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想像나래 마당

[스크랩] 우리의 의식주 옛적 생활용품들

鶴山 徐 仁 2010. 6. 9. 22:52

흰옷을 숭상하여 백의민족이라고 불리웠던 한국인에 있어서 의관은 권위와 체면의 상징
이었다. 그래서 항상 의관(衣冠)을 제대로 갖추어 입어야 했고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관을 벗는 일이 없었다.

 

dia_green_1.gif 남자의 의생활

  남자옷의 기본형은 바지, 저고리에 포(袍)를 입고 갓을 쓴 형태이다. 남자 갓은 초기에는 상류층에서만 착용하였으나 중기에 천민을 제외한 일반인 모두가 썼다.

종 류

설 명

사 진

적 삼

circle11_pink.gif삼베적삼으로 홑저고리라고도 하며 주로 여름철에 입었다. 형태로 보아 조선후기 때의 복식이다.

img25.gif

바 지

circle11_pink.gif삼베로 지은 여름철 홑바지이다. 바짓가랑이가 넓어 끝을 대님으로 매게 되어 있다.

img26.gif

circle11_pink.gif조선시대에 남자가 바깥 출입을 할 때 착용하는 대표적인 관모이다. 말총으로 만들어 옻칠을 하였는데 시대에 따라 크기의 변화가 있었다. 이 갓은 대원군의 입제(笠製)를 개혁한 후의 갓으로 보인다

img27.gif

신 발

<짚신>
circle11_pink.gif
짚으로 만든 신발로 신바닥, 신총, 올개총, 뒤축 등으로 이루어 졌다.

 

<나막신>
circle11_pink.gif
통나무를 파서 만든 신으로 남녀 모두 비오는 날에 신었다.

img28.gif
  img29.gif

 

 

dia_green_1.gif 여자의 의생활

  여자옷은 치마, 저고리이지만 고려시대 이전에는 바지도 입었다. 치마, 저고리의 모습은
신분에 따라서 색과 재료가 달랐고 또 시대에 따라서 옷길이 등이 변천하였다. 수발도구에는
얼레빗, 참빗, 빗치개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종 류

설 명

사 진

적 삼

circle11_pink.gif무명 속적삼으로 저고리 속에 받쳐 입는 옷이다. 적삼은 저고리보다 약간 작게 만들어 입으며 고름 대신 매듭단추를 달았다.

img30.gif

저고리

circle11_pink.gif여자저고리의 가장 특색있는 요소의 하나인 회장을 단 반회장저고리이다. 주로 봄, 가을용으로 명주 저고리이다.

img31.gif

치 마

circle11_pink.gif여자가 입은 하의로서 말과 치마폭 사이에 넉넉한 주름을 많이 잡아 치마단을 풍성하게 하여 입었다.

img32.gif

족두리

circle11_pink.gif조선시대 궁중과 사대부가의 여인들이 의례 때 사용하는 관모의 일종이다. 서민들은 혼례 때 예복인 원삼과 함께 사용하였다.

img33.gif

circle11_pink.gif위의 얼레빗은 흐트러진 머리를 정리하는데 쓰이며 아래의 참빗은 가늘고 촘촘하여 서캐를 빼거나 머리에 기름을 발라 정갈하게 빗을 때 쓴다.

img34.gif

물 레

circle11_pink.gif솜이나 고치 또는 털 따위의 섬유를 자아 실을 뽑는 기구이다.

img37.gif

다듬이질

circle11_pink.gif다듬이질은 옷 손질 방법의 하나로써 옷의 구김살을 펴고 윤기를 내게 하는 일이다.

도구로는 다듬이돌과 다듬이방망이, 홍두깨를 사용한다.

img36.gif

골 무

circle11_pink.gif바느질을 할 때 검지의 끝에 끼고 바늘 귀를 밀어주는 도구이다. 바늘 귀에 손을 상하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img35.gif

   우리 나라는 남북으로 길고 동서로 좁아 기후에 차이가 있으며, 지형상으로도 북부는산간 지대인 반면 남부는 큰 강을 중심으로 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어 지역마다 특징있는 음식들이 발달하였다.
  밭농사를 주로 하는 북부지방에서는 잡곡을 주식
으로 하고, 논농사가 많은 남부지방은 주곡인 쌀과 보리로 밥을 해서 먹으며 부식으로는 육지와 바다에서 나는 갖가지생산물이 이용되는데 채소류가 주를 이루고 육고기나 생선은 고급에 속하였다.
  
부엌은 취사를 하고, 음식을 조리하는 곳으로 가정의 식생활을 담당하는 공간이다. 부엌은 큰방의 옆에 붙어있는데 작은문을 달아 큰방과 왕래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부뚜막에는 솥을 걸어 놓으며 땔감으로는 장작이나 풀나무잎, 짚 등을 사용하였다. 부엌의 한쪽에는 식생활에 필요한 그릇들을 보관하는 살강이나 붙박이 찬장이 설치되었다.

 

dia_green_1.gif 식생활에 쓰이던 물건들

종 류

설 명

사 진

circle11_pink.gif일상적으로 쓰이는 밥상으로 다리의 모양이 호랑이 다리처럼 만들어진 12각 소반이다. 운각을 달았고 가락지를 끼우지 않았으며, 상판에 비해 다리를 튼튼하게 처리한 나주반이다.

img40.gif

수 저

circle11_pink.gif숟가락과 젓가락이 한벌을 이룬다. 수저는 상고시대에는 주로 청동제품이었고 이어서 놋쇠, 백동, 은으로 변천되었으며 형태도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다.

img41.gif

도시락

circle11_pink.gif외출할 때, 나무나 들일을 하러 갈 때 점심을 싸가지고 다니는 도시락이다. 재료는 버들이나 대로 만들었으며 형태는 장방형, 원형 등이 있다.

img42.gif

circle11_pink.gif곡식을 까불러서 쭉정이, 검불 등 불순물을 걸러내는데 사용한다. 키에 곡식을 담고 키질을 하면 가벼운 것은 날아가거나 앞에 남고 곡식은 뒤로 모이게 된다.

img43.gif

조리

circle11_pink.gif쌀을 일어 돌을 걸러 내는데 쓰며 가는 시누대오리를 국자 모양으로 결어서 만든다. 물에 담근 쌀을 한 방향으로 흔들면서 조리질을 하면 쌀은 조리에 담기고 무거운 돌만 남게 된다.

img44.gif

주걱

circle11_pink.gif솥에서 밥을 퍼 그릇에 담는데 사용하는 나무주걱이다. 통널판재를 깎아 기능만을 고려해 평이하게 만들었다.

circle11_pink.gif방짜 기법으로 만든 놋주걱이다. 자루끝의 둥그런 꼭지는 뜸이 들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소량의 밥을 뜨는데 사용한다.

img45.gif

img46.gif

국자

circle11_pink.gif국물이 있는 음식을 떠 담는데 쓴다. 긴 자루와 국자시면이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운두가 낮다. 방짜기법으로 제작하였다.

img47.gif

돌솥

circle11_pink.gif곱돌로 만든 가마솥이다. 돌솥으로 밥을 지어 두면 오랫동안 식지 않는 장점이 있다.

img48.gif

나무절구

circle11_pink.gif곡식을 찧거나 빻는데 또는 떡을 치는데 사용되는 용구이다. 통나무 속을 우묵하게 파내어 곡식이나 떡을 놓고 절구공이로 찧는다

img49.gif

맷돌

circle11_pink.gif곡식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 때 쓰는 기구이다. 윗짝과 아랫짝을 중쇠로 고정시키고 윗짝의 홈에 ㄴ자형의 손잡이를 끼워 돌린다.

img50.gif

떡살

circle11_pink.gif병형(餠型), 떡손이라고도 부르며 떡에 문양을 찍는 제구이다. 나무, 자기, 사기, 옹기 등으로 만든다. 문양은 길상문자, 사군자, 모란문, 국수문 등 다양한데 사(邪)를 물리치고 복을 구하고자 하는 바램이 깃들어 있다

img51.gif

싸리독

circle11_pink.gif껍질벗긴 싸리나무로 만든 수납용구이다. 싸릿대로 항아리 형태를 엮은 다음 안팎으로 장지를 발라 거스러기가 일지 않고 곡식이 그 틈새에 끼이지 않도록 하였다.

img52.gif

나무쌀동

circle11_pink.gif굵은 통나무의 내부를 긁어 파내고 상.하단에 둥근 널판지를 붙여 만든 서민용 쌀통으로 소박한 자연미가 물씬 풍기는 세간살이다.

img53.gif

국수틀

circle11_pink.gif곡식가루를 반죽하여 넣고 국수를 뽑아 내는 틀이다. 밑짝의 도톰한 부분의 홈에 작은 구멍이 촘촘히 뚫려 있는 철판이 끼워져 있다. 여기에 반죽을 넣고 윗짝을 들어 공이를 내리 누르면 국수가 뽑혀 나온다. 많은 양의 국수가 필요할 때는 국수틀을 가마 솥 위에 걸치고 한다.

img54.gif

   인류는 지구상에 살게 되면서부터 맹수와 추위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주거를 마련하여 생활하고 있다. 구석기 시대에는 자연동굴과 바위틈 등 자연적인 지형을 이용하였고, 신석기 시대에는 반지하 구조인 수혈식 주거가 발달하였으며, 적어도 삼국시대에 들어서는 지상에 가옥을 짓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마을은 한꺼번에 많은 일손을 필요로 하여 서로 협동이 필요한 벼농사의 특성상 집촌(集村)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같은 성씨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여 동족(同族)마을을 이루기도 하고, 여러 성씨들이 함께 모여살기도 하였다.
  지형적으로는 대체로 산을 등지고 들과 강을 바라보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지형을 택해 겨울에 추운 북풍을 차단하였다.

 

dia_green_1.gif 주생활에 쓰이던 물건들

종 류

설 명

사진

등잔

circle11_pink.gif4각형 나무판에 기둥을 세우고 상단에 등잔받침을 설치한 실내용 등잔걸이이다

img55.gif

목침

circle11_pink.gif여름철에 취침할 때 사용하던 나무 베개로 나막신 형태이다. 목침의 형태는 다양하며, 벼락맞은 대추나무로 만든 것을 상품으로 쳤다.

img56.gif

문발

circle11_pink.gif가는 대나무오리를 실로 촘촘히 엮어 만든 가리개의 일종이다. 주거공간의 개방이 불가피한 하절기에 출입문 윗쪽에 걸어둠으로써 심리적 안정공간을 확보하려는 조상들의 지혜가 돋보이는 의장품이다.

img57.gif

죽부인

circle11_pink.gif대오리로 길고 둥글게 엮어 여름철에 품에 끼고 자면 서늘한 기운을 취할 수 있어서 어른들이 즐겨 사용하였다. 부친이 사용하던 죽부인은 아들에게 절대 대물림하지 않았다.

img58.gif

요강

circle11_pink.gif야간에 안방에 넣어두고 용변을 보던 단지 그릇으로 주로 놋쇠나 사기 등으로 만들었다. 방짜기법으로 제작하였다.

img59.gif

제등

circle11_pink.gif나무로 직육면체의 뼈대를 만들고 각면에 가로, 세로 2개씩의 간살을 끼운 다음 안쪽에 한지를 발랐다. 야외용 조명기구로 이동이 쉽게 들쇠에 자루를 끼웠다.

img60.gif

화로

circle11_pink.gif내화성이 강한 곱돌을 깎아 만든 사각 화로이다. 한번 달궈지면 쉽게 식지 않는 특성이 있다.

img61.gif

초롱

circle11_pink.gif대오리나 철사 등으로 살을 만들어 그 속에 촛불을 켜는 등기구이다. 걸어 놓기도 하고 자루를 달아 들고 다니기도 한다.

img62.gif


부채

circle11_pink.gif선면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부채로 접선(摺扇)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쥘부채를 '고려선'이라 하여 귀하게 여겼다. 부챗살에 종이를 붙이고 선면에 서화를 그려 넣어 멋을 내었으며, 고리에는 선추를 달아 장식하기도 하였다.

img63.gif

곱장선

곡두선이라고도 한다.

부챗살의 머리부분을 구부려서 멋도

내고 선면에 힘이 실리게 만들었다.

살을 안팎으로 구부린 이중곡두선과

실로 꿰어 구부린 실 곱장선도 있다

img64.gif

토시

여름에 소매안에 끼우는 것으로 흰 옷에 때가 타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할 때 사용한다.

 

 

 

 

 
 
─━☆더많은 최강엽기,섹시,희귀,얼짱.포토 자료창고 바로가기 클릭☆━─
 

 

출처 : 당신이 머문자리는 아름답습니다
글쓴이 : 커피 사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