얻은 정신적 산물에 대한 심미적 욕구인 조화와 질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려고 하는 마음이 생깁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지금까지 욕구 충족을 통해 얻은 내적·외적 결과를 통합해 자아를 실현하려는 욕구가 생깁니다.

오늘도 공부 때문에 아이와 실랑이를 벌이는 부모는 내 아이가 마슬로의 욕구위계에서 어느 단계까지 와 있는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배 고프고, 사랑 고픈 아이에게 공부 고픈 아이가 되라고 강요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기사일자 : 2008-01-15    13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