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오늘도 '광주일고出身' 不明記 |
부산저축은행에'광주일고 출신' 피하는 조선일보 |
부산저축은행 사건의 본질은, 광주일고 출신들이 경영권과 감사직을 장악, 온갖 부패 부정을 저지르고, 광주일고 출신들(김양, 박형선 등)이 나서서 대외 로비를 통혀여 부정을 은폐하고, 호남지역과 해외에 부실투자를 하여 수兆원에 이르는 부산서민 등의 돈을 날린 점이다. 이 사건은 '광주일고 출신 인맥'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이해가 불가능하다. 조선일보는 이 사건을 보도하면서 '광주일고 출신'이란 핵심적 낱말을 일종의 禁止語로 설정한 듯하다. 오늘도 조선일보는 부산저축은행의 2大 주주이면서 對外 로비를 이끈 박형선 해동건설 회장 구속과 관련된 집중적인 보도를 하면서 그가 '광주일고 출신'임을 끝까지 밝히지 않았다. 어제 은진수 감사위원과 관련된 보도를 하면서는 그가 부산출신이고 부산상고를 나왔다는 점을 친절하게 설명한 것과는 반대이다. 어제 조선일보: <은진수(50·사진) 감사위원은 검찰 재직시절 수사검사로 이름을 날렸다. 부산에서 초·중학교를 나온 은 위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산상고 후배다. 서울대 경영학과에 재학 중이던 1982년 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했고, 1988년 행정고시와 사법시험에 잇따라 합격한 '고시 3관왕'이다. 초임 검사 때부터 대검 중수부와 서울지검 특수부에 차출됐다.> 오늘 조선일보는 <(박씨가) 동향이며 고교동문인 정찬용 전 청와대 인사수석을 비롯하여(하략)>라고 했을 뿐이다. 정찬용씨가 광주일고 출신임을 모르는 독자들이 다수이므로 이런 식의 설명으론 박씨가 '광주일고 출신'임을 알 도리가 없다. 반면 SBS, 노컷뉴스, 연합뉴스, 연합뉴스를 실은 경향신문 등 많은 언론은 <박씨는 구속기소된 박연호 회장과 김양 부회장 등 주요 임원들과 광주일고 동문 사이로 지난해 말 기준으로 부산저축은행 지분 9.11%를 갖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하나의 보도지침이 된 것 같은, 조선일보의 '광주일고 禁止語 지정'(?)이 언제 풀릴지 두고 볼 일이다. 5월28일 현재, 조선일보는 부산저축은행 사건과 관련, '광주일고'란 단어를 쓰지 않은 거의 유일한 신문이다. [조갑제 대표: http://www.chogabje.com/] ,,,,,,,,,,,,,,,,,,,,,,,,,,,,,,,,,,,,,,,,,,,,,,,,,,,,,,,,,,,,,,,,,,,,,,,,,,,,,,, 조선일보, 은진수가 부산 출신임을 강조 민족과 함께 애환을 같이 해온 이 위대한 신문紙面에 최근 나타나는 지역적 편향성을 걱정하는 이들이 많다. 趙甲濟 조선일보는 오늘자 기사에서 부산저축은행 비리와 관련하여 물러난 은진수 전 감사위원에 대하여 이렇게 썼다. <은진수(50·사진) 감사위원은 검찰 재직시절 수사검사로 이름을 날렸다. 부산에서 초·중학교를 나온 은 위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산상고 후배다. 서울대 경영학과에 재학 중이던 1982년 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했고, 1988년 행정고시와 사법시험에 잇따라 합격한 '고시 3관왕'이다. 초임 검사 때부터 대검 중수부와 서울지검 특수부에 차출됐다.> 조선일보는 부산저축은행 그룹 금융사기 사건의 主犯집단(이사, 감사, 사외 이사, 핵심 관련자)이 광주일고 출신이란 보도를 한 적이 없다. 이 사건의 본질은 '광주일고 출신들'이 부산서민 등의 돈을 모아 자신들끼리 갈라 먹고, 부정을 서로 덮고, 學緣을 중심으로 거래-로비하고, 호남지방에 집중적으로 부실투자를 함으로써 부산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준 점이다. 이런 學緣-地緣을 설명하지 않고서는 사건의 핵심을 독자들에게 제대로 알릴 수가 없다. 경북고 인맥을 덮고서 하나회를 설명하기 어려운 것과 같다. '광주일고 출신'임을 明記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해 오던 이 신문이 오늘은 왜 은진수씨가 부산에서 초중학교를 나오고 부산상고 출신임을 친절하게 설명하는가? 이 신문은 경상도와 관련 있는 '영포회'(영일 포항 출신 공직자 모임)나 '고소영'(고려대학, 소망교회, 영남인)이란 단어는 거리낌 없이(때로는 집요하게) 쓴다. 국민행동본부의 광고문안에 '광주일고 출신'이란 단어가 들어갔다고 게재를 거부기도 하였다. 민족과 함께 애환을 같이 해온 이 위대한 신문 紙面에 최근 나타나는 지역적 편향성을 걱정하는 이들이 많다. ,,,,,,,,,,,,,,,,, *박형선 및 임상규씨 관련 보도의 차이 <박형선씨는 전남대에 다니던 1974년 '민청학련' 사건으로 1심에서 징역 12년, 항소심에서 징역 10년을 선고받고 10개월여 만에 출소했다. 당시 함께 옥고를 치렀던 이해찬 전 국무총리, 유인태 전 의원, 이강철 전 노무현 대통령 정무특별보좌관, 정찬용 전 대통령 비서실 인사수석비서관,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 등은 노무현 정권에서 권력의 핵심 멤버로 활약했다. 이 때문에 검찰 주변에서는 박씨가 부산저축은행그룹의 부동산 개발사업 등을 벌이며 정·관계를 상대로 로비를 벌였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돌고 있다.>(조선일보) <박연호 부산저축은행그룹 회장의 사돈인 임상규 전 장관은 부산저축은행에 예치했던 예금 5000만원을 1월말 인출한 것으로 알려졌다.>(조선일보) <박형선 씨는 박연호 부산저축은행그룹 회장, 김양 부회장 등과 광주일고 동문이다. 오지열 중앙부산저축은행장이 사돈이다.>(동아일보) <(예금을 사전인출한) 임상규 총장은 기획예산처 예산실장과 과학기술부 차관을 지낸 정통 경제관료 출신. 박연호 부산저축은행그룹 회장의 사돈이자 광주일고 동문이다.>(동아일보) *윤여성씨 관련 보도 다른 신문은 은진수씨에게 로비를 했다는 윤여성씨의 學緣을 아래와 같이 밝혔으나 조선일보는 하지 않았다. <윤씨는 또 부산저축은행 박연호 회장, 김양 부회장 등과 고교 동문이라고 주장해 왔다.>(중앙일보) <구속된 윤씨는 부산저축은행 경영진과는 광주일고 동문으로 특히 김영 부회장과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국제신문) //////////////////////////////////////////////////////////// 고소영과 광주일고와 조선일보 '고소영'은 드러내고 '광주일고'는 은폐해주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 보도는 지역감정을 덮는 게 아니라 악화시켜 호남인들을 피해자로 만들 것이다. 趙甲濟 <與 "아니면 말고식 공세엔 대응", 野 "고소영 5남매 전원 리콜"> 오늘자 조선일보의 기사 제목이다. '고소영'은 고려대학, 소망교회, 영남인을 가리킨다. 이 신문은 야당의 야비한 선동어를 그대로 받아 썼다. 이 조선일보는 建國 이후 최대규모의 금융사기인 부산저축은행 비리의 주모자들이 '광주일고 출신들'임을 明記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다. 심지어 국민행동본부가 돈을 주고 내는 광고에 '광주일고 출신'이란 말이 있다고 게재를 거부하였다. 조선일보 등 다수 언론의 경상도 때리고(고소영, 영포회의 경우) '광주일고 봐주기'식 보도는, 지역감정을 덮는 게 아니라 격화시키고 있다. 매일경제는 광주일고 출신임을 은폐하기 위하여 '지역 명문고 K고 출신'이라고 적는 바람에 '지역 명문고 경남고 출신'으로 오해하도록 만들었다. 경남고 동창회는 매일경제에 사과, 정정을 요구하고 불응하면 대응조치를 취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언론이 기사문의 원칙을 어기면서까지 '광주일고 출신 犯法者'를 비호하면 他지역 사람들의 감정을 자극, 절대다수의 선량한 광주일고 동문들과 호남사람들까지 피해자로 만들 것이다. 부산저축은행 사건의 본질은 '광주일고 출신들'이 부산지역의 서민들 돈을 모아 자신들끼리 갈라 먹고 호남지방에 집중적으로 불법-부실 투자를 하여, 수조원을 날려버린 것이다. 부산저축은행의 비리를 감독해야 할 政官界 및 언론계에 대한 로비도 이 인맥이 주도하였을 것이다. 學緣과 地緣이 부정부패의 원인이었다. 이 사실을 설명하지 않는 보도는 얼굴 그림을 그리면서 눈을 그려 넣지 않는 꼴이다. 한국은 아직도 '죽은 기자의 사회'인가? 사회의 公器인 언론이 언론자유를 이렇게 私用하면 언젠가 그 자유를 빼앗길 날이 올 것이다. 오늘 기자들이 누리는 언론자유는 선배 기자들이 권력과 맞서 쟁취한 것이다. 공짜로 얻은 자유를 즐기는 젊은 기자들은 기자의 의무를 다해야 할 의무가 있다. [ 2011-05-23, 09:07 ] ,,,,,,,,,,,,,,,,,,,,,,,,,,,,,,,,,,,,,,,,,,,,,,,,,,,,,,,,,,,,,,,,,,,,,,,, ‘영포회’ 관련 기사 총16건, ‘광주일고’라고 한 기사는 全無 언론사 보도 행태 연구(1)/조선일보, 부산저축은행 부정사건 核心 '광주일고 인맥' 한 번도 明記안해 趙成豪(조갑제닷컴) 조선일보는 부산저축은행 비리에 대한 보도를 하면서 광주일고(광주제일고등학교) 출신들이 연루돼 있다는 사실을 기사와 사설을 통해 정확하게 보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 사설의 경우, 부산저축은행 비리와 관련해 주로 지적한 내용은 ‘금감원에 대한 비판(5월3일)’, ‘금융권의 부도덕성(4월25일)’등이 대부분이었다. “사태가 이렇게까지 된 데는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책임이 크다. 금융당국이 부실 저축은행들을 영업정지 시키려고 했다면 미리 치밀한 실행 계획을 수립한 후, 감독관들을 파견해 영업정지 명령과 함께 출입문을 폐쇄하고 전산망 가동을 중단시키는 조치를 취했어야 했다.” (4월28일자 사설, ‘저축은행 예금 부당인출, 책임질 사람 책임져야’) “금감원의 윤리수준은 역대 청장들이 줄줄이 감옥으로 간 국세청의 큰형님뻘이다.” (4월26일자 사설, ‘금감원 非理는 개인 非理 넘어선 조직 非理’) “정부는 부실저축은행 사태가 자칫하면 대형 위기로 갈 수도 있는 초기증상을 보이고 있다는 절박한 의기의식을 가져야 한다.” (5월1일자 사설, ‘저축은행 장부 조작, 금융권 전체 위기로 번질라’) 조선일보 나지홍 기자의 기사(왼쪽 사진) ‘부산저축은행 대주주·감사, 모두 같은 학교·지역 선후배(5월5일자)’를 보면 ‘광주의 명문 고등학교’라는 표현이 나온다. 기사 본문에서 나 기자는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부산저축은행 대주주인 박연호(61) 회장과 김양(58) 부회장, 김민영(65) 부산저축은행장 겸 부산2저축은행장이 모두 광주광역시의 한 명문 고등학교 출신이다. 강성우(59) 부산저축은행 감사는 광주광역시의 다른 고등학교를 졸업했다”며 ‘한 명문 고등학교’라고만 썼다. 조선일보는 저축은행 비리 관련 다른 기사에서도 ‘광주일고’라는 언급은 하지 않았다. 작년 중순 불거진 ‘영포회(1980년에 결성된 경상북도 영일·포항 출신 5급 이상의 중앙부처 공무원 사조직)’ 관련 조선일보 보도와 ‘(부산저축은행 비리에) 광주일고 출신 개입’ 관련 보도를 비교해보면 차이가 두드러진다. 2010년 7월5일 조선일보 사설 “‘영포회 논란’ 덮어두고선 임기 후반 국정 운영 어렵다”에서 영포회를 ‘포항ㆍ영일 출신 공직자 모임’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면서 “관가(官街)에선 이번 사건이 대통령과 동향(同鄕)인 인적 네트워크에 속한 사람들이 저질러온 월권(越權)의 일부라고들 말하고 있다”며 일각의 소문까지도 기술했다. 또 2010년 7월10일~11일 조선일보 土日섹션 ‘Why’에서도 영포회의 회원 수첩을 입수해 별도의 페이지에 상세히 보도했다. ‘특정지역 인맥’이라는 동일 사안임에도 ‘광주일고 인맥’에 대해서는 조선일보가 묵살한 것이다. 한편, 조선일보 홈페이지 PDF 기사검색에서 ‘영포회’라고 검색어로 검색하면 사설을 포함해 총 16건의 기사가 나오며, 광주일고(광주제일고등학교, 광주제일고 포함)는 검색되지 않았다(注-‘영포회’는 2010년 7월1부터 8월31일까지 검색한 결과이며 ‘광주일고’는 2011년 4월1일부터 2011년 5월17일까지 부산저축은행 사건과 관련된 사안만을 검색한 결과이다). [ 2011-05-17, 16:45 ] |
출처 : 경대사대 부중고1215회 동기회
글쓴이 : 학바우(손진담) 원글보기
메모 :
'政治.社會 關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 시대의 언론인 - 대부분 싹수없는 건달들 (0) | 2011.05.31 |
---|---|
5.16은 권력아닌 절망을 빼았었다 (0) | 2011.05.30 |
[조선데스크] 여전히 불편한 SOFA (0) | 2011.05.28 |
<이영해 교수 시론> 국민에 신뢰받는 국가 (0) | 2011.05.24 |
[스크랩] 民主는 넘치고 共和는 부족한 대한민국 // 박지향 서울대 교수 (0) | 2011.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