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政治.社會 關係

[‘e권력’ 포털 대해부] Google 원칙 들여다보니

鶴山 徐 仁 2007. 3. 27. 20:56

 

‘포털 NO’… 검색창만 띄워 평균 머무는 시간 18분뿐

한국의 포털 시장에 네이버가 있다면 미국에는 구글이 있다. 세계 최대 인터넷 업체인 구글은 ‘포털’이길 거부한다. 구글 관계자는 25일 “우리는 포털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포털이 아니라 검색엔진이라는 얘기다.

구글에 접속하면 첫 화면에는 달랑 검색창만 뜬다. 구글측은 “페이지가 뜨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모든 요인들을 배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글의 검색 결과는 국내 포털들과 다르다. 검색어를 입력하면 상관관계가 높은 순서로 웹 URL(인터넷 주소)만 화면에 나타난다. 주소에 클릭하면 구글이 아닌 제2의 사이트로 이동하는 시스템이다. 구글 관계자는 “이용자들이 구글 사이트에 머무는 시간은 평균 18분”이라며 “원하는 내용을 가장 빠른 시간 안에 찾아서 구글 페이지를 빠져나가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포털이 1시간 넘게 누리꾼들을 붙잡아 놓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짧은 체류시간은 트래픽(웹의 교통량)의 분산을 의미한다. 이용자들이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구글과 다른 인터넷 사이트들 사이에는 상생구조가 이뤄진다. 구글측은 “구글의 이용자가 분산되면 온라인 광고시장도 공유할 수 있다.”면서 “광고수익을 콘텐츠 제작자에게도 배분한다는 게 구글의 정책”이라고 말했다.

야후코리아 관계자는 “통합검색을 하는 곳은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말했다. 야후는 미국이나 다른 국가에서는 구글의 기계적 검색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유독 우리나라에서는 수작업을 한다. 야후 관계자는 “한국 검색 시장은 통합검색이 대세”라며 “문화적 차이 때문인지 다른 나라에서는 직접 검색을 선호하지만, 국내 이용자들은 정리된 정보를 선호해 현지화 정책을 펴고 있다.”고 말했다.

강혜승기자 1fineday@seoul.co.kr

기사일자 : 2007-03-26    3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