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신문이 27일 네이버·네이트·다음 등 3대 포털이 자체 뉴스박스(초기화면 중앙 상단)에 실은 기사(2월28일∼3월21일 평일 15일 기간·뉴스 검색이 가장 많은 오전 9시30분 기준) 1191건을 분석한 결과, 기사 제목을 재편집한 경우가 561건(47.1%)이었다.
제목을 가공하지 않은 경우는 329건(27.6%)에 불과했고, 나머지 301건(25.3%)은 글자 수를 일부 수정했다. 포털별로는 다음이 313건의 기사 가운데 185건(59.1%)으로 가장 많았고, 네이버가 367건 가운데 125건(34.1%)으로 가장 적었다. 서울신문은 원래 제목의 단어나 어순을 바꾸거나 두 제목을 합치는 등 글자수를 조정하는 이상의 손질을 재편집으로 분류했다.
서울신문이 같은 기간 오전 10시30분과 오후 6시 두 차례에 걸쳐 3대 포털의 상위 10개 실시간 인기검색어 900개를 분석한 결과, 연예 분야의 검색어가 524개(58.2%)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유통매체´ 표방 언론법 예외
포털에 오르는 인기검색어의 조작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높다. 선문대 언론광고학부 이연 교수는 “포털의 신문기사 제목 재편집과 검색어 순위조작 가능성은 연말 대선을 앞두고 여론조작 우려를 낳고 있다.”면서 “포털에도 언론에 적용되는 공평성의 원칙이 적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문법과 언론중재법은 언론사가 운영하는 뉴스서비스 사이트는 언론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포털은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하지만 언론의 기능과 역할을 하는 포털은 자신들이 언론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다음의 미디어뉴스팀 임선영 팀장은 “현재 이슈가 되는 문제 등 이용자들이 관심을 끌 만한 것을 주요 뉴스로 시시각각 올리고 있다.”면서 “특정 언론사의 기사를 일부러 많이 선택하지 않으며,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일부 제목의 경우 재편집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의적 뉴스 가공 막아야” 목소리
이에 대해 세명대학 미디어문학부 김기태 교수는 “포털이 가장 중요한 뉴스 접촉 미디어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면서 “신문법 등을 합리적으로 개정해 포털 뉴스에 사회적인 책임을 부과하든가, 포털과 인터넷 미디어만을 다루는 새로운 법안의 제정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언론사와 포털이 저작재산권을 넘겨주는 계약을 맺었더라도, 재편집 행위는 저작물의 내용을 동일하게 유지해야 하는 저작인격권의 침해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언론재단 최광범 기획조정실장은 “미국이나 일본은 신문협회를 중심으로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공동으로 대처해 돌파구를 찾아 왔으나 한국 언론들은 자사이기주의가 강해 결국 포털에 종속됐다.”면서 “포털 스스로가 언론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이상 최소한 자의적인 뉴스 가공은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창구 강혜승기자 window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