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9.11 테러 이후 중동의 이슬람 국가群에선 큰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선 탈레반 정권이, 이라크에선 후세인 정권이 무너졌다. 아라파트의 사망 이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화해와
공존이 진지하게 모색되고 있다. 이집트에서는 무바라크 대통령의 장기집권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이 힘을 얻고 있다. 레바논에선 시민봉기로 시리아가
철군했다. 사우디 아라비아 정권도 민주화 조치를 하지 않으면 체제가 위험해진다는 인식을 하기 시작했다.
최근 미국 여론조사기관인
PEW가 이슬람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슬람을 수호하기 위한 목적으로서의 테러'에 대한 지지율이 급격히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테러 지지율이 2002년에 비교하여 27%에서 15%로 줄었다. 파키스탄에서는 41%에서 25%로, 레바논에서는
73%에서 26%로 줄었다. 모로코에서는 40%에서 13%로 줄었다. 미국에서는 언론이 매일 중계방송하듯이 보도하는 이라크 自爆 테러
때문에 부시 대통령의 이라크 정책 지지율이 답보상태이지만, 이 테러를 지켜본 이슬람 사람들 사이에선 테러 지지율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PEW 여론 조사에 따르면 다수 이슬람 신도들이 서구식 민주주의가 이슬람 문명권에 적용될 수 있는 이념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지금 이라크에서는 민주정부를 세우기 위해서 헌법초안을 놓고 다수파인 시아파, 소수파인 순니파, 그리고 민족이 다른 쿠르드族이 머리를
맞대고 토론을 거듭하고 있다. 헌법초안이 만들어지고 이에 기초하여 선거로써 민주정부가 들어서고, 다른 종파와 민족이 이라크라는 국민국가의
울타리안에서 공존 공영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중동에서도 드디어 민주화의 大勢가 정착될 것이다. 이것이 중요한 것은 민주국가끼리는 전쟁을 하지
않는다는 법칙이 지난 150년간 지구상에서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민주화가 평화를 보장하는 가장 근본적인 대책이다.
한반도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북한정권의 민주화는 동북아의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盧武鉉 정권은 북한정권의 민주화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도 관심도 보여주지 않고 있다. 이는 反평화적인 행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동의 민주화 바람이 북한에 들어가야 세계의 두 분쟁지역에
평화가 깃들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