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國際.經濟 關係

국내 상장사 5곳 중 1곳은 이자도 못 내는 ‘한계기업’ 신세

鶴山 徐 仁 2025. 2. 6. 13:05

경제

 

국내 상장사 5곳 중 1곳은 이자도 못 내는 ‘한계기업’ 신세

  • 동아일보  업데이트 2025-02-06 11:322025년 2월 6일 11시 32분 입력 2025-02-06 11:21

한경협, 주요 6개국 한계기업 조사 발표

크게보기

한국경제인협회의 사옥인 서울 여의도 FKI타워. 동아일보DB

 

국내 상장사 5곳 중 1곳은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를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3년 연속 1을 밑도는 기업을 뜻한다. 금융권 대출 연장이나 정부 지원 등으로 겨우 연명하기 때문에 이미 생명력을 잃었음에도 활동한다는 의미의 이른바 ‘좀비기업’이라고도 부른다. 이렇게 경영 사정이 어려운 한계기업이 늘었다는 것은 한국 경제가 그만큼 어려움에 빠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한국과 주요 5개국(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 상장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지난해 3분기(7~9월) 기준 19.5%(2260곳 중 440곳)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미국(25.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그 뒤로 프랑스(19.4%), 독일(18.7%), 영국(13.6%), 일본(4.0%) 등의 순이었다.

국내 한계기업을 업종별로 살피면 부동산업(33.3%),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24.7%), 도매‧소매업(24.6%), 정보통신업(24.2%)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 상승 폭도 가팔랐다. 2016년에는 7.2%였던 것 대비 지난해에는 12.3%포인트 증가했다. 이 기간 한국의 한계기업 수는 163곳에서 440곳으로 8년 새 2.7배로 늘었다. 미국(15.8%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 폭이 컸다. 영국(6.9%포인트), 프랑스(5.4%포인트), 일본(2.3%포인트), 독일(1.6%포인트)은 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또한 2016~2024년 사이 코스피의 한계기업 비중은 2.5%포인트(8.4%→10.9%) 오른 가운데 코스닥의 한계기업 비중은 17.1%포인트(6.6%→23.7%) 늘어나 상승 폭이 더 컸다. 지난해 3분기 코스닥의 한계기업 비중은 코스피 대비 12.8%포인트 높았다. 중소·중견기업이 경기 부진의 타격을 더 크게 받고 있는 것이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내기업들은 극심한 내수 부진과 ‘트럼프 2.0’에 따른 수출 불확실성으로 경영압박이 크게 가중됐다”며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스탠다드(국제 기준)에 맞지 않는 상법 개정 논의를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협       #한계기업       #좀비기업

 

한재희 기자 h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