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軍事 資料 綜合

[전문기자 칼럼] 위장복 다림질 한국군

鶴山 徐 仁 2011. 1. 8. 11:14
사설·칼럼
전문기자칼럼

[전문기자 칼럼] 위장복 다림질 한국군

입력 : 2011.01.06 23:11 / 수정 : 2011.01.07 01:36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차량·집무실 등의 성판(星板), 장성기(將星旗), 장성곡, 장군용 권총·허리띠·전투화, 전담 운전병, 장군 전용 식당·이발소·목욕탕, 관사 공관병…. 현재 대령에서 장군으로 진급해 '별'을 달면 달라지는 것들이다. 이러니 장군이 집무실 전화를 직접 받거나 병사들과 목욕을 함께 하면 화제가 되기도 한 것이다.

지난 3일 육군은 장군용 전투화·허리띠, 권총 가죽벨트, 성판 사용을 일정 용도로만 제한하기로 했다. 전투형 군대로 바뀌겠다는 것이다. 당연한 일이다. 이 기회에 몇 가지만 더 생각해 봤으면 한다.

우리 군의 전투복은 '위장복'이다. 위장복이라는 것은 적의 정찰에 쉽게 적발되지 않기 위해 특수 무늬로 제작된 옷이다. 정찰에 걸리지 않으려면 무늬와 함께 옷이 자연스러워야 한다. 그래서 위장복은 다림질을 하면 안 된다. 세계 최강인 미군도 하지 않는다. 다른 선진 강대국군 그 누구도 위장복에 다림질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한국군은 한다. 과거보다는 줄었다지만 이등병도 하고, 대장도 한다. 그냥 다림질만 하는 게 아니라 각을 세우고 줄까지 잡는다. 적군 앞에서 "나 여기 있소"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사소한 일일까. 그렇지 않다. 전투할 정신자세가 돼 있지 않고 폼 잡고 멋 낼 생각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야전형 군인이 아니다.

어느 서방측 인사가 어떤 기회에 판문점 북한 쪽에서 남한 쪽을 바라볼 기회가 있었다고 한다. 그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 근무하는 한국군의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그는 "권위적인 제복 같은 것을 입고 검은 선글라스를 낀 한국군을 보고 도대체 어느 쪽이 독재국가이고 자유국가인지가 헷갈렸다"고 했다.

그의 말을 듣고 보니 그렇게 느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떻게 그렇게 하나같이 검은 선글라스를 쓰고 있느냐고 물었더니, 한 군 관계자는 "JSA 맞은편 북한군은 살기등등한 베테랑 장교들이어서 눈싸움에서 밀릴 우려 등 때문"이라고 했다. 눈싸움에도 밀릴 걸 걱정한다면 차라리 판문점 경비를 미군에게만 맡기고 철수해야 한다. 판문점은 최전선이다. 당연히 모든 군인이 전투복을 입고 전투할 자세로 근무해야 한다.

얼마 전까지도 우리 장교들, 장군들은 흰색 계급장을 달고 다녔다. 눈에 잘 띄라는 것이다. 전투 시엔 바로 표적이 된다. 전투할 생각 없이 권위 세울 생각이었기 때문에 그런 계급장을 단 것이다. 지금 바뀐 계급장도 위장을 충분히 고려한 것인지, 너무 큰 것은 아닌지 의문이다.

6일자 조선일보 1면에 나온 주한미군 사령관을 보라. 그의 전투복에 하나뿐인 계급장은 언제든지 떼어버릴 수 있게 돼 있다. 각 군의 명찰, 모자 등에 대해서도 눈에 잘 띄는 것과 관련해 여러 논란이 있다. 국방부와 계룡대, 주요부대의 장군 식당·목욕탕 등도 군이 행정관료화된 상징으로 지적된다. 이처럼 사소해 보이지만 심각한 것들을 없애지 못하면 전투형 군대는 말뿐이다.

[유용원의 군사세계] 군대에 가자마자 다림질부터 배운다?

중문으로 이 기사 읽기중문으로 이 기사 읽기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鶴山 ;

군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칼럼 기사 내용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군은 권위로 속된 말로 폼으로 전투를 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 군은 그동안 이땅에서 변화의 속도가 느린 가장 보수적인 집단의 하나로 존재해 왔기 때문에

국민의 따가운 시선의 중심에 서게 되었고, 급기야는 외부에 의해 개혁을 강요 받고 있는 시점에 놓여있어도 스스로 정신을 못차리고 있으니, 이래서는 앞으로도, 국민의 사랑을 받는 군대로 탈바꿈 할 수 있을 것인 가  하는 우려를 금할 수가 없다.

소위 군사정부 시대에 만들어낸 시대적 착오를 걷어내는 결단이 시급하다.

왜 좋은 것은 선진 미군의 것들을 멘토로 삼지를 못하는 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지금 시대에는 스스로 권위를 세우려고 애쓴다고 권위가 세워지는 시대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

우물 안 개구리 신세를 면하느냐, 아닌냐는 오직, 군 내부의 각성과 실천에 달려있다고 본다.

국방은 군 지휘부, 장성들의 권위로 이루어지는 게 아님을 알아야 한다.

 

 

 

 

평상시 전투복을 다림질(아이롱)해서 입는 군대는 세계에서 한국군대가 유일...? 또 한국 군인들은 군대에 가자마자 다림질부터 배운다는 우수개 소리가 있지만, 한국군은 세계 어느 나라 군복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최고의 다기능 전투복을 착용하게 되었다.

1950년대 : 군복은 미국의 섬유나 군복을 원조 받아 입었던 카키색 군복
1970년대 : 경제개발에 힘입어 광목에다 국방색 물을 들여 만든 군복으로 휴가, 외박 시 밤잠을 설쳐가며 다림질로 칼 줄을 세워 입었던 군복
1990년대 : 국방색 단색군복이 4도색 원단 얼룩무늬 전투복으로 개선
2010년대 : 통풍, 방한, 보온, 위장 효과 탁월한 4계절 만능 전투복으로 개선

★ 신형전투복의 자랑 : 위생적인 항균, 방취기능. 방습/투습 및 신속한 건조. 뛰어난 신축성. 다림질 필요없는 링클프리. 명찰 등 부착물 벨크로(찍찍이) 사용. 상하의 주머니 증설/사선형 편리성. 적외선 반사율 향상 등

군복(軍服)은 유일하게 군인들만 착용할 수 있는 제복(制服)이자, 전투복이자, 유사시에는 수의(壽衣)로써 아무나 입을 수 없는 4계절 전천후용 옷이다.

앞으로 세계 최고 기능성 군복을 입고 훈련하게 될 군인들을 생각하니 왠지 나도 모르게 뿌듯함이 느껴졌다.

이처럼 군인과 군복의 변천사를 돌아보면서 2000년 전 세계를 제패한 팍스 로마나(Pax Romana:로마지배에 의한 평화)시기에 로마인들이 군복을 입는 군인을 가장 명예롭게 여겼을 때 로마는 강했지만, 군복과 군인을 싫어하게 되자 로마는 쇠퇴, 몰락하고 말았다는 구절을 되새겨 보아야 하지 않나 싶다.
2010-08-18 14:59:39
첨부파일
    실제 크기로 보시려면 클릭해 주세요
  1.jpg


    실제 크기로 보시려면 클릭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