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산 옆 외따른 골짜기에
혼자 누워있는 국군을 본다.
아무 말, 아무 움직임 없이
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른 유니폼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 표지
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소위였고나
가슴에선 아직도 더운 피가 뿜어 나온다.
장미 냄새보다 더 짙은 피의 향기여!
엎드려 그 젊은 주검을 통곡하며
나는 듣노라! 그대가 주고 간 마지막 말을......
나는 죽었노라, 스물 다섯 젊은 나이에
대한민국의 아들로 나는 숨을 마치었노라.
질식하는 구름과 바람이 미쳐 날뛰는 조국의
산맥을 지키다가
드디어 드디어 나는 숨지었노라.
내 손에는 범치 못할 총자루, 머리엔 끼지지 않을 철모가 씌워져
원수와 싸우기에 한 번도 비겁하지 않았노라.
그보다도 내 핏속엔 더 강한 대한의 혼이 소리쳐
나는 달리었노라. 산과 골짜기,
무덤 위와 가시숲을
이순신같이, 나폴레옹같이, 시이저같이
조국의 위험을 막기위해 밤낮으로
앞으로앞으로 진격진격!
원수를 밀어가며 싸웠노라.
나는 더 가고 싶었노라. 저 원수의 하늘까지
밀어서 밀어서 폭풍우같이 모스크바 크레믈린 탑까지 밀어가고 싶었노라.
내게는 어머니, 아버지, 귀여운 동생들도 있고
어여삐 사랑하는 소녀도 있었노라.
내 청춘은 봉오리지어 가까운 내 사람들과 함께
이 땅에 피어 살고 싶었었나니
아름다운 저 하늘에 무수히 나르는
내 나라의 새들과 함께
나는 자라고 노래하고 싶었노라.
나는 그래서 더 용감히 싸웠노라. 그러다가 죽었노라.
아무도 나의 주검을 아는 이는 없으리라.
그러나, 나의 조국, 나의 사랑이여!
숨지어 넘어진 내 얼굴의 땀방울을
지나가는 미풍이 이처럼 다정하게 씻어주고
저 하늘의 푸른 별들이 밤새 내 외롬을 위안해주지 않는가?
나는 조국의 군복을 입은 채
골짜기 풀숲에 유쾌히 쉬노라.
이제 나는 잠에 피곤한 몸을 쉬이고
저 하늘에 나르는 바람을 마시게 되었노라.
나는 자랑스런 내 어머니 조국을 위해 싸웠고
내 조국을 위해 또한 영광스리 숨지었나니
여기 내 몸 누운 곳 이름 모를 골짜기에
밤 이슬 내리는 풀숲에 나는 아무도 모르게 우는
나이팅게일의 영원한 짝이 되었노라.
바람이여! 저 이름 모를 새들이여!
그대들이 지나는 어느 길 위에서나
고생하는 내 나라의 동포를 만나거든
부디 일러 다오. 나를 위해 울지 말고 조국을 위해 울어 달라고.
저 가볍게 날으는 봄나라 새여
혹시 네가 날으는 어느 창가에서
내 사랑하는 소녀를 만나거든
나를 그리워 울지 말고 거룩한 조국을 위해
울어 달라 일러다고.
조국이여! 동포여! 내 사랑하는 소녀여!
나는 그대들의 행복을 위해 간다.
내가 못 이룬 소원, 물리치지 못한 원수.
나를 위해 내 청춘을 위해 물리쳐다오.
물러감은 비겁하다. 항복보다 노예보다 비겁하다.
둘어싼 군사가 다아 물러가도 대한민국 국군아! 너만은
이 땅에서 싸워야 이긴다. 이 땅에서 죽어야 산다.
한번 버린 조국은 다시 오지 않으리다. 다시 오지 않으리라.
보라! 폭풍이 온다. 대한민국이여!
이리와 사자떼가 강과 산을 넘는다.
내 사랑하는 형과 아우는 서백리아 먼 길에 유랑을 떠난다.
운명이라 이 슬픔을 모른 체하려는가?
아니다. 운명이 아니다. 아니 운명이라도 좋다.
우리는 운명보다는 강하다. 강하다.
이 원수의 운명을 파괴하라. 내 친구여!
그 억센 팔 다리. 그 붉은 단군의 피와 혼,
싸울 곳에 주저말고 죽을 곳에 죽어서
숨지려는 조국의 생명을 불러 일으켜라.
조국을 위해선 이 몸이 숨길 무덤도 내 시체를 담을
작은 관도 사양하노라.
오래지 않아 거친 바람이 내 몸을 쓸어가고
저 땅의 벌레들이 내 몸을 즐겨 뜯어가도
나는 즐거이 아들과 함께 벗이 되어 행복해질 조국을 기다리며
이 골짜기 내 나라 땅에 한 줌 흙이 되기 소원이노라.
산 옆 외따른 골짜기
혼자 누운 국군을 본다.
아무 말, 아무 움직임 없이
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른 유니폼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 표지.
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소위였고나.
가슴에선 아직 더운 피가 뿜어 나온다.
장미 냄새보다 더 짙은 피의 향기여!
엎드려 그 젊은 주검을 통곡하며
나는 듣노라. 그대가 주고 간 마지막 말을.
毛 允淑 (1909~1990)
잊을 수 없는 전쟁, 6.25 !!!
사진은 1950년 9월 경남 김해에서 병중의 아내를 지게에 지고 피난을 가는 한가정의 지아비의 모습을
담았다. 부인은 시각 장애인 인듯 하다. 부부애의 극치로 성화(聖畵)를 대한듯 한동안 눈을 뗄 수 없는
사진이다.
鶴山 ;
6.25한국전쟁이 어느덧 반세기를 훌쩍 넘어서고 보니, 세상이 변해도 너무 많이 변한 것 같습니다.
아무리 전쟁의참상을 실제 몸으로 경험을 못했다고 하더라도 누군들 모든 역사를 직접 경험하므로서 제대로 이해 하는 것은 아닐 터인데,
대통령을 비롯한 현정부의 주체들은 나라를 운영하는 꼴이 너무 심하다고 여겨집니다.
물론 씨앗이야 이미 김대중정부로부터 시작하여, '민족통일'이라는 미명아래 뿌려져 심어졌으니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울 때가 되었나 봅니다.
당시 U. N군 사령관으로 인천상륙작전을 주도하여, 북괴군에 대한 반격을 성공시켰던 '맥아더'장군의 동상을 부수고자 하는 패거리들이 활보하고 있는 세상을 보면서, "Old soldiers never die; they just fade away." 즉, 노병은 죽지 않고 단지 사라질 뿐이라는 명언을 남긴 장군을 다시 한 번 기억하게 합니다.
동족의 학살을 서슴치 않고 스스로 자초한 그들이 재삼 그 같은 행동을 저지르지 않을 것이라고 믿을 수 있겠습니까?
철없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정치패거리들과 일부 학문이니, 문학이니, 예술의 표현이라는 포장의 탈을 버젓이 쓰고 매국적인 행위를 하며, 대미관계를 그 어느 때보다 어렵게 유지하고 있는 이들은 과연 알고 있는 지 묻고 싶어집니다.
북괴의 6.25 남침으로 인해 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피해는, 전투 중 사망이 33,629명,
비전투 중 사망이 20,617명, 실종이 8,177명, 포로가 7,140명(그가운데 3,746명만 송환됨)이고, 부상자가 무려103,284명에
이르며, 실종자와 미송환 포로들을 합친 이 숫자만 치더라도 거의 7만 명의 젊은이들이 한국전쟁에서 목숨을 잃었으며, 이는 지금 이라크 전쟁을
통해서 약2000여명이 전사한 것과 비교해 보면, 6.25 전쟁중 미군 전사자는 이라크 전쟁 전사자의 약35배에 이르지만, 그들은 전후
복구사업을 지원하고,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국의 상품의 제1위의 수입국이었으며, 전후 독재정권의 통치자들을 견제하고 조정해가면서 물심양면으로
우리 나라의 민주화를 지원했고, 지난 98년의 외환위기 때도 우리를 도와 주었다. 그런데 무엇이 못마땅 하길래 잔잔한 호수에 돌을 던지는 가
말입니다.
국민의 힘으로 언젠가는 반드시 단죄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들 모두도 정신 바짝 차리고 살아야
합니다.
설사 한국전쟁이 아니더라도 월남전의 교훈이 그것을 일깨워 줍니다. 월남이 패망하기 직전에 실시된 선거에서 차점으로 낙선한 자가 바로 월맹의 간첩이었다는 무서운 사실을 기억하고 있기에 시국을 보는 관점이 남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아무리 전쟁을 모르는 세대라고 하지만 지나치다는 생각을 금할 수가 없습니다. 못된 무리들에게 그들이 벌려 놓은 엄청난 오류의 결과에 대해선 반드시 응징하는 날이 올 것이라 믿습니다.
'想像나래 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겨운 한국의다리 구경하세요. (0) | 2006.07.01 |
---|---|
[스크랩] 6.25마다 생각나는 금발의 여기자 (0) | 2006.06.27 |
사라져가는 초가삼간 (0) | 2006.06.26 |
1900년대 무악재 고개 (0) | 2006.06.26 |
대학. 중용. 한시. 산문 (0) | 2006.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