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中·日 항모에 대응… 해군, 작년부터 "輕항모(2만~3만t급) 확보해야"
입력 : 2013.10.14 03:09 | 수정 : 2013.10.14 11:34
"영유권 분쟁때 2분이면 출동 가능… 최소 2척은 필요해"
지난해 외부 연구용역 실시, 항모 보유는 장기정책과제라는 기존입장과 큰 차이 보여 주목
6만~10만t급 중·대형 항모는 비용 대비 효과 적어 추진 안해
최윤희 합참의장 후보자가 지난 11일 항공모함 확보를 위한 필요성 검토 계획을 밝힌 가운데 해군이 지난해에 중·일의 항모 보유에 따른 경(輕)항모 보유 필요성 등에 대한 외부 연구 용역을 실시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해군은 내부적으로도 2030년대까지 경항모 확보를 위한 3단계 전략을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영유권 분쟁 시 대응"
국회 국방위 소속 정희수 의원(새누리당)이 13일 정부 당국으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해군은 A사 국방연구소에 '주변국 항모 전력 보유에 따른 해군의 대응 전략 수립 및 전력 소요 검증'을 주제로 연구 용역을 의뢰해 지난해 11월 최종 보고서를 받았다. 이 보고서는 유사시 신속한 해양 영토 보호 및 탈환, 주변국에 대한 전략적 효과 극대화를 위해 '경항모형(型) 다목적 상륙함'을 최소 2척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 방법으로는 독도함 2번함을 2만~3만t급 수준의 경항모급(級)으로 건조하고, 이와 병행해 기존 독도함을 수직이착륙기를 운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조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영유권 분쟁 시 대응"
국회 국방위 소속 정희수 의원(새누리당)이 13일 정부 당국으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해군은 A사 국방연구소에 '주변국 항모 전력 보유에 따른 해군의 대응 전략 수립 및 전력 소요 검증'을 주제로 연구 용역을 의뢰해 지난해 11월 최종 보고서를 받았다. 이 보고서는 유사시 신속한 해양 영토 보호 및 탈환, 주변국에 대한 전략적 효과 극대화를 위해 '경항모형(型) 다목적 상륙함'을 최소 2척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 방법으로는 독도함 2번함을 2만~3만t급 수준의 경항모급(級)으로 건조하고, 이와 병행해 기존 독도함을 수직이착륙기를 운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조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또 해군은 독도함 개조(1단계), 독도함 2번함을 경항모형 다목적 상륙함으로 건조(2단계), 2028~2036년 3만t급 경항모 2척 확보(3단계) 등 단계적인 경항모 확보 계획을 검토했다고 소식통이 전했다.
해군이 독도함 건조업체인 한진중공업에 의뢰한 결과 36억원의 예산으로 6개월이면 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군이 그동안 "항모 도입은 중·장기 전력 증강 계획에 들어 있지 않고 장기 정책 과제에만 포함돼 있다"고 밝혀온 공식 입장과 큰 차이가 있는 것이다.
해군의 이런 구상은 우선 중국·일본과 독도·이어도 등 영유권 문제를 비롯한 분쟁 발생 시 주변국의 도발을 억제해야 한다는 점 때문이다. 군 소식통은 "주변국과 영토 분쟁 시 지상 기지에서 발진하는 항공기는 대응하는 데 30~40분 이상이 소요되지만 분쟁 해역에 이미 출동해 있는 항모의 함재기는 2분 이내 긴급 대응이 가능하다"고 했다. 또 북한이 백령도·연평도 등 서북 도서 점령을 시도할 경우 지금처럼 육지에서 대응 전력(戰力)이 출동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강력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중형 항모는 과도한 선택"
해군이 미국의 9만~10만t급 대형 항모나 중국이 지난해 배치한 6만~7만t급 중형 항모 대신 경항모를 검토 중인 것은 중·대형 항모가 비용 대비 효과 면에서 우리에게 적절치 않다고 보기 때문이다. 미국의 주력 항모인 니미츠급은 건조비에 5조~7조원, 연간 운용 유지비(함재기 포함)만 8000억원 이상이 들지만, 2만~3만t급 경항모는 건조비 1조~1조5000억원, 연간 운용 유지비 300억~400여억원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난해 해군 용역 보고서도 "중국에 버금가는 항모 확보는 한국 입장에서 과도한 선택"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해리어·F-35B 등 수직이착륙기와 상륙작전용 헬기 등을 탑재해 상륙작전도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 경항모가 우리에게 적절한 선택이라는 것이다. 이탈리아의 카보우르(2만7000t급), 스페인의 후안 카를로스(2만7500t급)가 모델로 꼽힌다.
해군이 중·대형 항모보다 돈이 적게 드는 경항모 보유를 추진하더라도 예산 확보 및 효용성 면에서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다. 해군은 현재 이지스함 3척 추가 건조 등 기동 전단(戰團) 3개 건설을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1개 기동 전단 건설에는 줄잡아 10조원 안팎의 돈이 들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해군은 사실상 1개 기동 전단만 보유한 상태다. 일각에선 한·미 연합 전력 등을 감안할 때 잠수함이 우리에게 더 적절한 항모 대응 무기라고 주장하고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해군이 독도함 건조업체인 한진중공업에 의뢰한 결과 36억원의 예산으로 6개월이면 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군이 그동안 "항모 도입은 중·장기 전력 증강 계획에 들어 있지 않고 장기 정책 과제에만 포함돼 있다"고 밝혀온 공식 입장과 큰 차이가 있는 것이다.
해군의 이런 구상은 우선 중국·일본과 독도·이어도 등 영유권 문제를 비롯한 분쟁 발생 시 주변국의 도발을 억제해야 한다는 점 때문이다. 군 소식통은 "주변국과 영토 분쟁 시 지상 기지에서 발진하는 항공기는 대응하는 데 30~40분 이상이 소요되지만 분쟁 해역에 이미 출동해 있는 항모의 함재기는 2분 이내 긴급 대응이 가능하다"고 했다. 또 북한이 백령도·연평도 등 서북 도서 점령을 시도할 경우 지금처럼 육지에서 대응 전력(戰力)이 출동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강력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중형 항모는 과도한 선택"
해군이 미국의 9만~10만t급 대형 항모나 중국이 지난해 배치한 6만~7만t급 중형 항모 대신 경항모를 검토 중인 것은 중·대형 항모가 비용 대비 효과 면에서 우리에게 적절치 않다고 보기 때문이다. 미국의 주력 항모인 니미츠급은 건조비에 5조~7조원, 연간 운용 유지비(함재기 포함)만 8000억원 이상이 들지만, 2만~3만t급 경항모는 건조비 1조~1조5000억원, 연간 운용 유지비 300억~400여억원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난해 해군 용역 보고서도 "중국에 버금가는 항모 확보는 한국 입장에서 과도한 선택"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해리어·F-35B 등 수직이착륙기와 상륙작전용 헬기 등을 탑재해 상륙작전도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 경항모가 우리에게 적절한 선택이라는 것이다. 이탈리아의 카보우르(2만7000t급), 스페인의 후안 카를로스(2만7500t급)가 모델로 꼽힌다.
해군이 중·대형 항모보다 돈이 적게 드는 경항모 보유를 추진하더라도 예산 확보 및 효용성 면에서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다. 해군은 현재 이지스함 3척 추가 건조 등 기동 전단(戰團) 3개 건설을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1개 기동 전단 건설에는 줄잡아 10조원 안팎의 돈이 들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해군은 사실상 1개 기동 전단만 보유한 상태다. 일각에선 한·미 연합 전력 등을 감안할 때 잠수함이 우리에게 더 적절한 항모 대응 무기라고 주장하고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軍事 資料 綜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작권 전환 시기 내년 전반기 결론 도출” / 국방일보 (0) | 2013.10.15 |
---|---|
대표적 경항모 운용국인 스페인과 이태리 해군 주요전력/ 유용원의 군사세계 (0) | 2013.10.15 |
[Why] [최보윤 기자의 交感(교감)] 한국이 워커家 못잊듯, 워커家도 한국을 못잊습니다/ 조선일보 (0) | 2013.10.12 |
국방브리핑-5 (0) | 2013.10.12 |
2013년 서울현충원 사진, 영상공모전 (0) | 201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