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아이들은 부모를 좋아하는가?’라는 질문에 가장 흔하게 나오는 답변 가운데 하나는 부모가 아이들의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아이가 살아가는 데 있어 꼭 필요한 먹을 것과 마실 것을 제공하는 것이 그 이유라는 것이지요. 이 설명이 옳다면 아이가 어리면 어릴수록 먹을 것을 주는 사람을 다른 사람에 비해 좋아하겠지요. 정말 그럴까요. 정말 그런지 궁금했던 심리학자가 실험을 했답니다.
위스콘신 대학의 해리 할로(Harry Harlow)의 ‘헝겊엄마 철사엄마’ 실험이지요. 사람을 데리고 실험을 했느냐구요? 물론 아니지요. 사람과 비슷한 점이 많은 새끼 원숭이를 데리고 실험을 했답니다. 옆의 그림이 그 실험 중 일부 장면입니다.
새끼 원숭이에게 두 종류의 엄마를 제공했습니다. 가슴에 우유병을 달고 먹을 것을 주는 철사 엄마와 먹을 것을 주지는 않지만 부드러운 감촉을 주는 헝겊 엄마와 함께 한 우리 속에서 살게 했습니다. 먹을 것 때문에 엄마를 좋아한다면 새끼원숭이는 철사엄마옆에 있어야겠지요. 그러나 새끼원숭이는 먹을 때 외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헝겊 엄마와 함께 보냈고, 좀 더 자라 몸이 커졌을 때는 먹을 때조차도 다리는 헝겊 엄마에게 걸치고, 입만 철사어미의 우유병에 댄 상태로 먹었습니다. 갑작스러운 공포상황에서는 헝겊엄마에게로 도망가 진정이 될 때까지 꼭 붙어 있었지만 철사 엄마와만 살게 한 새끼 원숭이는 공포상황에서도 엄마에게 도망가지 않고 안절부절 우왕좌왕하다가 끝내는 이상 행동까지 보였답니다.
●접촉이 극대화될수록 지적호기심 높아
새끼 원숭이의 우리에 신기한 물건을 넣어주었습니다. 자연 상태의 새끼 원숭이들은 신기한 물건에 바로 달려들어 탐색을 합니다. 그러나 헝겊 엄마이던 철사 엄마이던 부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자란 새끼들은 새롭고 신기한 장난감을 주어도 바로 반응하지 않습니다. 헝겊 엄마의 새끼들은 불안해하며 한참을 뜸을 들이다가 장난감에 조심스럽게 다가갑니다만 철사 엄마의 새끼들은 아무리 재미있는 장난감을 주어도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습니다. 사람으로 치면 지적 호기심을 보이지 않는 것이지요.
왜 굳이 헝겊 엄마냐고요. 사람을 포함해서 대부분의 동물들은 피부 접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행동을 좋아합니다. 아이들을 관찰해보면 많은 어린 아이들이 수건 등을 사용해 자신의 몸을 감싸는 놀이를 좋아하며 어린 시절 사용했던 이불이나 천 인형을 나이가 들어서도 버리지 못하곤 하지요.‘찰리 브라운’이라는 만화에 등장하는 라이너스가 항상 끌고 다니는 것은 책가방이나 운동화가 아니라 어린 시절 덮었던 하늘색 담요이지요.
●생물학적 욕구보다는 접촉위안이 중요
헝겊엄마, 철사 엄마 실험은 아이들이 엄마를 좋아하는 이유가 배고픔이나 갈증과 같은 생물학적 욕구가 아니라 접촉 위안(contact comfort)때문임을 보여주었으며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하는 데 접촉 위안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었답니다.
교육현장에 계신 선생님들께서는 부모-자녀 관계가 좋지 않은 아이가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경우는 낙타가 바늘구멍을 들어가는 것만큼이나 어렵다는 이야기를 하시곤 합니다.
심리학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부모-자녀 관계가 좋아지기 위해서 부모님들이 가장 손쉽게 할 수 있으며 효과도 큰 방법이 바로 접촉 위안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많이 보듬어 준 아이는 정서적 안정과 더불어 부모를 좋아하게 되고, 부모의 칭찬을 받기 위해서 지적 호기심에 날개를 답니다.
그동안 서먹한 관계이다가 갑작스럽게 안아주는 것이 쑥스럽다면 오늘 저녁에는 온 가족이 함께 레슬링을 해보시길 권합니다. 레슬링같은 온몸 겨루기 운동은 접촉 위안을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아이들이 부모에게 쌓인 화를 공식적으로 해소도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공부하라는 백마디 말보다도 한 번 더 보듬어 주는 것이 훨씬 효과적으로 아이들을 공부에 재미 붙이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