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유럽 아프리카

(6) 멜캄, 아마릉냐!!(Good Amharic!!)

鶴山 徐 仁 2007. 2. 24. 16:55

 

70여 개 이상의 언어에 방언만도 200여 개가 넘는다는 에티오피아의 현재 공식 언어는 암하릭(Amharic)어이다. 중국의 ‘보통화’가 56개 민족을 하나로 묶는데 크게 기여를 하는데 반해 에티오피아에서는 ‘암하릭어’가 그다지 민족 결집의 수단이 되지 못하는 같다. 행정기관을 비롯해 공식적인 자료들에 이 암하릭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에티오피아 남부에서는 오로모족(전체 인구의 약 40%)의 오로미야어가, 북쪽에서는 티그레이족(전체 인구의 약 4%)의 티그리야어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표준 암하릭어는 수도 아디스아바바 보다 오히려 암하라족(전체 인구의 약 30%)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바하르다르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아디스아바바에는 지방에서 온 사람들이 많아 발음들이 제각각이다.

▲ Amharic_sign: 국립박물관에서 개최되었던 유니세프 후원의 아프리카 관련 사진전 플래카드. 8월 18일부터 9월 13일까지라고 되어 있는데 우리가 사용하는 달력 날짜가 아니라 에티오피아에서 사용하는 달력의 날짜이다. 암하릭어를 모르고 영어만 알면 에티오피아에서 이런 전시회는 구경하기가 어렵다.

암하릭어는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했고 지금도 사용하는 문자인 게에즈(GEEZ)를 그 기원으로 하며, 다른 셈족계 언어와 다르게 문자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 나간다. 아프리카 국가 언어들 중 아주 드물게 암하릭어라는 고유문자를 보유한 덕분에 에티오피아에서는 구전이 아닌 문자로 기록된 역사를 가질 수 있었다. 게다가 약 5년 간의 이탈리아 식민지 경험 이외에는 여타의 아프리카 국가들처럼 강대국에게 점령당한 적이 없어 지금까지도 고유의 문자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것에 대한 에티오피아인의 자부심은 대단하다. 1698년에 이미 암하릭어-라틴어 사전이 출판될 정도로 암하릭어는 자국에서만이 아니라 외국에서도 오래 전부터 말해지는 언어였다.

자음 33자, 모음 7자(어, 우, 이, 아, 에, 으, 오)의 표음문자로 구성된 암하릭어는 어순이 한국어와 같다. 우리말에 없는 약 40여 개의 파열음이 암하릭어를 익히는데 약간의 걸림돌이 될 뿐 모음을 21개나 사용하는 우리에게 그리 어려운 언어는 아닌 것 같다. 일본어에는 ‘으’나 ‘어’ 모음이 없기 때문에 일본인이 구사하는 암하릭어는 듣는 것만도 아주 고역이다.

암하릭어는 한국어처럼 주어를 생략해서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단어들을 상식적으로 결합해 사용하는 말들이 아주 많다. ‘자동차 바퀴’는 ‘마키나(자동차) 으그르(다리)’로 표현하는 식이다. 물론 ‘바퀴’를 뜻하는 ‘고마’라는 말이 있지만 다 통한다. 암하릭어로 ‘틀륵’은 ‘크다’, ‘버땀’은 ‘아주, 매우’라는 뜻이다. ‘숟가락’(이곳에서는 ‘망캬’라고 한다.) 하나로 새로운 암하릭어를 익히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숟가락 보다 조금 큰 ‘주걱’을 이곳에서 ‘틀륵 망캬’라고 한다. 그러면 ‘버땀 틀륵 망캬’는 바로 ‘국자’를 의미한다.

에티오피아에서는 공용어로 영어도 사용된다. 중등과정 이상부터는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기 때문에 영어가 능숙하면 이곳 생활에 큰 지장은 없다. 그러나 정규 방송 대부분이 암하릭어로만 내보내지고 있고 영어 없이 암하릭어로만 발간되는 신문이나 잡지 등도 많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나 가게에서 물건을 살 경우도 영어가 안 통할 때가 많다. 간판 등에 암하릭어와 영어가 병기되지만 영어가 없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암하릭어를 알면 에티오피아에서의 생활이 아주 편해진다.

몇 년째 에티오피아에 살면서 영어 한마디, 암하릭어 한마디 못하고 오로지 중국어만 할 줄 아는 배짱 좋은 중국인도 더러 만났지만 이곳에서 암하릭어가 능숙한 한국 사람을 아직 만나지 못했다. 발음은 좀 어색하지만 암하릭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일본인은 여럿 만났다. 한국인들에게 암하릭어는 경제성도 떨어지고 또 하나의 공용어인 영어만 사용하면 된다고 생각해서인지 모르겠다. 현지인과 교류하는데 그 곳 언어를 사용하는 것만큼 좋은 방법은 없다. 외국인이 서툴더라도 자국어로 이야기를 하면 괜히 더 친절해지지 않는가.

이곳에서 만난 에티오피아 외교부 관계자에 따르면 북쪽의 코리아에서 온 외교관들은 암하릭어가 능숙해 함께 이야기 할 때 암하릭어를 사용하는 데 남쪽의 코리아에서 온 외교관들은 전혀 암하릭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우리의 외교관들은 전략일까 정말 암하릭어를 모르는 걸까.

 

 

 

<윤오순>

기사일자 : 2006-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