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政治.社會 關係

심상찮은 與 대선주자들 움직임

鶴山 徐 仁 2005. 9. 30. 19:04

여권내 유력한 차기 대선주자로 꼽히는 정동영(鄭東泳.DY) 통일, 김근태(金槿泰.GT) 보건복지 장관 주변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임기와 관련된 정국의 특별한 상황변동이 없다고 가정해도 다음 대선까지는 2년여가 남았을 뿐이다. 과거 전례에 비쳐볼때 본격적인 대선전이 선거 1년전부터 시작된다고 보면 시간은 1년 남짓 남아 있는 셈이다.

그러나 현 정부와 집권여당의 지지율은 10-20% 대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것도 조사를 할때마다 자꾸 떨어지는 추세이고, 회복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한 여당 관계자는 "추락하는 것도 날개가 있다는데 우리당 지지율은 바닥이 어딘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야권의 유력 대선주자들과 여권내 1위 주자를 비교해도 지지율 격차는 2-3배를 넘어서고 있다.

여기에 차기 주자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고 건(高 建) 전 총리의 정치적 행보가 빨라지고 있고, 이명박(李明博) 서울시장은 1일 청계천 복원식을 계기로 대권을 향한 걸음을 가속화할 태세다.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는 노 대통령과의 회동 이후 이미지 변신을 꾀하면서 당 장악에 주력하고 있다.

여권 주자들로서는 안팎으로 답답한 상황일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좀 더 기다려 보자'는 신중론 속에서도 '이제는 탈출구를 찾아야 한다'는 공격적 목소리가 양 캠프내에서 분출하기 시작했다.

"이대로 가다간 (DY든 GT든)공멸이다. 상처 입을 것을 걱정해 (당 복귀를)주저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태도냐"는 의견도 서슴없이 제기되고 있다고 한다.

상대적으로 DY 쪽 보다 GT 진영 내에서 이 같은 목소리가 더 크게 들린다.

당내 세력판도로 볼때 민평연(경제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연대)을 중심으로 한 GT계의 재야파는 40-50명에 달한다. 여당 의석은 144석이다. 근 3분의 1을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은 과거 운동권 시절 선.후배로 엮어진 결속력도 갖고있다. 그러나 GT의 여론조사 지지율은 2-3%대에 머물고 있다.

때문에 그에게는 항상 '대중성 부족'이라는 꼬리표가 붙어 다닌다. GT계가 이제는 대중성 제고를 위해 한판 승부를 벌여야할 시점이라고 판단하는 이유다. '빅 매치' 이벤트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인영(李仁榮) 의원이 29일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조기전대 필요성'을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정 장관 진영은 상대적으로 느긋하다. 지지율도 10% 안팎으로 여권내에서는 단연 1위를 달리고 있고, 최근 6자회담 합의로 남북관계가 돌파구를 찾으면서 지지가다소 상승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DY 캠프내 실속파들은 "GT는 당의 보스로서 한번도 역할을 해 보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에 한판 승부가 필요하다고 볼지 모르지만 DY는 17대 총선을 승리로 이끈 경험이 있지 않느냐"며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캠프 일각에서는 최근 당의 위기 상황과 관련해 "정 장관이 다시 자신을 100% 희생하는 결단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여기에는 정 장관외에는 당을 회생시킬 카드가 없다는 일종의 자신감도 깔려 있다. 바른정치실천모임을 축으로 하는 DY계는 직.방계를 합칠 경우 GT계를 훨씬 능가하는 당내 주류지만 결속력은다소 떨어진다는 평가다.

두 대선주자들은 최근 참모들과 잦은 저녁 모임을 갖고 있다. 아직 최종적인 입장정리가 되지는 않았다는 반증이다.

그러나 10.26 재선거가 끝나면 양 진영이 어떤 식으로든 공개적으로 목소리를높일 것으로 보는 관측이 유력하다.

재선거 지역이 당초 예상보다는 적은 4곳에 불과하지만 현 단계의 민심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재선거 결과에 따라 정국의 요동침은불가피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노 대통령의 연정 이후 '다음 수'가 무엇이냐에 따라 두 대선주자의 당복귀와 전대 등 당체제 개편 시점은 다소 시차가 있을 수 있다. GT계의 한 측근도 "연말 연초 개각 이후 내년 초나 돼야 임시전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분위기 선점'을 위한 양 진영의 기세싸움은 재선거 이후 본격화될 공산이 높고, 여기에 개헌론 공론화와 선거구제 개편 논의 등이 겹칠 경우 여권은 한판소용돌이에 휘말릴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여권의 요동침은 한나라당과 다른 정치세력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정치권 개편논의 가속화 또는 조기 대선국면으로 접어드는 것 아니냐는 성급한 관측마저 나오고있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