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하릭어는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했고 지금도 사용하는 문자인 게에즈(GEEZ)를 그 기원으로 하며, 다른 셈족계 언어와 다르게 문자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 나간다. 아프리카 국가 언어들 중 아주 드물게 암하릭어라는 고유문자를 보유한 덕분에 에티오피아에서는 구전이 아닌 문자로 기록된 역사를 가질 수 있었다. 게다가 약 5년 간의 이탈리아 식민지 경험 이외에는 여타의 아프리카 국가들처럼 강대국에게 점령당한 적이 없어 지금까지도 고유의 문자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것에 대한 에티오피아인의 자부심은 대단하다. 1698년에 이미 암하릭어-라틴어 사전이 출판될 정도로 암하릭어는 자국에서만이 아니라 외국에서도 오래 전부터 말해지는 언어였다.
자음 33자, 모음 7자(어, 우, 이, 아, 에, 으, 오)의 표음문자로 구성된 암하릭어는 어순이 한국어와 같다. 우리말에 없는 약 40여 개의 파열음이 암하릭어를 익히는데 약간의 걸림돌이 될 뿐 모음을 21개나 사용하는 우리에게 그리 어려운 언어는 아닌 것 같다. 일본어에는 ‘으’나 ‘어’ 모음이 없기 때문에 일본인이 구사하는 암하릭어는 듣는 것만도 아주 고역이다.
암하릭어는 한국어처럼 주어를 생략해서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단어들을 상식적으로 결합해 사용하는 말들이 아주 많다. ‘자동차 바퀴’는 ‘마키나(자동차) 으그르(다리)’로 표현하는 식이다. 물론 ‘바퀴’를 뜻하는 ‘고마’라는 말이 있지만 다 통한다. 암하릭어로 ‘틀륵’은 ‘크다’, ‘버땀’은 ‘아주, 매우’라는 뜻이다. ‘숟가락’(이곳에서는 ‘망캬’라고 한다.) 하나로 새로운 암하릭어를 익히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숟가락 보다 조금 큰 ‘주걱’을 이곳에서 ‘틀륵 망캬’라고 한다. 그러면 ‘버땀 틀륵 망캬’는 바로 ‘국자’를 의미한다.
에티오피아에서는 공용어로 영어도 사용된다. 중등과정 이상부터는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기 때문에 영어가 능숙하면 이곳 생활에 큰 지장은 없다. 그러나 정규 방송 대부분이 암하릭어로만 내보내지고 있고 영어 없이 암하릭어로만 발간되는 신문이나 잡지 등도 많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나 가게에서 물건을 살 경우도 영어가 안 통할 때가 많다. 간판 등에 암하릭어와 영어가 병기되지만 영어가 없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암하릭어를 알면 에티오피아에서의 생활이 아주 편해진다.
몇 년째 에티오피아에 살면서 영어 한마디, 암하릭어 한마디 못하고 오로지 중국어만 할 줄 아는 배짱 좋은 중국인도 더러 만났지만 이곳에서 암하릭어가 능숙한 한국 사람을 아직 만나지 못했다. 발음은 좀 어색하지만 암하릭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일본인은 여럿 만났다. 한국인들에게 암하릭어는 경제성도 떨어지고 또 하나의 공용어인 영어만 사용하면 된다고 생각해서인지 모르겠다. 현지인과 교류하는데 그 곳 언어를 사용하는 것만큼 좋은 방법은 없다. 외국인이 서툴더라도 자국어로 이야기를 하면 괜히 더 친절해지지 않는가.
이곳에서 만난 에티오피아 외교부 관계자에 따르면 북쪽의 코리아에서 온 외교관들은 암하릭어가 능숙해 함께 이야기 할 때 암하릭어를 사용하는 데 남쪽의 코리아에서 온 외교관들은 전혀 암하릭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우리의 외교관들은 전략일까 정말 암하릭어를 모르는 걸까.
<윤오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