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Free Opinion

​[朝鮮칼럼] 韓 민주주의 위기, 中의 일당독재를 강화한다

鶴山 徐 仁 2025. 5. 20. 18:01

오피니언 朝鮮칼럼 The Column

[朝鮮칼럼] 韓 민주주의 위기, 中의 일당독재를 강화한다

동아시아 국제 정세 아이러니는

우리와 중국 체제의 희비 쌍곡선

삼권분립 비판·일당독재 체제

중국 공산당, 한국 추락 바라

"어쭙잖게 美 민주주의 흉내 낸 韓

그러다가 위기에 빠졌다" 조롱

이 지역 자유민주주의 최후 보루

한국 대선의 범인류적 의의다

송재윤 캐나다 맥매스터대 교수·역사학

입력 2025.05.20. 00:20


8년 만에 다시 대통령이 파면당해 3년 만에 대선이 또 치러진다. 내란 종식, 체제 전쟁, 세대교체 등등 각 당 유력 후보들이 외치는 거창한 구호들은 진부하고 공허하다. 5년 단임 대통령제 국가에서 징검다리 졸속 대선을 치르는 나라가 또 있을까? 헌정의 정상 궤도를 벗어나는 국가 일탈은 누구의 책임인가. 풍차로 뛰어드는 돈키호테처럼 반국가 세력을 척결하겠다며 황당무계한 계엄령을 선포한 대통령 한 명의 책임인가? 수십 건의 위헌적 관료 탄핵도 모자라 대통령 권한대행의 권한대행까지 탄핵하겠다며 의회 폭주를 일삼은 거야의 책임인가?

정치판 사생결단의 책임은 열에 아홉 쌍방 모두에 있다. 국가 비상사태를 함께 만든 괴물 같은 양당이 서로 다시 대권을 잡겠다고 덤비는 형국은 기괴하다. 서툰 드라마 작가가 날림으로 써제낀 막장 정치극 같다. 세계 12대 경제 대국, 5대 군사 강국, 한류 열풍의 문화 강국이 대체 어쩌다 이토록 무익한 정치 투쟁에 국력과 시간을 허비하고 있는가? 인(人)의 잘못보다 법의 착오를 문제 삼는 정치학자들은 입만 열면 개헌을 외치지만, 헌법을 뜯어고쳐 제도를 교묘하게 짠들 정치권의 구태와 악습이 일소될 리 없다.

매번 이런 사달이 나는 까닭은 헌법 자체가 잘못돼서가 아니라 헌법을 오독(誤讀)하고 악용하는 정상배와 모리배가 발호하기 때문이다. 국가의 주권자로서 국민의 중대 의무는 소중한 참정권을 신중하게 행사하여 그 낡은 세력을 퇴출하는 일이다. 그들이 읊어대는 자기변명에 넘어가고, 그들이 쏟아내는 포퓰리즘에 현혹당한다면, 국민 주권을 실현하는 선거 민주주의의 대의가 무너진다.

세계가 한국의 선택을 주시하고 있다. 동아시아에선 한국, 일본, 대만만이 자유로운 선거 민주주의를 실현해 왔는데, 일본은 패망 후 미 군정 지배 아래서 자유민주주의를 이식받은 경우이고, 대만은 스스로 민주화를 이뤘음에도 국가 지위를 승인받지 못한 상태다. 오직 한국만이 국민의 자발적 정치 참여로 민주화를 이루고 평화적 정권 교체에 성공한 자타 공인의 자유민주적 독립국이다. 그런 겉보기와 달리 한국 민주주의가 만성적 고질병을 앓아 왔음도 부인할 수 없다.

1987년 이래 대선 때마다 유권자들은 어디서 또 돌발 변수가 터질지 몰라 막판까지 가슴 졸여야 했다. 3당 합당, DJP연합, 대선 전날 단일화 결렬 등등 기상천외한 전략·전술과 예측 불허의 음모·술수가 끊이지 않았다. 500만 표 차이로 이겼던 “실용” 정권은 취임 100일 만에 광우병 파동을 만나 그로기 상태까지 몰렸고, 51.6% 득표로 권좌에 올랐던 최초의 여성 대통령은 군중 시위로 처참하게 쫓겨났으며, 20년 장기 집권을 장담하며 적폐 청산의 칼날을 휘두르던 촛불 정권은 실정을 거듭하다 재집권에 실패했다.

탄핵 정국 이후 졸속으로 펼쳐진 이번 대선도 혼탁하기 이를 데가 없다. 다음 정권을 누가 잡든 과연 정치적 파국을 피해 갈 수 있을까? 한국에서 정치적 대혼란이 터질 때마다 중국공산당은 기민하게 그 사태를 체제 선전에 이용한다.

중국의 관영 매체에 비친 한국 정치는 무법천지의 중우 정치와 서슬 퍼런 정치 보복의 연속이다. 중국 학자들은 한국이 어쭙잖게 미국식 민주주의를 흉내 내다가 위기에 빠졌다고 설파한다. 중국 네티즌들은 한국 정치판의 진흙탕 싸움을 보고 즐기며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직업은 한국 대통령이라며 조롱한다. 삼권분립을 비판하고 일당독재를 선양하는 중국공산당은 한국이 난정(亂政)의 나락으로 추락하길 바란다.

한국식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하면 중국식 일당독재의 이념적 기반이 강화되는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아이러니다. 바로 그 점에서 한국 대선은 내정에 머물지 않고 글로벌 차원의 도미노 효과를 낳는다. 긴박하게 재편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이번 한국 대선엔 전체주의 세력에 맞서 동아시아 자유민주주의의 최후 보루를 지키는 범인류적 의의가 있다. 국내외 모든 상황을 고려할 때,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은 정치 혁신과 헌정 확립이다.

무관용과 비타협의 이전투구식 정치 행태를 뜯어고치지 않고선 민주적 헌정 질서가 확립될 수 없다. 민주적 헌정 질서의 확립 없이 한국의 민주주의는 지속될 수 없다. 한국 민주주의의 몰락은 동아시아 전역의 정치적 퇴행을 초래한다. 때론 현명한 유권자의 신중한 투표가 아래로부터의 정치 혁명을 개시할 수 있다. 정치를 혁신하고 헌정을 확립하자.


많이 본 뉴스

[朝鮮칼럼] 韓 민주주의 위기, 中의 일당독재를 강화한다

8년 만에 다시 대통령이 파면당해 3년 만에 대선이 또 치러진다. 내란 종식, 체제 전쟁, 세대교체 등등 각 당 유력 후보들이 외치는 ...


[데스크에서] "100년 원전 협력"… 체코를 다시 봤다

‘팀 코리아’의 체코 원전 수주전을 지켜보며 체코라는 나라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됐다. 우리는 수주전 초기, 비용·납기·기술 모두 우세...


[윤희영의 News English] 외국인 눈에 비친 한국인 특성

한류의 원산지(birthplace of the Korean Wave)를 찾아오는 외국인 관광객·유학생·체류자가 늘어나면서 그들 눈에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