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순 암기를 많이 하는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문제 해결법입니다. 단순암기식 문제 해결 다음 단계는, 배운 문제라는 것은 알겠는데 그 답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잘 모르겠는 알쏭달쏭한 경우입니다.
이 때는 문제에 대한 답을 지금 당장 알 수는 없지만 조금만 노력하면 자신의 지식의 목록에 그 답이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어느 정도 있습니다. 때문에 기억 속을 탐색해서 후보 답들을 찾아내고 그 중에서 정답을 확인하는 정신 과정을 거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대부분의 학교 문제는 이 단계의 해결법을 요구합니다.
●獨심리학자 쾰러, 침팬지 관찰통해 연구
가장 어려운 문제 해결의 단계는 문제를 본 다음에 아무리 생각해도 해답이 내 지식의 레퍼토리에 들어 있지 않아 답을 찾는 것이 불가능해 보이는 경우입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는 방법을 총동원해도 해답을 찾는 것이 불가능해 보여 포기하려고 할 때쯤, 혹은 포기한 뒤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다음에 해결책이 갑작스럽게 섬광처럼 머리에 떠오를 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답을 찾는 순간, 사람들은 ‘아하!’라는 감탄을 하게 되지요. 더불어 너무나도 자명한 해답을 보면서 내가 왜 진작 이것을 생각해 내지 못했지 하고 놀라기도 합니다.
독일의 심리학자인 쾰러는 침팬지 관찰을 통해 통찰적 문제해결을 연구했습니다.<그림1>은 천장에 바나나가 매달려 있고 바닥에는 몇 개의 상자가 여기 저기 흩어져 있는 상황에 배고픈 침팬지가 있는 모습입니다. 침팬지는 바나나를 따 먹으려고 팔짝팔짝 뜁니다. 그러나 아무리 노력해도 바나나를 딸 수 없자 시무룩하게 우리 구석에 가서 한참 동안 바나나를 노려보며 앉아 있습니다. 그러다 갑자기 <그림2>에서처럼 상자를 바나나 바로 밑으로 옮기기 시작합니다.<그림3>은 상자를 옮긴 후 차곡차곡 쌓고 있는 모습이고 <그림4>는 쌓아 놓은 상자 위에 올라가서 드디어 바나나를 획득하는 모습입니다. 이렇게 문제 해결을 하다니, 침팬지가 참 똑똑하기도 하지요. 쾰러는 이런 문제 해결은 수많은 시행착오을 필요로 하는 문제 해결과는 다른 차원의 것이라는 의미에서 ‘통찰적 문제 해결’ 혹은 ‘아하! 학습’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갑자기 아하! 하고 해결되는 문제는 없어
1940년도에 행한 쾰러의 연구는 통찰적 문제 해결에 관한 고전적인 결과입니다. 이후 심리학자들은 통찰적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학자들이 내린 결론 가운데 하나는 갑작스럽게 ‘아하!’하고 나타나는 통찰적 문제 해결은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상자를 옮기는 것을 과거에 이미 따로 배운, 상자를 쌓은 것을 과거에 이미 따로 배운, 천장에 매달려 있는 바나나를 따는 것을 과거에 이미 따로 배운 침팬지만이 이 모든 것을 한꺼번에 통합적으로 사용하여 통찰적 문제 해결을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따로 배운 것을 통합하지 못하는 침팬지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통찰적 문제 해결에 필요한 요소를 배우지 못한 침팬지가 아하 학습을 보이는 경우는 없습니다. 이후 아동의 연구에서도 유사한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최고의 문제 해결이라고 하는 통찰적 문제 해결을 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각 단계를 이미 배웠어야만 합니다.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아는 아이는 이미 ‘열’을 알 사전 준비가 충분히 이루어진 아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