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말리아 해적에 피랍된 삼호주얼리호 선원에 대한 구출작전이 성공리에 마무리됐다. 복부에 총상을 입은 한국인 선장을 포함, 선원 21명이 모두 무사히 구출됐다. 구출작전 과정에서 해적 8명을 사살하고 5명을 생포했다고 한다. 피랍된 지 6일 만이다. 삼호주얼리호는 같은 선사(船社)인 삼호해운 소속의 삼호드림호가 지난해 4월 피랍돼 거액의 주고 217일 만에 풀려난 지 두달 만에 해적들의 표적이 됐다. ‘한국 선박이 소말리아 해적의 봉이 된 게 아니냐.’는 비판여론이 들끓자 정부는 이번엔 행동에 나섰다. 해적들이 더 이상 오판하지 못하도록 분명한 신호를 보냈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2006년 이후 삼호주얼리호까지 여덟 차례나 피랍이 되풀이됐다. 지난해 10월 피랍돼 아직도 억류 중인 금미305호를 제외하고 여섯 차례는 모두 몸값을 주고서야 풀려났다. 7번째로 납치된 삼호드림호는 950만 달러(약 105억원)라는 사상 최고액의 몸값을 지불하는 부끄러운 선례를 남겼다. 프랑스는 2008년 4월 몸값을 주고 인질을 구출한 뒤 대테러부대를 투입해 해적 6명을 붙잡아 법정에 세웠다. 러시아는 지난해 5월 아덴만 해상에서 납치된 유조선 모스코보스키 우니베르시테트호를 구출하고 해적들을 재판 없이 무동력 고무보트에 태워 해안에서 540여㎞ 떨어진 망망대해로 내쫓았다. 이 때문에 이번에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대한민국의 국격 손상은 말할 것도 없고 한국인이 해적이나 테러단체의 주요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했다. 한국의 이번 구출 작전은 해적에 대응하는 모범답안으로 기록될 것이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해적에 대한 대처 방식을 ‘사후 대응’에서 ‘사전 예방’으로 전환해야 한다. 선박이 피랍돼도 선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선박 내 방탄 피난처를 대형 선박뿐 아니라 중소 선박에도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본다. 선박 내 일정 기간을 버틸 수 있는 식량과 통신수단을 갖춘 피난처를 마련하면 해적에 피랍되더라도 인근 아덴만 지역에서 활동 중인 청해부대에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위험 해역을 항해할 때 민간 보안요원을 선박에 동승시키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비용이 들더라도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낫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