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에티오피아인의 이름에는 성이 따로 없다. 에티오피아인은 성 없이『이름-아버지 이름-할아버지 이름』을 나란히 적어 이름으로 사용한다. 『이름-성』혹은『성-이름』 이런 식으로 이름을 적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게는 ‘Family name’이나 ‘Last name’이 아무 의미가 없다. Teferi Taddesse Heigyane라는 사람의 경우 Teferi가 이 사람의 이름이고 Taddesse는 이 사람의 아버지 이름, Heigyane는 이 사람의 할아버지 이름이다. 그래서, 에티오피아인의 이름을 부를 때는 중간의 아버지 이름도 아니고, 마지막의 할아버지 이름도 아닌, 가장 먼저 적힌 본인의 이름을 불러줘야 한다.
에티오피아인의 이름이 자국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외국에서 종종 문제가 될 경우가 있다. 『이름-성』혹은『성-이름』의 방식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Teferi Taddesse로 공문서 같은 데 이름을 적을 수가 있다. 그럴 경우 에티오피아인의 이름에 대한 상식이 없으면 Mr.Teferi가 아닌 Mr.Taddesse로 부를 수가 있다. 에티오피아 출신의 유명한 장거리 육상선수인 Elfenesh Alem 선수의 경우 외국 언론에서는 Alem선수로 많이 불리고 있다. 올림픽 같은 시합에서 이름을 등록할 때 성을 Alem으로 등록한 데서 기인할 것이다. 만일 에티오피아내에서 Alem선수를 부르고 싶을 때 ‘Alem!!’하고 부르면 그녀가 대답하지 않고 그녀의 아버지가 대답할 가능성이 아주 높다. 한편,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맨발로 역주해 금메달을 땄던 Abebe Bikira의 경우 그때나 지금이나 Abebe로 불린다. 이름을 등록할 때 Abebe로 했기 때문이다.
우리도 그렇지만 구미의 경우에도 ‘성’이라는 것은 가족이나 친족의 공통된 이름이다. 그래서 같은 성을 가진 사람들을 ‘패밀리’라는 이름으로 결집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에티오피아에서 아버지의 이름은 어디까지나 아버지의 이름일 뿐이다. 이 때문에 여자의 경우 결혼을 해도 이름을 바꿀 필요가 없다. 시집을 가서 사는 집이 바뀌었다고 아버지가 바뀌는 건 아니라는 이유다. 아주 간단한 논리다.
왜 이들이『이름-아버지 이름-할아버지 이름』으로 이름을 적을까 고민하다 이들에게도 유목민족의 피가 흐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르렀다. 떠돌아다니는 유목민족의 경우 이름을 이렇게 적는 경우를 보았는데 대표적인 나라가 몽고이다. 에티오피아의 근대화에 공이 컸던 메넬리크 2세가 1880년대에 수도를 지금의 아디스아바바로 정하기 이전에 에티오피아에서 수도의 의미란 이동하는 텐트의 집단을 의미했다. 에티오피아 사람들이 유목 생활을 했다는 증거다. 그러나 생장이 빠른 유칼립투스가 도입되어 연료확보가 가능해진 이후 더 이상 다른 땅을 찾아 이동할 필요가 없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로 에티오피아에서 남자 이름을 부를 때는 Mr.(미스터)가 아닌 Ato(아토)를 사용한다. Miss는 ‘워이저릿’, Mrs.는 ‘워이저로’ 를 사용한다. Teferi Taddesse Heigyane라는 이름을 가진 남자의 명함을 받으면 Ato Teferi!하고 불러주면 된다.
<윤오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