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어디든 때린다, 800㎞ 탄도미사일 발사 성공
입력 : 2017.04.07 03:14
軍, ICBM의 핵심 '대기권 재진입' 기초 기술 확보
軍, 연내 '현무-2C' 실전배치… 함경북도 핵·미사일시설 사정권
우리 군이 최근 북한 전역을 사정권에 넣는 사거리 800㎞ 현무-2C(가칭) 탄도미사일의 시험 발사에 성공한 것으로 6일 확인됐다. 한·미가 2012년 미사일 지침 개정을 통해 우리 군의 탄도미사일 최대 사거리를 300㎞에서 800㎞로 연장한 지 5년 만이다. 사거리 800㎞면 남부 지역에서 쏴도 북한 전역을 타격할 수 있다. 군 당국은 올해 안에 현무-2C의 실전 배치를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이날 "(현무-2C의) 시험 발사는 최근 국방과학연구소(ADD) 안흥시험장(충남 태안)에서 한민구 국방장관 참관하에 이뤄졌다"며 "발사, 비행, 표적 타격 등 모든 부문에서 기준치를 충족했다"고 말했다. 다만 안흥시험장에서 미사일을 최대 사거리로 날려 보내는 데 공간적 제약이 있어 비행 거리를 인위적으로 줄인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군이 운용 중인 현무 계열 미사일은 사거리 300㎞ 이상 현무-2A와 500㎞ 이상 현무-2B 탄도미사일, 1000㎞ 이상 순항미사일 현무-3 등이 있다. 앞서 군은 2012년 4월과 2015년 6월에 각각 현무-3와 현무-2B의 시험 발사 장면을 공개했다. 사거리 800㎞ 현무-2C까지 전력화되면 북한의 신형 300㎜ 방사포와 스커드B 미사일의 사정권 밖인 중부 이남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북한 전역을 타격할 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 미사일은 우리 군의 대북 선제타격 개념인 '킬체인', 유사시 북한의 전쟁 지도부와 핵·미사일 시설을 파괴하는 대량 응징 보복(KMPR) 체계의 핵심 수단으로 쓰일 전망이다.
![미사일 사거리별 최대 탄두 중량과 도달 범위 지도](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704/07/2017040700291_0.jpg)
우리 군은 2012년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에 따라 사거리 800㎞ 탄도미사일을 개발할 수 있게 됐다. 경북 포항에서 북한 최북단 온성까지가 약 800㎞다. 사거리 300㎞짜리 기존 미사일은 군사분계선(DMZ) 인근에서 쏴도 북한의 핵·미사일 시설이 밀집된 함경북도에 닿지 못한다. 우리에게 위협이 되는 북한 미사일 기지는 중부 지역을 기준으로 300㎞ 안쪽이 4곳, 400㎞ 이내가 6곳, 550㎞ 이내인 곳이 9곳으로 알려졌다.
개정 협상 당시 정부는 사거리 연장과 함께 사거리와 최대 탄두 중량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 유지에도 역점을 뒀다. 탄두 중량을 줄이면 사거리를 늘릴 수 있고, 사거리를 줄이면 탄두 중량을 늘릴 수 있다는 얘기다. 개정된 미사일 지침에 따르면 사거리가 800㎞인 탄도미사일의 최대 탄두 중량은 500㎏이지만 사거리를 500㎞, 300㎞로 줄이면 탄두 중량은 각각 1t, 1.5~2t으로 키울 수 있다. 사거리가 짧아지는 대신 파괴력은 커지는 것이다. 사거리 500~550㎞면 우리 군의 미사일 기지가
있는 중부 지역에서 북한 전역을 때릴 수 있다.
군 당국은 이번 현무-2C 미사일 개발 과정에서 초보적인 재진입 기술도 확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07/2017040700291.html
'軍事 資料 綜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해군, 드디어 한국형 토마호크 미사일 손에 넣어 (0) | 2017.04.18 |
---|---|
한반도 전격 이동 칼빈슨호 성능과 크기는? (0) | 2017.04.09 |
현무 시리즈 미사일의 발사 및 표적 명중 장면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영상 (0) | 2017.04.06 |
[박수찬의 軍] "한물갔다고?"..퇴역 중고무기의 화려한 변신 (0) | 2017.04.05 |
[사설] 내부 政爭이 이스라엘과 한국의 차이를 불렀다 (0) | 2017.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