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國際.經濟 關係

[사설] 중국 30대 젊은 혁신의 힘, 한국은 의대 광풍

鶴山 徐 仁 2025. 2. 3. 12:08

오피니언 사설

[사설] 중국 30대 젊은 혁신의 힘, 한국은 의대 광풍

조선일보


입력 2025.02.03. 00:15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고성능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을 주도한 뤄푸리. 30세로 중국에서 공부한 토종 청년 인재다. /웨이보

저비용·초고성능 인공지능(AI) 모델을 선보여 충격을 준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개발 주역은 30세 여성 공학자 뤄푸리였다. 뤄푸리는 쓰촨성 시골 마을 출신으로, 해외 유학 경험 없이 베이징대학 등에서 공부한 순수 국내파다. 세계적 자연어 처리 학술대회에서 논문 8편을 발표해 전문가들을 놀라게 한 그는 질문에 따른 맞춤 데이터 개발 방식인 ‘전문가 혼합’ 기법을 통해 미국 오픈AI와 맞먹는 고성능 모델을 개발했다. IT 대기업에서 1000만위안(20억원)의 연봉을 제안받으며 중국 2030의 우상으로 떠올랐다.

중국 첨단 기술 분야엔 뤄푸리 같은 청년 인재가 넘친다. ‘로봇개’와 ‘칼군무 휴머노이드’로 유명한 ‘유니트리’의 창업자 왕싱싱은 35세, ‘즈위안 로봇’을 이끄는 펑즈후이는 32세, 중국 AI의 영웅으로 불리는 ‘문샷AI’의 양즈린은 32세다. AI·로봇 분야 대표 기업 창업자 대부분이 중국에서 공부한 국내파다. ‘주링허우(九零後·1990년 이후 출생자)’라 불리는 2030세대가 첨단 산업 혁신의 주도자로 떠오른 것이다.

중국 정부는 2017년 ‘차세대 AI 발전 계획’을 발표하는 등 첨단 기술 육성 정책으로 청년들에게 폭넓은 기회와 보상을 제공했다. 그 결과 매년 과학·기술 분야 박사가 8만명, 공학 엔니지어가 150만명씩 배출되고 있다. 기업들도 각종 인재 육성,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토종 인재들을 발굴·유치했다. 기술 관료 우대 정책으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의 절반이 ‘테크노크라트’로 채워졌다. 제2, 제3의 뤄푸리와 딥시크가 계속 나올 수밖에 없다.

한국에선 인재가 모두 의대로만 쏠린다. 반도체 학과는 등록금 면제와 취업을 보장해도 정원 채우기조차 어렵다. 우수한 이공계 인력은 한국을 떠나고 있다. 반도체법, AI 기본법 등은 국회에 발목 잡혀 있다. 우수한 인재가 의사·변호사로만 몰리는 나라에 어떤 미래가 있겠나. 청년들이 과학기술 분야에 뛰어들어 혁신을 주도하고 충분한 보상이 주어지는 시스템을 만들지 못하면 글로벌 기술 전쟁에서 패자로 전락할 것이다.

#사설

 


많이 본 뉴스

안도 다다오도 반한 정주영 넷째 며느리 "손때 묻은 옛물건, 날 절망서 구원"

건축가 안도 다다오와 이행자는 오랜 친구 사이다. 제주 서귀포에 본태박물관을 세울 때 건축주와 설계자로 만난 두 사람은 ‘일 중독’인...


[新중동천일야화] 휴전 확정 다음 날… 이스라엘 장군들은 하나같이 옷을 벗었다

가자 전쟁이 멈췄다. 하지만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 3단계 중 첫 단계의 시작일 뿐이다. 42일간의 휴전을 거쳐 양측의 약속 이행을...


[朝鮮칼럼] 이제는 헌법재판소가 법치를 실현해야 할 때

여섯 시간 깜짝 계엄이 환(幻)처럼 왔다 간 후 대한민국엔 기상천외의 정국이 펼쳐졌다. 대통령이 “패악질을 일삼은 반국가 세력 척결”을...


鶴山:

이러한 현상은 한국과 중공 사회의 미래를 그려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