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軍事 資料 綜合

[만물상] 용산 미 8군 기지 이전

鶴山 徐 仁 2017. 7. 12. 13:40


[만물상] 용산 미 8군 기지 이전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을 태운 헬기가 서울 상공으로 솟구쳤다. 2003년 노무현 정부가 용산 미군 기지 이전을 요구하고 있을 때였다. 헬기 창문을 통해 용산 일대를 내려다보던 그가 참모에게 한마디 했다. "렛츠 겟 아웃." 용산기지에서 미군이 떠나자는 뜻이었다. 그는 나중에 "만약 뉴욕 센트럴파크에 외국 군대가 주둔하고 있다면 미국인들은 어떻게 생각하겠느냐"고도 했다.


▶용산 미군 기지 이전은 사실 부시 미 정부가 더 원한 것이었다. 9·11 테러로 안보 환경이 급변하자 미국은 해외 미군 재배치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휴전선에서 인계철선(引繼鐵線) 역할을 하던 2사단과 용산기지를 통합해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했다. 이때 대선에서 반미(反美) 정서를 활용했던 노무현 대통령이 미군 기지 이전 문제를 꺼내 든 것이다. 미국은 못 이기는 척 이전에 동의했다. 9조원에 달하는 이전 비용을 한국이 부담하는 조건은 미국엔 더할 나위 없이 반가운 것이었다.


칼럼 관련 일러스트


▶6·25 참전을 계기로 미군이 자리 잡기 전 용산에는 일제의 군 사령부가 있었다. 1904년 무렵 러·일 전쟁 이후부터였다. 1930년대 일제가 펴낸 관광지도를 보면 현재의 용산고 근처에 보병 78·79연대와 포병대, 경리단길에 사격장이 있었다. 지금의 동부이촌동에는 기병대, 서빙고동에는 공병대가 있었다.


▶용산에 주둔한 미 8군은 1944년 창설돼 2차대전 때 일본과 싸운 부대였다. 미 8군 관계자의 초청으로 기지 내 드래곤 호텔에서 스테이크를 먹는 것은 소수의 계층만 누릴 수 있는 특권이었다. 자동차에 부착된 용산기지 출입증은 한때 신분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쓰였다. 패티킴 신중현 윤복희 등 대중음악 스타들이 용산기지의 무대에서 이름을 알렸다. 철없는 미군 병사들의 일탈 행위가 사회문제가 된 적도 있었다. 이런 미 8군이 어제 64년간의 용산 시대를 마감하고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 새 청사에 입주했다.


▶얼마 전 둘러본 캠프 험프리스는 미국의 웬만한 소도시보다 훨씬 커 보였다. 미군과 미군 가족 4만2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주한 미군 사령관과 미 8군 사령관이 자신의 사무실에서 활주로를 내려다보며 근무 할 수 있게 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주한 미군은 그동안 북한의 위협을 잠재우며 대한민국 발전의 울타리 역할을 했다. 한·미 동맹은 이제 상호 호혜적인 관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런 역사적 사실을 잘 모르는 트럼프 미 대통령이 올해 중 방한한다. 그가 캠프 험프리스에서 한·미 동맹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느껴보기 바란다.


[지역정보]
용산 vs 뚝섬… 서울 최고급 아파트 '나야, 나'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1/2017071103445.html





鶴山 ;

종북좌파 노무현 정부의 자업자득의 결과로, 대국의 수완 속에 놀아니면서도 사이비 언론과 전교조 등이 중심이 된, 특히, 젊은 층의 얕은 상식에 의존하여 술수를 부리는 종북좌익계의 농간에 전시 작전권 전환과 미군 기지 이전을 내세워 인기몰이를 하는 양태를 접하다 보면, 한국민의 수준은 역시, 아직도 멀었다는 생각이다.

상황이 이러하니, 종편 방송에서 온갖 잡탕 쓰레기들이 전문가인척 뭔가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떠들고 있는 꼴이 바로, 우리 대한민국의 현주소라고 봐야 할 것이다.







탱크·헬기장 옆에 극장·병원 … 여의도 5.5배 ‘병영도시’

 
미 8군사령부가 11일 경기도 평택 캠프 험프리스 내 신청사에 공식 입주했다. 팽성읍 일대에 들어선 이 캠프는 1467만7000㎡(444만여 평) 규모로 동북아 최대 미 육군 기지다. 서울 여의도 면적(290만㎡)의 5.5배, 판교신도시 면적의 1.6배다. [오종택 기자]

미 8군사령부가 11일 경기도 평택 캠프 험프리스 내 신청사에 공식 입주했다. 팽성읍 일대에 들어선 이 캠프는 1467만7000㎡(444만여 평) 규모로 동북아 최대 미 육군 기지다. 서울 여의도 면적(290만㎡)의 5.5배, 판교신도시 면적의 1.6배다. [오종택 기자]



11일 국내 언론에 공개한 경기도 평택의 미군기지인 캠프 험프리스는 ‘평택 개리슨(Garrison)’이라고도 불린다. 개리슨은 규모가 큰 미 육군 주둔지를 뜻한다. 토머스 밴덜 미 8군 사령관은 이곳을 “해외 주둔 미 육군 기지 가운데 최대 규모”라고 밝혔다. 캠프 험프리스를 둘러보니 ‘최대’란 말이 실감났다.
 

4만5000명 수용 평택기지 가보니
해외 주둔 미군기지로 세계 최대
둘레18.5㎞ … 차로 돌아봐도 45분
다운타운도 2개, 초·중·고까지 운영
경부선 철도 지선 영내로 들어와


캠프 험프리스의 면적은 여의도의 5.5배인 1467만7000㎡다. 기지 둘레는 18.5㎞. 차로 둘러보는 데 45분 걸린다고 한다. 물론 영내 규정 속도인 시속 40㎞ 기준이다.
 
캠프 험프리스는 원래 주한미군의 헬기 부대인 제2전투항공여단이 주둔한 곳이었다. 이날도 AH-64 아파치 전투헬기와 CH-47 치누크 수송헬기, UH-60 블랙호크 다목적헬기 등이 2㎞ 길이의 활주로에서 쉴 새 없이 뜨고 내렸다. 항공기로 북한을 정찰하고 통신을 감청하는 제501군사정보여단의 제3군사정보대대도 이곳이 주둔지다.
 


관련기사

 

 
2003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전국의 173개 주한미군 기지와 시설을 통폐합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캠프 험프리스엔 서울 용산의 주한미군사령부와 8군사령부, 의정부·동두천의 제2보병사단 등이 이전한다. 지난달 기준으로 평택 기지의 공정률은 94%였다. 주한미군사령부는 올해 안에 옮겨지며, 2사단은 내년까지 이전이 완료된다.
 
주한미군의 주력이 대부분 캠프 험프리스로 옮겨지지만 예외가 있다. 제210야전포병여단은 캠프 케이시(동두천)에 계속 남는다. 이 부대는 다련장로켓(MLRS)과 전술 지대지 미사일(ATACMS) 등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북한 장사정포에 맞서는 대화력전의 핵심 전력이다.

 


한·미는 한국군의 능력이 갖춰질 때까지 이 부대를 남기기로 했다. 또 한미연합사령부의 소수 인원은 한국 합동참모본부와 협조하기 위해 용산에 잔류한다.
 
캠프 험프리스는 향후 주한미군의 ‘작전 허브’ 기능을 할 예정이다. 그에 맞춰 군사시설도 잘돼 있다. 부대 곳곳엔 다양한 종류의 장갑차·트럭·지원차량 등이 즐비했다. 3600대를 주차해 정비를 할 수 있는 차량정비 시설(9만㎡)이 모두 3곳이 있다. 영내엔 전차 기동 훈련장과 소화기(소총) 사격장, 유격훈련장 등도 있다. 주한미군 관계자는 “간단한 훈련은 영내에서 할 수 있으며, 규모가 큰 훈련이나 전차 실탄 사격 훈련은 경기 북부의 캠프 로드리게스에서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캠프 험프리스는 또 유사시 증원 병력의 전개를 위한 최상의 입지조건을 갖췄다. 철도 경부선의 지선을 영내 안으로 끌어와 부산·의정부 등 전국으로 군수물자를 운송할 수 있다. 평택항과도 가깝다. 자체 활주로를 보유하고 있고, 미 공군이 주둔한 오산기지가 근처에 있다. 이는 주한미군 병력과 무기를 한반도 이외 지역의 분쟁에 손쉽게 투입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국방부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 관계자는 “캠프 험프리스는 4만4000~4만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라며 “수용은 거주와 다른 군사적 개념이다. 전시 병력을 영내에 받을 수 있는 수준이 4만5000명까지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영내에는 마트·극장·복지시설·동물병원 등이 들어선 ‘다운타운’이 2곳이 있다. 스타벅스·타코벨 등 미국계 프랜차이즈 매장도 곳곳에 보인다. 군인과 군무원의 자녀들이 다니도록 어린이집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마련됐다. 규모는 작지만 어린이들이 좋아할 만한 워터파크가 있다. ‘미국 본토의 소도시를 그대로 옮겨왔다’는 평가에 고개가 끄떡여진다. 장성과 영관 장교를 위한 개인 주택은 한국의 전통 디자인을 따 기와를 얹었다.
 
평택=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탱크·헬기장 옆에 극장·병원 … 여의도 5.5배 ‘병영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