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政治.社會 關係

삼성이 기증한 8000억원을 누가 쓰나?

鶴山 徐 仁 2009. 8. 2. 16:27

삼성이 기증한 8000억원을 누가 쓰나?
2009년 07월30일  
親盧-좌파인사들이 재단 핵심에 진출, 좌파단체와 인사들에게 거액을 지원.

월간조선 8월호    

집중해부] 8000억원 규모 삼성고른기회 장학재단
親盧·左派 인사가 핵심 관계자로 참여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지원할 뿐
이념·정치적 성향과는 무관” (재단 사무총장)
  

  
삼성관계자: “돈이 어떻게 쓰이는지 전혀 모르고, 일부러 관심도 안 가져”

[삼성장학재단이 좌파단체(인사)에 지원한 사례]
⊙ 이학영 이사가 사무총장으로 있는 한국YMCA전국연맹에 7000만원 지원. 그는 南民戰 핵심멤버,
    작년 촛불시위 주도
⊙ 민노당 선거운동을 지원한 노동실업광주센터에 2년간 1억5500만원
⊙ 진보신당 창당발기인이 활동하는 청소년자활지원관협의회에 2년간 1억3000만원
⊙ 전교조 해직 교사들이 결성한 부산경남대안교육협의회에 3000만원
⊙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에게 연구비 5000만원 지원
⊙ 조혜정 연세대 교수에게 배움터장학사업 지원금 등 총 2억7000만원 지원
⊙ 좌파 성향의 인사 6명에게 ‘공익활동가’ 지원 명목으로 7500만원 지원.
    일부 인사는 아프간과 이라크 주둔 한국군 즉각 철수 주장, 광우병대책회의 등에도 가담  
  
安埈豪 月刊朝鮮 기자 (libai@chosun.com)






사진 왼쪽부터 신인령 이사장, 이학영·이옥경 이사, 이혜경·황지우·박진도 선정·평가위원.



李健熙(이건희) 前(전) 삼성그룹 회장은 에버랜드 전환사채(CB) 편법증여 문제와 안기부 도청사건-이른바 ‘X파일’ 논란이 일었던 지난 2006년 2월 8000억원을 ‘조건 없이’ 사회에 헌납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盧武鉉(노무현) 대통령은 삼성이 헌납하기로 한 8000억원에 대해 “정부가 나서서 과정과 절차를 관리해 줄 필요가 있다”며 “예를 들어 빈곤세습과 교육기회의 양극화를 막기 위해 소외계층과 低(저)소득계층에 대한 지원에 사용되는 방향이라면 사회 분위기와도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이 出捐(출연)한 8000억원은 삼성이건희 장학재단에 이전됐다가 그해 10월 삼성이건희 장학재단이 명칭을 바꿔 새롭게 출범한 ‘삼성고른기회 장학재단’에 이전됐다. 기존의 삼성이건희 장학재단이 ‘글로벌 인재 양성’을 목표로 삼았다면,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은 노 전 대통령의 희망대로 ‘소외계층과 저소득계층의 교육기회 확대’를 목표로 삼았다.

삼성고른기회 장학재단은 크게 장학사업과 학술연구 지원사업 두 가지로 구분해 운영 중이다. 장학사업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에게 멘토를 선정해 주는 멘토링장학사업 ▲대안학교나 각 지역 공부방 등을 지원하는 배움터장학사업 ▲해외거주 韓人(한인)이나 개발도상국 출신 학생을 지원하는 글로발란스(Glo-balance)장학사업 등이 있다. 지난해 멘토링장학사업에 82억8000여만 원, 배움터장학사업에 70억9000여만 원, 글로발란스장학사업에 7억6000여만 원을 집행했다.

학술연구사업으로는 외부기관이나 대학교수 등에게 교육 소외계층 지원을 위한 장·단기 프로그램 개발을 의뢰하고 있다. 2008년 4건의 연구용역에 8600만원을 지급했다.

재단은 지난해 장학사업과 학술연구 지원사업, 장학사업 관리비와 일반 관리비 등으로 179억8600여만 원을 집행했다. 국내 민간 장학재단으로서는 최대 규모다.


재단 이사장과 韓明淑 前 총리의 인연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장학생으로 선발된 경남외고 1학년 송병주군과 교사 김정희씨. 재단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등 교육 소외계층의 교육 기회 확대를 목표로 삼아 지난 2006년 출범했다.

이사진은 재단업무 전반에 걸쳐 사업방향을 설정하고, 사무국에서 제출한 사업 심의와 의결, 사무국 직원 선임과 감독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사진은 이사장을 포함해 10명의 이사로 구성되는데, 이사의 임기는 3년이며, 2회에 한해 連任(연임)이 가능하다.

현재 재단 이사장은 辛仁羚(신인령) 전 이화여대 총장이 맡고 있다.


올해 9월 말 임기가 만료되는 신인령 이사장은 이화여대 법대를 졸업하고 이화여대 대학원에서 노동법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노동법학회장과 이화여대 총장을 역임했다. 통일고문회의 고문,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사법개혁추진위원회 민간위원, 법학교육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또 ‘사회 양극화 극복’을 핵심 의제로 내세운 대화문화아카데미(전 크리스찬아카데미) 이사로도 활동했다. ‘국내 노동법의 代母(대모)’로 불리며 여성 및 노동인권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신 이사장은 참여정부 시절 초대 여성 국무총리를 역임한 韓明淑(한명숙) 전 총리와 이대 동문으로, 한 전 총리도 크리스찬아카데미에서 간사로 활동한 바 있다.

그녀는 2006년 4월 한씨가 국무총리 후보로 지명돼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을 때 노 전 대통령의 지지자인 咸世雄(함세웅) 신부, 池銀姬(지은희) 덕성여대 총장 등 14명과 함께 ‘총리 인사청문회에 드리는 제안’을 발표해 한 후보자를 지원했다.

이들은 발표문에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최고 여성 지도자가 탄생한 가운데 한명숙 총리의 지명은 한국 정치사에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중대한 사건”이라며 “말단의 문제를 집요하게 추궁하는 식의 흠집 내기식 검증은 인사청문회의 취지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신 이사장은 2006년 5월 경영권 變則(변칙) 승계 등으로 궁지에 몰렸던 삼성그룹이 自社(자사)의 경영을 감시하고 쓴소리를 해 줄 옴부즈맨 성격의 ‘삼성을 지켜보는 모임(삼지모)’을 발족시켰을 때 黃芝雨(황지우) 전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총장, 崔鶴來(최학래) 전 한겨레신문 사장 등과 함께 이 모임에 참여했다. 그해 10월 신씨는 재단 이사장에, 황 전 총장은 재단의 선정·평가위원에 선임됐다.


참여정부와 코드 맞추기



신 이사장은 또 참여정부 시절인 2006년 9월 지은희 덕성여대 총장, 李美京(이미경) 한국성폭력상담소장 등과 함께 全孝淑(전효숙)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즉각 진행하라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국회 법사위에서 인사청문회 절차조차 원천봉쇄하는 한나라당의 태도는 憲政(헌정)의 파행을 야기하는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전효숙 헌법재판관의 憲裁(헌재) 소장 지명은 노무현 정권의 헌재 흔들기의 결정판이었다. 대통령 탄핵안에 대한 기각 결정에 찬사를 아끼지 않았던 권력은 ‘신행정수도특별법’ 違憲(위헌) 결정에 대해선 ‘사법쿠데타’라며 맹렬하게 비난하며 특정세력과 이념에 맞는 사람을 사법부에 심기 위한 ‘코드 인사’를 일삼았다.

특히 2006년 당시 임기가 3년 이상 남은 전효숙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사직시키고 곧바로 헌법재판소장으로 임명하기 위한 일련의 법절차 무시는 헌재의 위신을 추락시킨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신 이사장은 또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1년 3월, ‘올바른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민간모임’의 일원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300인 선언’에도 참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7·4 공동성명과 6·15 공동선언으로 이어지는 민족의 평화와 통일 분위기가 냉전수구세력과 미국의 노골적인 간섭으로 훼손될 위기에 처해 있다”며 김정일의 答訪(답방)과 2차 남북정상회담의 조속한 성사, 한반도 평화선언 및 정상회담 정례화, 美(미) 부시 행정부의 국가미사일방어체제(NMD) 철회,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군비감축, 對(대)북한 군사훈련 축소 등을 촉구했다.

신 이사장이 공동대표를 역임한 환경운동연합은 ‘국가보안법 폐지 국민연대’에도 참여한 단체다.


이학영 이사는 南民戰 핵심멤버, 작년 촛불시위 주도


재단 이사를 맡고 있는 이학영 한국YMCA전국연맹 사무총장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 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 집행위원장,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등으로 활동한 대표적인 좌파 인사다.

이씨는 지난 1979년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 사건으로 복역했다. 남민전은 1976년 2월 ‘反(반)유신 민주화와 反帝(반제) 민족해방 운동’을 목표로 조직된 비밀단체로, 1979년 연루자 84명이 검거될 때까지 은밀하게 활동했다.

수사기록에 따르면 남민전은 1차로 민중봉기를 유발하고, 이를 인민해방군으로 발전시켜 국가전복 투쟁을 전개하다 북한의 도움을 받아 사회주의 혁명을 성취한다는 기본 전략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이들은 고위 공직자의 집에 침입해 금도끼와 패물을 훔치고, 1978년 7~8월경 예비군 훈련장에서 카빈 소총 1정을 훔쳐 집 담 아래에 묻어 두기도 했다.

당시 이씨는 투쟁 자금 마련을 위해 그해 4월 시인 金南柱(김남주)씨와 함께 서울 방배동 崔元碩(최원석) 동아건설 회장 자택에 침입했다가 체포돼 강도·상해죄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남민전 사건 관련자 29명은 노무현 정권 시절인 지난 2006년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에 의해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됐다. 이씨도 故(고) 김남주 시인, 李銖日(이수일) 전 전교조 위원장 등과 함께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됐다.

이씨는 대표적인 親盧(친노) 인사로 노 정권 시절인 2005년 1월 鄭燦龍(정찬용) 전 대통령비서실 인사수석비서관의 후임으로 거론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노 ...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