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政治.社會 關係

[단독]산재보험금 6억 타낸 ‘사지장애 환자’, 담배 떨어지자 휠체어서 ‘벌떡’

鶴山 徐 仁 2023. 10. 26. 14:51

사회 사회 일반

[단독]산재보험금 6억 타낸 ‘사지장애 환자’, 담배 떨어지자 휠체어서 ‘벌떡’

文정부가 키운 ‘산재 카르텔’ 실태

전치 4주짜리 ‘테니스엘보’에 치료비 1억원, 3년 요양

산재 환자, 年 7000명→2만명 급증

사지부전마비인 D씨가 편의점 앞에 휠체어를 주차시킨 뒤 전화를 받으며 편의점에 다녀오는 장면./ 최훈민 기자


입력 2023.10.26. 09:15업데이트 2023.10.26. 11:29

2015년 5월 일터에서 넘어져 디스크가 생겼다며 산재 승인을 받은 A씨는 지금껏 9년째 요양을 하고 있다. 그에게 들어간 보험급여는 총 6억6886만원. 그는 2021년 상세불명의 사지부전마비로 추가 산재 승인을 받았고, 지난해엔 신경인성방광과 발기부전, 변비, 변실금도 추가됐다. 그런데 취재 과정에서 사지부전마비인 그가 편의점 앞에 휠체어를 세워 놓은 뒤 한 손으론 전화를 받으며 뚜벅뚜벅 걸어 들어가 물건을 산 뒤 걸어 나오는 장면이 포착됐다. /최훈민 기자

23일 오후 3시쯤 대구 북구 한 편의점 앞엔 빈 휠체어 한 대가 덩그러니 놓여있었다. 휠체어 주인인 40대 남성이 잠시 뒤 담배 가게에서 ‘걸어’ 나왔다. 오른손엔 휴대전화가, 왼손에는 방금 산 담배 한 갑이 들려 있었다. 그는 불편한 모습 없이 휠체어로 걸어가 앉았지만, 이후 수 시간 외부활동 뒤 귀가 때까지 다시는 ‘일어서는 모습’을 남에게 보이지 않았다.

이 사람, 48세 A씨는 산재를 관리·감독하는 근로복지공단 기록상으론 ‘사지부전마비 환자’다. 양쪽 팔다리 근육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감각 장애가 있다는 의미다.

A씨는 2015년 일터에서 발병한 ‘경추 디스크’로 산업재해 판정을 받았다. 당시 일반병원의 A씨에 대한 판정은 ‘입원 1주, 통원 11주’였다. 하지만 A씨는 3년을 요양한 뒤에야 직장에 돌아왔다. 그리곤 다시 반 년도 채 지나지 않아 복숭아뼈 골절로 입원했고, ‘3년 전 디스크’를 앞세워 산재 요양을 재(再)신청해 △사지부전마비 △신경인성방광 △발기부전 △변비 △변실금 등을 줄줄이 추가 승인 받았다.

그는 디스크 판정일로부터 8년이 흐른 지금까지 ‘근로복지공단 직영병원‘을 다니며 ‘요양’ 중이다.

A씨는 ‘요양’하면서 돈도 번다. 연(年) 평균 4604만원에 해당하는 돈이 8년 간 그의 통장으로 들어왔다. 장해급여로 일시불 6458만원을 받았고, 매년 평균 2605만원의 휴업급여도 받았다. 자가용 통원 교통비로 연 평균 1011만원을 받았다. 진료비와 간병비까지 더해 A씨에게 투입된 보험급여 총액은 6억6886만원이다. 이와 별개로, 그의 직장은 A씨에게 줄 퇴직금을 매달 꼬박꼬박 쌓아가고 있다.

‘나이롱 환자’는 과거에도 많았지만, 문재인 정부를 거치며 급증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작년 연간 산재질환자 숫자는 2016년 대비 3배 규모로 급증했다.

이 기간 근로복지공단 직영병원엔 일반병원에 없는 ‘산재 전용 특별수가’가 생겨났다.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산재를 폭넓게 인정해주는 ‘추정의 원칙’이 도입됐고, 공단은 산재 판정의 감독관 역할을 맡던 ‘외부 자문’도 없앴다. 각종 ‘나이롱 환자 견제 장치’가 사라진 것이다. 공단은 일반병원에 다니던 환자를 직영병원이 끌어오면 이를 ‘실적화’ 해 포상금 잔치를 벌였다.

과거부터 있었던 근로복지공단-직영병원-나이롱환자의 ‘산재 카르텔’이 날개를 달았다.

2015년 5월 일터에서 넘어져 디스크가 생겼다며 산재 승인을 받은 A씨는 지금껏 9년째 요양을 하고 있다. 그에게 들어간 보험급여는 총 6억6886만원. 그는 2021년 상세불명의 사지부전마비로 추가 산재 승인을 받았고, 지난해엔 신경인성방광과 발기부전, 변비, 변실금도 추가됐다. 그런데 취재 과정에서 사지부전마비인 그가 편의점 앞에 휠체어를 주차 시킨 뒤 한 손으론 전화를 받으며 뚜벅뚜벅 걸어 들어가 물건을 산 뒤 걸어 나오는 장면이 포착됐다. /최훈민 기자

◇접질렸다고 18년 통원치료… 반년 이상 장기산재요양, 7만명

25일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산재환자 리스트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 8월까지 ‘6개월 이상 요양한 산재환자’는 총 7만1306명이었다. 따로 통계를 내면, 이들 장기(長期) 요양환자에게만 보험급여가 1인당 평균 1억5436만원, 합산으론 11조68억원이 투입됐다. ‘10억원 이상 보험급여를 지원 받은 사람’만 총 1136명으로 이들의 평균 입원일수는 13.4년(4877일), 통원일수는 6.5년(2335일)이었다.

A씨와 같이 1억원 이상 교통비를 타간 사람만 71명이었다. 가장 많이 받아간 사람은 22년째 허리 디스크 등으로 요양을 하고 있는 인물로, 총 4억60만원을 타갔다. 산재환자가 받는 보험급여는 기업이 근로자 대신 정부에 낸 ‘산재보험기금’에서 지출된다. 보험급여 종류로는 장해·휴업급여, 진료비, 간병비, 교통비 등이 있다.

이 가운데 과잉 진료를 받아온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가 여럿 발견됐다. 2005년 목과 허리, 어깨 관절의 염좌로 산재를 신청한 B(53)씨는 총 180일을 입원한 뒤 지금껏 18년째 통원 치료를 받으며 총 11억9410만원의 보험급여를 받았다. 염좌는 쉽게 말해 ‘삐었다’는 뜻이다.

◇文정부 들어 심화… ‘테니스엘보’로 치료비 1억원 쓰며 3년 요양

‘나이롱 환자’는 오래 전부터 있었지만 문 정부 들어 더욱 많이 생겨났다. C(62)씨는 2021년 ‘테니스 엘보(양측 외측상과염)’로 73일 입원 뒤 요양 치료를 받은 지 3년(925일)차가 됐다. 그에게 들어간 보험급여는 1억원에 육박한다. 일반병원에선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발행한 ‘진단서 등 작성·교부 지침’에 따라 상해와 질병에 맞는 대략적인 요양기간을 정한다. 테니스 엘보 요양기간은 대략 4주다.

문 정부 들어 오십견과 유사한 통증의 회전근개 근육 및 힘줄 손상 등으로 산재 승인을 받은 환자 11명을 집계한 결과, 평균 입원일수는 361일, 통원일수는 801일로 나타났다. 이들에게 들어간 1인당 평균 보험급여는 2억5187만원이었다. 이 질환의 치유 기간은 약 12주다.

일반인들은 이런 사람들처럼 요양할 수 없다. 일반인 건강보험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관리·감독을 받기 때문이다. 심평원은 의협의 ‘진단서 등 작성·교부 지침’에 과도하게 넘어선 입원이나 통원에 대해 건강보험료를 지원해주지 않는다.

◇일반 건강보험에 없는 항목 만들고 외부 검증 없애

이런 대규모 산재 질환자 발생 배경에는 제도 변화가 있었다. 문 정부는 2017년 9월 산재 판정에서 이른바 ‘추정의 원칙’을 도입했다. ‘일 때문’이란 연관성이 비교적 명확한 상해(다침)과 달리, ‘질병’은 그 인과관계를 입증하기 어려운데, 문 정부는 추정의 원칙으로 다양한 질병에 대해서도 산재를 인정토록 했다.

근로복지공단은 2017년부터 ‘집중재활치료’ 같은 산재환자만의 특별수가 항목을 만들었다. 도수치료 같이 일반병원에선 건강보험으로 지원 받지 못하는 비급여항목을 직영병원에선 산재보험기금을 통해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공단 직영병원은 이런 특별수가로 최근 5년 간 산재환자를 통해 2707억원의 산재보험기금을 타냈다.

또 공단은 일반병원에서 수술한 산재환자에게 ‘특별수가 적용’이나 ‘입원 연장’을 미끼로 직영병원에 데려 오는 ‘환자 빼돌리기’를 실적화 해왔다. 일반병원에서 수술한 환자는 그 병원에서 보통 입원하고 통원 치료를 받기 마련인데, 이 입원환자를 직영병원으로 데려온 공단 지사에 1점, 통원 환자를 데려오면 0.33점을 주는 등 전원(轉院)을 실적화해 지사별 수천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했다.

거기에 2018년 3월엔 ‘산업재해보상보험 의학자문 운영지침’에 “직영병원에서 제출한 ‘진료계획서’는 의학 자문 생략 가능” 항목까지 담았다. 환자들이 공단 직영병원으로 진료를 받으러 오면, 직영병원 소속 의사들은 진단서와 필요한 요양 기간이 적힌 진료계획서 등을 공단에 제출하고, 공단은 이를 외부 의사에게 재검증 맡겨 요양 기간을 조정, 과도하게 책정된 ‘나이롱 환자’를 걸러내 왔다. 그런데 이런 재검증 과정을 없애 버려 직영병원이 나이롱 환자를 외부 견제 없이 자체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곤 ‘산재 관리·감독하는 공단 실무지사’와 지사 관할 ‘직영병원 영업 부서’ 간 인사 교류까지 시행했다. 나이롱 환자 방지를 위해 서로 견제해야 할 관계는 ‘선후배 사이’가 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이전까지 7000명대였던 연간 업무상 질병자수는 2017년부터 9000명대로 늘더니, 2021년엔 2만명을 넘겼다.

◇일반병원 환자, 공단 직영병원으로 끌어오면 ‘실적’으로

근로복지공단 직영병원·의원 이익은 크게 늘었다. 직영병원 손익계산서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직영병의원 13곳(2023년 기준)의 누적 영업이익은 -564억원이었는데,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직영병원의 누적 영업이익은 471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5년 내 6개월 이상 요양 환자에게 뿌려진 보험급여 11조원 중 약 2조6000억원이 공단 직영 병원에서 주로 요양을 하는 산재환자에게 투입됐다. 이런 상황에서 공단은 또 병원을 짓고 있다. 오는 2026년엔 울산에 한 곳이 더 들어설 예정이다.

이들의 진단서 등을 본 한 전문의는 “상해와 질병에는 그에 맞는 대략적인 치료기간이란 게 있다”며 “물론 정확한 건 환자를 봐야 알겠지만, 서류만으로 판단하자면 환자들이 공단 먹여 살리려고 직영 병원에 통원을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근로복지공단 직영병원을 독립 시켜 보건복지부 산하 심평원 관리·감독을 받도록 해야 혈세 낭비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자는 산재 신청 시, 경북 김천시에 산다며 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까지의 통원 치료 교통비를 1억원 넘게 지원 받아온 A씨를 20일부터 23일까지 따라다녀 봤다. 23일 대구에서 병원 치료를 마친 A씨는 택시를 타고 인근 모처로 들어갔다.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이곳은 A씨의 부모 집으로 추정된다. 근로복지공단은 자가용 이용자에게는 거주지와 병원 거리에 해당하는 택시비의 절반 가량을 교통비로 지급한다. 사지부전마비 환자인 그는 경북 김천에서 대구까지 자가용을 이용한다며 교통비를 타갔다. /최훈민 기자

이에 대해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은 “근로복지공단은 산재환자 ‘셀프 승인’을 통해 직영병원으로 환자를 유인하며 수천억에 이르는 기금을 조직적으로 좀비처럼 취하고 있었다”면서 “산재 인정부터 내부 지침 변경까지 산재 카르텔의 총집합체인 공단 및 공단 직영병원에 대한 대대적인 감사원 감사와 수사가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