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歷史. 文化參考

[스크랩] 제주도 방언

鶴山 徐 仁 2007. 2. 24. 18:44

제주방언

표준어

제주방언

표준어

똥소레기

독수리

송키

채소

도새기

돼지

지실

감자

강생이

강아지

감저

고구마

몽생이

망아지

어욱

억새

빙애기

병아리

태역

잔디

생이

모물

메밀

노리

노루

굴묵낭

느티나무

고냉이

고양이

가라지

강아지풀

꿩마농

산달래

숙대낭

삼나무

도채비운장

산수국

폭낭

팽나무


제 주 방 언

표 준 어

혼저 옵서. 제주도 사투리로 말 호난

어서 오십시오. 제주도 사투리로 말 하니까.

무신 거옌 고람 신디 몰르쿠게?

뭐라고 말하는지 모르겠지요?

게메 마씀, 귀 눈이 왁왁하우다.

글세 말입니다. 귀와 눈이 캄캄합니다.

경해도 고만히 생각호멍 들으민 조금씩 알아집니다.

그래도 가만히 생각하며 들어면 조금씩 알 게 됩니다.

제주도 사투리 촘말로 귀하고 아름다운 보물이우다.

제주도 사투리 정말로 귀하고 아름다운 보물입니다.

펜안 하우꽈? 제주도엔 오난 어떵 하우꽈?

편안(안녕)하십니까? 제주도에 오니 어떠하십니까.

촘말로 좋수다. 공기도 맑고,

정말로 좋습니다. 공기도 맑고,

산이영 바당이영 몬딱 좋은게 마씀.

산이랑 바다랑 모두가 좋습니다.

서울에 갈 때랑 하영 담앙 갑서.

서울에 갈 때는 많이 담아서 가십시오.

게메, 양. 경 해시민 얼마나 좋코 마씀?

그러게 말입니다. 그렇게 했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저기, 물허벅 정 가는 거, 비바리덜 아니꽈?

저기, 물허벅(바구니)지고 가는 거, 처녀들 아닙니까?

맞수다. 비바리도 있고, 넹바리도 있수다.

맞습니다. 처녀도 있고, 시집 간 여자도 있습니다.

비바리덜 곱들락 호고 놀씬하우다 양 !

처녀들도 곱고 날씬하군요 !

안아 보곡 소랑호젠.

안아보고 사랑할려고.

호꼼만 이십서게.

조금만 계십시오.

몽케지 말앙 혼저 오라게.

꾸물대지 말고 어서 오너라.

이 조끄뜨레 오라게.

여기 가까이(옆에) 오너라.

무사 조끄뜨레만 오랜 햄수꽈?

왜 가까이(옆에)만 오라고 하십니까?

호꼼이라도 고치만 있고 싶언.

조금이라도 같이만 잇고 싶어서.

놈덜 웃읍니다.

남들이 웃습니다.

어떵 호느냐? 소랑에는 부치름이 엇나.

어떠하느냐? 사랑네는 부끄러움이 없단다.

조끄뜨레 하기엔 하영멍 당신.

가까이 하기엔 머나먼 당신.

혼저 왕 먹읍서.

어서 와서 먹으십시오.

맨도롱 했수과?

따뜻합니까?

뜻뜻혼 게 먹기 똑 좋았수다.

따끈따끈한 것이 먹기에 꼭 좋았습니다.

맨도롱 홀 때 호로록 들여 싸붑서.

따뜻할 때 후루룩 마셔 버리십시오.

과랑 과랑혼 벳디

쨍쨍한 해볕속에

일 호젠 호난 속았수다.

일 하려고 하니 수고 했습니다.

속을 거 있수과? 호꼼, 또ㅁ은 났수다만,

수고 할 거 있습니까? 조금,땀은 났습니다만,

안트레 들어 왕, 저녁 먹엉 갑서.

안으로 들어 오셔서, 저녁식사 하고 가십시오.


제 주 방 언

표  준  어

혼저옵서.

빨리오세요

하영봅서.

많이보세요

강옵서.

갔다오세요

쉬영갑서.

쉬어서 가세요

이시냐.

있느냐

햄시냐.

하고있느냐

와시냐.

왔느냐

검절매레 안갈꺼과.

김매러 안가실겁니까.

좋쑤과.

좋습니까.

이쑤과.

있습니까.

알았수다.

알았습니다

침대방 허쿠과. 온돌방 쓰쿠과.

침대방 하겠어요? 온돌방 쓰겠어요.

여기서 서울더레 해집주양?

여기서 서울에 전화할 수 있지요?

제주엔 참 종거 만쑤다양,

제주엔 참 좋은 것이 많이 있습니다.

저녁에랑 전복죽 쒀줍서양.

저녁식사때는 전복죽을 쑤어주세요.

어디서 옵데가?

어디서 오셨습니까.

날봅서. 있쑤과.

여보세요. 계십니까?

예. 어서 옵써.

예 어서 오십시요.

얼마나 사쿠꽈.

얼마나 사겠습니까.

많이팝서 다시 오쿠다 양.

많이 파십시오, 다시 오겠습니다.

영 갑서양.

이쪽으로 가십시요.

이거 얼마우꽈.

이거 얼마입니까.

독새기, 놈삐, 콥데사니, 아방

달걀, 무우, 마늘, 아버지

어멍, 비바리

어머니, 처녀

왕갈랑갑서.

와서 나누어 가지고 가세요.

경허지 맙서.

그렇게 하지 마세요

차탕갑서.

차를 타고 가세요.

놀암시냐

놀고 있느냐?

감시냐

가느냐?

오라시냐

오라고 하느냐?

가시냐

갔느냐?

저디 산 것 말이우꽈?

저기 서 있는 것 말입니까?

이거 얼마우꽈.

이거 얼마입니까.

어디 감수꽈

어디 가십니까?

낼 오쿠꽈

내일 오시겠습니까?

골암수꽈

말하십니까?

맛조수다게

맛있습니다.

어느제 오쿠과

언제 오시겠습니까?

놀당 갑서양

놀다가 가십시요.

도르멍 도르멍 가다

뛰면서 뛰어가다.

볕이 과랑과랑 허다

햇볕이 쨍쨍나다.

폭싹 속았수다

매우 수고하셨습니다.


제주사투리 의복

제주사투리 음식

◆ 갈옷 :갈물을 들인 옷
◆ 갈적삼 : 풋감으로 물들인 웃저고리
◆ 갈정벵이(갈중이) : 풋감으로 물들인 바지
◆ 가죽감티 : 가죽으로 만든 모자
◆ 걸렝이 : 아기를 업는 헝겊으로 된 베
◆ 가막창신 : 여자 가죽신의 한 가지
◆ 꼴래: 옷감을 누빈 것(* 꼴래바지· 꼴래저고리· 꼴래옷)
◆ 등지게 : 적삼을 얕잡아 이르는 말
◆ 머리창 : 도투락(머리에 드리는 댕기)
◆ 멘보선창 : 신발을 신지 않은 버선발
◆ 털벙것 : 번립(털로된 모자의 일종)
◆ 소개 : 솜(*소개옷· 소개 이불· 소개 바지)
◆ 소중이 : 지금 팬티에 해당하는 여자의 속옷
◆ 좁새기 : 비올 때 둘러 쓰는 우장
◆ 정당벙거지 : 땡땡이 덩굴로 만든 벙거지
◆ 주록 : 넉마, 또는 누더기 (* 갈주럭)
◆ 중 이 : 여자바지
◆ 적 삼 : 저고리
◆ 중이 적삼 : 고의와 적삼(* 갈중이 적삼)
◆ 창옷 : 홑두루마기
◆ 후리메 : 두루마기
◆ 정벵이 : 바지
◆ 미 녕 : 무명
◆ 인 주 : 인조견
◆ 질 목 : 보선
◆ 대 비 : 양말
◆ 주멩기 : 주머니
◆ 웃고슴 : 옷감
◆ 초 신 : 짚신
◆ 남 신 : 나막신
◆ 몽댕이 : 지팡이
◆ 부시주멩기 : 부시주머니

◆ 걸명 : 제사 끝에 잡귀에 주기 위하여 음식을 조금씩 뗀 것
◆ 고적 : 장례 때 일가에서 부조로 드리는 떡이나 쌀
◆ 돌래떡 : 메밀가루나 쌀가루 등으로 만든 둥글고 납작한 떡
(상가에서 만들어 역군을 대접하였다)
◆ 둠비 : 두부
◆ 비제기 : 비지
◆ 누넹이 : 누룽이, 눌은 밥
◆ 마농지 : 마늘 장아찌
◆ 모몰죽 : 메밀죽(*모몰범벅)
◆ 반지기 : 쌀과 잡곡으로 반반 섞은 밥
◆ 세미떡 : 만두(속에 팥이나 무채 등을 넣어 만든 반달 모양의 떡)
◆ 송애기떡 : 고사떡, 말똥 모양의 떡
◆ 쉰다리 : 밥을 발효시켜 만든 단술의 일종
◆ 오매기 : 술을 빚기 위하여 자조로 만든 떡
◆ 은절미 : 메밀로 만든 네모난 떡
◆ 조펌벅 : 조로 만든 범벅(*조축· 조침떡· 조팝)
◆ 고비리 : 증식(밤에 중간에 먹는 음식)
◆ 체 : 생채소를 간 맞추어 만든 것
◆ 양 석 : 양식
◆ 곤 밥 : 쌀밥
◆ 짐 치 : 김치
◆ 촐 래 : 반찬
◆ 송 키 : 채소
◆ 바릇괴기 : 바닷고기
◆ 식개태물 : 제사음식
◆ 지 름 : 기름
◆ 상외떡 : 밀가루로 만든 빵
◆ 곤 떡 : 쌀떡
◆ 친 떡 : 친떡(시루떡)
◆ 죄기떡 : 밀가루 검칠을 가루로 만든 떡
◆ 전기떡(쟁기떡) : 메밀가루로 만든 떡(빙떡)
◆ 제 펜 : 쌀가루로 만든 찐떡
◆ 솔 펜 : 쌀가루로 만든 반달같은 떡
◆ 절 밴 : 쌀가루로 만든 원형의 떡
◆ 우 찍 : 작은 원형 떡
◆ 중 괘 : 네모난 지진떡
◆ 약 괘 : 직사각형 지진떡
◆ 돗괴기 : 돼지고기

제주사투리 집

신체

◆ 거왕 : 초가집 처마에 새끼를 매기 위하여 달린 나무
◆ 그슨새 : 지붕을 이었던 그을린 띠 (모초)
◆ 도갓집 : 두렛일을 주관하는 집
◆ 통시 : 돼지 우리를 겸한 변소
◆ 마가지 : 오막살이 또는 자기가 사는 집을 낮춰서 이르는 말
◆ 목커리 : 올래 쪽에 지은 곁채
◆ 무뚱 : 처마 밑, 문어귀
◆ 밖거리 : 안채와 맞서게 지은 바깥채
◆ 봉덕 : 부엌 가운데 불을 지치기 위하여 만든 화로의 한 가지
◆ 살채기문 : 싸리짝 문(마소를 막기 위하여 길목에 세웠다)
◆ 올래 : 집으로 들어가는 길
◆ 먼문 : 집으로 들어가는 대문
◆ 입장이 : 초가집 방에 곳곳이 세운 문설주
◆ 이문간 : 대문이 달린 집
◆ 쳇방 : 마루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작은 마루
◆ 풍체 : 차양(풍차의 와음)
◆ 집줄 : 지붕을 얽어매는 줄
◆ 갈래죽 : 흙을 파는 삽의 일종
◆ 가린석 : 밭갈 때 왼손에 잡는 고삐
◆ 거스림 : 파종하기 전 미리 갈아두는 것
◆ 굴 : 논 또는 밭이 기름진 부분
◆ 골갱이 : 호미
◆ 호미 : 낫
◆ 녹대 : 마소에 씌우는 간다개
◆ 눌 : 장만하기 전의 곡식을 쌓아 놓은 낫가리
◆ 노람지 : 낫가리를 덮는 띠로 엮은 이엉
◆ 당그네 : 고무래. 丁字(정자) 모양의 농기구
◆ 도곰 : 길마 밑에 얹는 것
◆ 도로갱이 : 척박하고 작은 밭
◆ 망탱이 : 짚으로 짜서 곡식을 담을 수 있는 망태기
◆ 벤줄레 : 돌을 일구고 땅을 파는 따비의 한 가지
◆ 서 : 곡식을 익기 전에 먹는 것(*서보리· 서먹는다)
◆ 석 : 고삐, 끈(*가달석· 몰석· 쇠석)
◆ 설레 : 논이나 밭을 달룸 또는 기구
◆ 성에 : 장기의 긴 나무
◆ 야주머리 : 장기의 손잡이 나무
◆ 지미 : 조가 말라 죽는 병
◆ 촐바리 : 꼴을 마소에 싣는 것
◆ 동녘거리 : 동녘집
◆ 서녘거리 : 서녘집
◆ 알력거리 : 아랫쪽집
◆ 우녁거리 : 윗쪽집
◆ 올랫거리 : 「올래」와 가까운 집
◆ 모커리 : 모로앉은 집
◆ 쇠막 : 외양간
◆ 불치막 : 거름을 넣어두는 작은집
◆ 막사리(마가지) : 자그마한 집
◆ 칫간(통시, 도통) : 변소
◆ 방상집(궨당집) : 친족집
◆ 식개집 : 제사집
◆ 상 사 : 향사(리사무소)

◆ 가달 : 다리(※가달 춤)
◆ 상가메 : 쌍가마
◆ 간세 터럭 : 팔이나 다리에 난 솜털
◆ 개씹 : 아랫눈썹 다래기(※윗눈 다래기는 개좆)
◆ 꼴랑지 : 꼬리(※꼴랭이· 꼴리)
◆ 귀뚱배기·귀아다리·귀창 : 귀 곁의 뺨
◆ 대맹이·대망생이 : 머리를 낮춰서 이르는 말
◆ 도리버짐·먹는 버즘 : 둥근 버즘
◆ 등굽새 : 곱사등이, 등굽은 사람
◆ 미주 : 새나 짐승의 꽁무니
◆ 발뒤치기 : 발뒤축
◆ 배봉태기 : 배가 불룩한 사람
◆ 안주외기 손가락 : 둘째 손가락
◆ 양지 : 얼굴
◆ 조깽이 : 겨드랑이
◆ 지미 : 죽은 깨
◆ 허운데기 : 머리카락을 낮춰서 이르는 말
◆ 임뎅이(맛박) : 이마
◆ 눈망뎅이(눈까리, 눈퉁이) : 눈
◆ 주둥이(주둥페기, 주둥아리, 아구리) : 입
◆ 토가리(알아구리, 아굴창) : 턱
◆ 볼타가리(빠망뎅이, 볼칫머리) : 뺨
◆ 셋바닥 : 혓바닥
◆ 목암지(야가지, 야개기): 목
◆ 꽝(빼) : 뼈
◆ 폴따시 : 팔뚝
◆ 홀 목 : 팔목
◆ 손꼽데기 : 손
◆ 발꼽데기 : 발
◆ 뱃또롱 : 배꼽
◆ 배때기(벳배기) : 배
◆ 젯 통 : 젖통
◆ 젯고고리 : 젖꼭지
◆ 역갈리 : 엽구리
◆ 갈비때 : 갈비뼈
◆ 오모손이 : 윗배
◆ 잠지패기 : 엉덩이
◆ 허벅지 : 허벅다리
◆ 준둥이 : 허리
◆ 가슴패기 : 가슴
◆ 등머리꽝 : 등뼈
◆ 등어리(등땡이) : 등
◆ 정강머리 : 정강이
◆ 씰 개 : 쓸개
◆ 창 지(배설) : 창자
◆ 북배기(북부기) : 허파

날 짐승, 길 짐승

곡물 및 채소(식물)

◆ 고마독새 : 굴뚝새
◆ 비애기(빙애기) : 병아리
◆ 꿩빙애기 : 꿩병아리
◆ 똥소리기 : 솔개
◆ 밥주리 : 잠자리
◆ 보롬가마귀 : 바람 부는 날 까마귀가 떼지어 날아다님
◆ 순작 : 메추라기
◆ 옥빰 : 올빼미, 부엉이
◆ 걸귀 : 여윈 짐승(특히 돼지가 여윈 것)
◆ 금승 : 소의 한 살(*다간· 사릅· 나릅· 다습· 여습)
◆ 도새기(돗, 도야지) : 돼지(*검은 돗· 어럭돗· 벡돗· 슥돗)
◆ 돗추렴 : 돈을 모아 돼지를 잡아 회식하는 것
◆ 물토새기 : 물을 많이 마시는 개량종 돼지
◆ 몰 : 말(*가라몰· 청초마· 적다몰· 월래몰· 유마· 고라몰· 거을몰· 구렁몰· 태성몰)
◆ 부룩 송아지 : 길을 들이지 않은 숫송아지
◆ 쇠 : 소(*털빛에 따라 : 황쇠· 검은쇠· 검노린쇠· 검은산쇠· 제노린쇠· 어럭쇠· 식쇠)
◆ 족발이 : 비를 걸음하는 말이나 소
◆ 지다리 : 너구리
◆ 태성박이 : 이마가 흰 소
◆ 호달매 : 큰 말, 외래종 말
◆ 짐 싱(짐숭) : 짐승
◆ 부렝이(밭갈쇠) : 숫소
◆ 암 쇠 : 암소
◆ 송애기 : 송아지
◆ 몽생이 : 망아지
◆ 강생이 : 강아지
◆ 고냉이 : 고양이
◆ 베엠(베엄이) : 뱀
◆ 지냉이 : 지네
◆ 두체비(두께비) : 두꺼비
◆ 재 : 매미
◆ 게엄지 : 개미
◆ 쥉이(중이) : 쥐
◆ 생 이 : 새
◆ 노 리 : 노루
◆ 구젱기 : 소라
◆ 겡 이 : 게
◆ 귀 : 성게

◆ 각매기 : 빈 이삭, 알곡이 없는 고갱이
◆ 감비역 : 깜뿌기
◆ 강돌하리 : 조의 품종(*청돌아리· 쉐머리시리· 볼고시리· 마시리· 개발시리· 흔덕시리 등)
◆ 고고리 : 이삭(*나룩고고리· 조코고리)
◆ 고스락 : 가시랭이
◆ 는쟁이 : 메밀 겨(*는쟁이 떡)
◆ 데우리 : 보리밭에 나는 귀리의 일종
◆ 대죽 : 수수의 총칭(*오동대죽· 강낭대죽· 비대죽· 사탕대죽)
◆ 밀체범벅 : 밀기울 범벅(지금 개도 안 먹을 밀기울 범벅을 1950년대는 먹으며 자라났다)
◆ 이석 : 밭에 떠어진 곡식(*보리 이석· 감저 이석· 조 이석)
◆ 길오리 : 이삭이 긴 보리 품종(*살오리· 것보리· 줄보리· 먹보리· 웨보리· 귀우리· 황태우리)
◆ 체 : 복닥 또는 껍질(*나룩체· 모밀체· 보리체· 조체)
◆ 콩각매기 : 콩깍지(*콩고질· 콩주셍이· 콩꺼죽)
◆ 놈삐 : 무
◆ 노몰 : 채소(*노몰동지· 노몰배설· 노몰유래기· 노몰밭)
◆ 송키 : 국을 끊여 먹을 수 있는 푸성거기
◆ 양애 : 해독 해열제로 쓰이는 채소
◆ 재피 : 된장에 놓아 먹거나 자리물회를 만들 때 쓰이는 나뭇잎
◆ 돌굽; 가시나무의 새순(*합순· 멸순)
◆ 제주에 나는 밭검질 : 해바라기쿨(해바라기), 눈비아기쿨(암눈비앗), 숨부기(숨부기나무), 베체기(질경이), 두레기(노란 하늘타리), 게다리쿨(개자리), 물푼채(땅꽈리), 하르비고장(할미꽃), 쉐비늠(쇠비늠), 제한지(바랭이), 소앵이(엉겅퀴), 천상쿨(망초, 개망초), 멩게(청래미 덩굴)
◆ 검 질 : 김
◆ 낭 : 나무
◆ 낭께기 : 나무가지
◆ 낭꺼죽 : 나무껍질
◆ 곡 석 : 곡식
◆ 조코고리 : 조이삭
◆ 강메기 : 알을 털어낸 빈 이삭
◆ 콩꼬질 : 빈 콩깍지, 빈 이삭
◆ 촐 : 꼴
◆ 가시자왈 : 가시덤불
◆ 콥데산이 : 마늘
◆ 패마농 : 파
◆ 쇠우리 : 정구지

농기구 및 세간살이

기 타

◆ 고는대구덕 : 가는 대바구니
◆ 가망이 : 짚으로 짜 곡식을 담는 가마니
◆ 가지깨이 : 바리 두껑
◆ 고소리 : 술을 빚는 기구
◆ 글겡이 : 솔잎이나 검불을 끌어 모으는 갈퀴
◆ 고래 : 맷돌(*고래덕석· 고랫도고리· 고랫방석)
◆ 나대 : 도끼와 같은 것으로 나무를 끊는 데 쓰는 칼
◆ 남방에 : 나무로 만든 방에, 절구
◆ 남송애기 : 흠을 파는 대패
◆ 남자 : 나무로 만든 밥주걱
◆ 낭공쟁이 : 물건을 거는 데 쓰는 나무 못
◆ 낭푼이 :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음식을 담을 수 있는 큰 그릇, 양푼
◆ 대바지 : 물을 긷는 작은 허벅
◆ 대초랭이 : 작은 대막대
◆ 덩드렁 : 짚 두드리는 방춧돌
◆ 던드렁마께 : 큰 목재방망이
◆ 도고리 : 함지(*돗도고리· 고랫도고리)
◆ 동고량 : 대로 만든 도시락 그릇
◆ 뜽돌 : 힘을 겨루는 돌
◆ 돍텅에 : 닭이 알을 낳고 품을 수 있는 보금자리
◆ 마께 : 방망이(*덩드렁 마께· 물마께)
◆ 망데기 : 작은 항아리
◆ 망울 : 마소의 입을 막는 통모양의 그물(*쇠망울· 몰망울)
◆ 무지게 : 헝겊으로 두껍게 만들어 짐질 때 등에 입는 것
◆ 몰가리 : 연자매가 설치 되었던 집
◆ 박새기 : 나무 바가지(*남박새기· 물박새기· 밥박새기)
◆ 보곰지 : 호주머니
◆ 살래 : 식기를 넣는 나무로 만든 장
◆ 살채기 : 마소를 막기 위하여 길 요소요소에 세우는 문
◆ 약도리 : 그물로 엮어 점심 같은 것을 넣어 지게된 것
◆ 옥재기 : 두 흡들이 되
◆ 질구덕 : 물건을 지어 나르는 대바구니
◆ 팡 : 짐을 져 나르다 쉬는 곳
◆ 베 클 : 베틀
◆ 보리클 : 보리훑는 농기구
◆ 도 깨 : 도리깨
◆ 물방애 : 연자방아
◆ 방앳귀 : 방앗대
◆ 푸는체 : 키
◆ 얼맹이 : 대나무로 엮은 굵은 체
◆ 솔 박 : 통나무를 가지고 타원형으로 파낸 되
◆ 되약새기 : 통나무를 가지고 타원형으로 파낸 솔박보다 작은 되
◆ 보름구덕 : 대바구니를 종이나 헝겊으로 바른 것
◆ 도 치 : 도끼
◆ 골갱이 : 호미
◆ 메호미 : 장호미
◆ 서답마께 : 빨래 방망이
◆ 골 채 : 삼태기
◆ 차롱(채반지) : 광주리
◆ 밥당석 : 도시락
◆ 종재기 : 종지
◆ 맥 : 망태기
◆ 등 피 : 등잔
◆ 잠 대 : 쟁기
◆ 솔칵불 : 송진불
◆ 질 메 : 길마(鞍)
◆ 석(가리석) : 소를 매는 밧줄
◆ 배(짐배) : 짐을 질 때 쓰는 밧줄
◆ 질 빵 : 멜빵
◆ 돔 베 : 도마
◆ 부지땡이 : 부지깽이
◆ 노람지(노램이) : 노적을 덮는 띠로 엮은 이엉
◆ 주젱이 : 노람지 위에 덮는 주이엉
◆ 호렝이 : 줄 꼬을 때 쓰는 기구
◆ 비치락 : 빗자루
◆ 고 새 : 가위
◆ 바 농 : 바늘
◆ 꼴 레 : 걸레
◆ 상 삐 : 행주
◆ 도레기 : 도르레

◆ 미리내 : 은하수(제주 방언이 표준어로 된 말)
◆ 비주제 : 갑자기 내리는 소나기 성격의 비
◆ 가름 : 마을 안의 구분된 거리(*동카름·서가름·알가름·웃가름·뱅듸왓 가름)
◆ 서드럭 : 돌이 많은 땅
◆ 머을왓 : 갈아 먹을 수 있는 척박한 드르 밭
◆ 마가지 : 곡식을 심은 뒤 가물어 잡초가 없고 싹이 싱싱하게 돋아 나는 것(*조마가지)
◆ 골래기·골오기 : 쌍둥이
◆ 간세다리 : 게으름뱅이
◆ 게와시 ; 가난하고 의지할 곳이 없는 사람
◆ 걸바시·동녕바치 : 거지
◆ 고지깽이 : 관청의 하인 급사
◆ 공다리 : 무서운 사람(세금을 재촉하는 사람)
◆ 구늉다리 : 어리석은 듯하며 내심에 꾀를 가진 사람
◆ 꼬매기·눈꼬매기 : 눈을 껌벅거리는 사람
◆ 느렁테 : 뜬 밭갈 쇠, 느린 사람
◆ 다둘락이 : 말 더듬는 사람
◆ 다슴아방 : 의붓아버지(*다슴아덜·다슴어멍·다슴애기)
◆ 두루붕이 : 어리석은 사람
◆ 두루외 : 미친 사람 또는 엉뚱한 일을 잘 저지르는 어리석은 사람
◆ 도사리 : 남의 집에 경세를 받고 사는 사람
◆ 버버리 : 벙어리
◆ 봉근 놈(아들) :정실 부인이 아닌 다른 여자와의 사이에 난 자식
◆ 세다드래기 : 혀 고부라진 사람
◆ 숫붕이 : 숫한 사람
◆ 애기업게 : 애기 보는 사람
◆ 야기염쟁이 : 먹는 것을 탐하는 사람 또는 짐승
◆ 얼광대 : 어릿광대, 미치광이
◆ 작산거 : 어리지 않은 아기(*작산놈)
◆ 초라니·촐람생이 : 행동이 빠르고 고약한 사람
◆ 고라불키여 : 말해버리겠다
◆ 데우데겨버려 : 비틀어 버려
◆ 심어오라 : 잡아오라
◆ 요호르긴 두렁청핸 : 요전엔 어떨떨해서
◆ 고르컨 고릅서 : 말하려면 말하세요
◆ 펀찍헤여싱게 : 멀쩡 하였네
◆ 모 실 : 마을, 나들이
◆ 독생기 : 자갈
◆ 돌멩이 : 돌팔매
◆ 외우노다 : 왼쪽 오른쪽
◆ 독새기 : 달걀

동 사

형용사

◆ 가남호다 : 겨냥하다
◆ 가두다 : 숨이 끊어지다
◆ 까불리다 : 까불다
◆ 갈라지다 : 헤어지다
◆ 감장돌다 : 맴돌다
◆ 거념호다 : 보살피다
◆ 거느리 왕상호다 : 남을 비평하다
◆ 꺼덕거리다 : 거드럭거리다
◆ 거을어지다 : 사이가 좋지 않게 되다
◆ 걸러지다 : 거꾸러지다
◆ 걸어지다 : 관계있다
◆ 게먹다 : 질투하다
◆ 게툴루다 : 트림하다
◆ 구승호다 : 불평을 말하다
◆ 기여나다 : 집을 나가다
◆ 고끼다 : 목이나 숨이 막히다
◆ 고목끄다 : 삐다, 점절리다
◆ 골메 드리다 : 번을 갈다
◆ 넹기다 : 넘기다
◆ 녹피다·보미다 : 녹슬다
◆ 눈꼴하다 : 흘기다
◆ 는태다 : 달래어 얻다
◆ 다둘리다 : 재촉하다
◆ 대여들다 : 대들다
◆ 댓구하다 : 반항하여 말대답하다
◆ 덤방하다 : 풀이 무성하다
◆ 도나다 : 도로나다, 절로나다
◆ 도시리다 : 말을 전하다
◆ 동그다 : 물 속에 담그다
◆ 마니털다 : 도리질하다
◆모시다 : 무서워하다
◆ 모끄다 : 마치다
◆ 버물다 : 더러워지다
◆ 버치다 : 겹다
◆ 벨라지다 : 너무 약삭 빠르다
◆ 보새다 : 그릇 따위를 헹구다
◆ 부끄리다 : 부끄러워하다
◆ 붕당거리다 : 투덜거리다
◆ 성노리다 : 마음이 상하다
◆ 소왁거리다 : 쑤시다
◆ 시꾸다 : 꿈에 나타나다
◆ 악살호다 : 보채다
◆ 앙작호다 : 물부짓다
◆ 얼랑쉬호다 : 얼랑거리다
◆ 지꺼지다 : 기뻐하다
◆ 추구리다 : 추기다
◆ 추리다 : 남을 일부러 칭찬하다
◆ 촐싹거리다 : 뽐내다
◆ 쫄리다 : 부대끼다
◆ 조늘다 : 땅에 물이 스미어 젖다

◆ 가들랑하다 : 옷이 짧아 차림새가 이상하게 보이다
◆ 가스승하다 : 모리카락이 일어서는 듯하다
◆ 간드랑하다 : 한가하다
◆ 개미용하다 : 등불이 환하지 아니하다
◆ 거령성하다 : 분수없다, 철없다
◆ 거칠거칠하다 : 사납다, 거칠다
◆ 고리롱하다 : 고린 냄새가 나다
◆ 과랑과랑하다 : 볕이 쨍쨍 쬐인다
◆ 괄괄하다 : 성미가 매우 과격하다
◆ 나쁘다 : 더 먹고 싶은 욕심이 있다
◆ 네큰하다 : 나른하다
◆ 누기다 : 아픈 것이 조금 덜 하다
◆ 는청웃다 : 면모겂다
◆ 는착하다 : 실망하다
◆ 늬울늬울하다 : 속이 메스껍다
◆ 노슬다 : 날카롭다
◆ 또게또게하다 : 힘에 부쳐 불안스러워하다
◆ 동고롯하다 : 둥그스름하다
◆ 두령청하다 : 어리둥절하다
◆ 두리멍청하다 : 어리석다
◆ 어릿두릿하다 : 미친 듯하다
◆ 돌미용하다 : 달콤하다
◆ 당차다 : 부끄러운 줄 모른다
◆ 말깡하다 : 말끔하다, 깨끗하다
◆ 멘드롱하다 : 미지근하다
◆ 몰치락하다 : 포동포동하다
◆ 미럽다 : 미끈하다
◆ 미삭하다 : 흔하다, 많이 쌓여 있다
◆ 모지직하다 : 마음이 굳세다
◆ 몬지락하다 : 부드럽다
◆ 배롱하다 : 등불 따위가 환하지 않다
◆ 보미다 : 낡다, 녹슬다
◆ 봉그랑하다 : 불룩하다
◆ 부치럽다 : 부끄럽다
◆ 보뜨다 : 조금 모자라다
◆ 사노롱하다 : 서늘하다
◆ 썸찍하다 : 무섭다
◆ 숭구망직하다 : 흉직스럽다
◆ 시리시리하다 : 세력이 있어 보인다
◆ 시벅벅하다 : 억세게 보이다
◆ 실팍하다 : 뚱뚱하다
◆ 야분도롯하다 : 남의 것을 탐내는 듯하다
◆ 요망지다 : 똑똑하다, 야무지다
◆ 째그만하다 : 조그마하다
◆ 저프다 : 두렵다, 무섭다
◆ 정광하다 : 늙은이가 정신이 맑다
◆ 패랍다 : 성격이 괴팍하다
◆ 펜두룽하다 : 시치미 떼고 있는 모양을 흉내낸 말

부 사

가옥구조

◆ 가로각산 : 여러 곳으로 갈래갈래 흩어지는 꼴
◆ 간대망으시 : 함부로, 제멋대로
◆ 건성건성 : 대강대강, 세밀하지 못함
◆ 게무로 : 아무리 한들
◆ 고들베 : 연달아
◆ 고봇고봇 : 고분고분
◆ 공글공글 : 불안정하게 흔들거리는 모양
◆ 노시 : 결국
◆ 동동 : 기다리는 모양(*닐 모리 동동)
◆ 듬박이 : 그득이, 넉넉하게
◆ 막상 : 기껏, 고작
◆ 무사 : 왜
◆ 밀껑이 : 아무런 까닭없이
◆ 바락 : 갑자기 성내는 꼴
◆ 밸롱밸롱 : 등불 따위가 깜박거리는 꼴
◆ 버버작작 : 쓸데없는 말을 늘어 놓음
◆ 빙삭빙삭 : 빙긋빙긋
◆ 보들락 보들락 : 굼틀굼틀
◆ 여보록서보록 : 될 수 있는 대로 힘써
◆ 오고생이 : 고스란히
◆ 역불로 : 일주러
◆ 오들랑오들랑 : 뒤로 뛰어 오름
◆ 자울락자울락 : 약은 체 지껄이는 꼴
◆ 지락지락 : 열매가 많이 열려 있는 모양
◆ 질그랑이 : 무엇을 쥐어 놓지 않음
◆ 코롱코롱 : 쿨쿨(잠자는 모양)
◆ 코시롱 : 냄새가 고소하다
◆ 할강할강 : 헐떡헐떡

◆ 이문간 : 대문간
◆ 상 방 : 마 루
◆ 고 팡 : 곡간(광)
◆ 정 지 : 부엌
◆ 낭 간 : 난간
◆ 굴 묵 : 화고(아궁이)
◆ 뭇 뚱 : 문도(입구)
◆ 처나반 : 천정
◆ 백보름 : 벽
◆ 공쟁이 : 못, 걸이
◆ 간 지 : 옷걸이
◆ 부 섭 : 화로
◆ 시 렁 : 벽장
◆ 물 팡 : 물허벅을 놓는 돌선반
◆ 지들팡 : 변소의 디딤돌

호 칭

밭 지명

◆ 아 방 : 아버지
◆ 어 멍 : 어머니
◆ 하르방 : 할아버지
◆ 할 망 : 할머니
◆ 다 슴 : 의붓
◆ 다슴아덜 : 의붓아들
◆ 다슴똘 : 다슴딸
◆ 씨아방 : 시아버지
◆ 씨어멍 : 시어머니
◆ 씨아주방 : 남편의 형제
◆ 족은아덜 : 작은 아들
◆ 메누리 : 며누리
◆ 가시아방 : 장인
◆ 가시어멍 : 장모
◆ 동 세 : 동서
◆ 예펜(예청) : 여편네
◆ 소나이 : 사나이
◆ 제집아이 : 여자아이
◆ 비바리 : 처녀
◆ 촐람생이 : 남의 말에 잘 끼어드는 성급한 사람
◆ 두가시 : 부부
◆ 삼촌 조케 : 삼촌조카(삼촌과 조카)
◆ 두린아이 : 어린아이
◆ 괜당(방상) : 친족
◆ 사농바치 : 사냥꾼
◆ 꿩바치 : 꿩사냥꾼
◆ 침바치 : 침을 넣는 사람

◆ 왓 : 밭
◆ 보리왓 : 보리밭
◆ 조 팟 : 조밭
◆ 촐 왓 : 꼴밭
◆ 작지왓 : 자갈밭
◆ 도르(돌레) : 작은 경작지
◆ 머 둘 : 돌무더기
◆ 모 루 : 마루
◆ 빌 레 : 암반지대
◆ 우 연 : 뜰, 정원
◆ 골 : 골짜기
◆ 드 르 : 들
◆ 곶 : 산의 천연림

계절 · 기간

바 람

◆ 고슬(고을) : 가을
◆ 저 슬 : 겨울
◆ 아시날 : 전날
◆ 뒷녁날 : 이튿날
◆ 요호르기 : 요며칠전
◆ 혼돌내낭 : 한달내내
◆ 저슬내낭 : 겨울내내
◆ 여름내냥 : 여름내내
◆ 해난디 아장 : 햇볕에 앉아
◆ 해차귀 : 양지바른 곳

◆ 보 름 : 바람
◆ 샛보름 : 동풍
◆ 놉셋보름 : 동북풍
◆ 하니보름 : 북풍
◆ 놉하니보름 : 북동풍
◆ 을진풍 : 동남풍
◆ 마포름 : 남풍
◆ 갈보름 : 서풍
◆ 서갈보름 : 서남풍
◆ 노 롯 : 찬기류

행 사

도량형 · 신체모양

◆ 철 리 : 무덤을 옮기는 것
◆ 상 제 : 상주
◆ 부 지 : 부조
◆ 고렴(고령) : 조문

◆ 너버기 : 넓이
◆ 지럭시(질이) : 길이
◆ 무 기 : 무게
◆ 몸 피 : 풍체
◆ 솔찌다 : 살찌다
◆ 모르다 : 마르다
◆ 고노롱호다 : 가느다랗다
◆ 좀지롱호다 : 자그마하다

재 료

체감온도

◆ 지들키 : 땔감
◆ 지들낭고슴 : 땔감재료
◆ 고 슴 : 감, 재료
◆ 떡고슴 : 떡재료
◆ 잔치고슴 : 혼수감
◆ 촐래고슴 : 반찬감
◆ 주 시 : 찌꺼기
◆ 지름주시 : 기름찌꺼기

◆ 실렵다(실리다) : 차갑다
◆ 산도록하다 : 서늘하다
◆ 사노롱하다 : 서늘하다
◆ 멘도롱하다 : 미지근하다
◆ 똣똣하다 : 따뜻하다
◆ 얼 다 : 춥다
◆ 때불다 : 뜨겁다
◆ 밧삭때불다 : 매우 뜨겁다

색 채

◆ 검스룽허다 : 검으스레하다
◆ 가무롱허다(감시롱허다) : 까무스름하다
◆ 시커멍허다 : 새까맣다
◆ 헤영허다 : 희다
◆ 해또록허다 : 희끄무레하다
◆ 뻘겅허다 : 빨갛다
◆ 볼그스름허다 : 붉으스레하다
◆ 싯뻘겅허다 : 샛빨갛다

◆ 코시롱허다 : 고소하다
◆ 쿠시룽허다 : 구수하다
◆ 배지근허다 : 고기의 깊은맛의 표현
◆ 쫍지롱허다 : 맛이 짜다
◆ 돌 다 : 달다
◆ 돌미롱허다 : 달큰하다
◆ 돌작지근허다 : 달콤하다
◆ 멥지롱허다 : 맵다
◆ 씹시렁허다 : 씁씁하다

모양과 느낌

욕(辱)

◆ 밉성바르다 : 밉살스럽다
◆ 곱들락허다 : 곱상스럽다
◆ 모지지허다 : 모질다
◆ 새판지롱허다 : 태연하다
◆ 헤심상허다 : 태연자약하다
◆ 얼랑핀칙허다 : 찬란하다
◆ 애록허다 : 더럽다

◆ 몽그라멱은 놈 : 막 굴러 먹은 놈
◆ 뒤여질 놈 : 죽을 놈
◆ 되싸질 놈 : 죽을 놈
◆ 벼락맞아되갈리질 놈 : 벼락 맞아 죽을 놈
◆ 볼탁머릴 미러불카 : 따귀를 칠까
◆ 존동머리 후려불카 : 옆구리를 때릴까
◆ 정강머리(가달머리) : 사타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