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생산된 아파치(AH-64)는 미군의 현역 주력 헬기. 탱크잡이에 능하다. 레이저 유도 헬파이어 미사일 16기를 갖추고 있으며 주·야간 전천후 기동이 가능하다. 1991년 걸프전에서 이라크 탱크 278대를 파괴했고, 2003년 이라크전의 선봉이었다. 유사시 휴전선을 넘어오는 북한 탱크를 괴멸시키고, 해안 상륙을 시도하는 공기부양정을 저지하는 데 적합하다. 미사일 조준 발사 후 회피기동이 특징이다.
국방부는 주한미군에 배치됐던 아파치 1개 대대(24대)가 지난해 철수하면서 생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아파치 36대를 2014년까지 도입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문제는 한국형 공격헬기(KAH) 자체개발에 차질이 빚어진다는 것이다. 병력수송이 주임무인 기동헬기를 개발한 뒤 2010년부터 국산 공격헬기를 개발키로 하고 2006년부터 1조 2613억원이 투입됐다. 시제기의 동체를 조립 중인데 90% 이상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한다.
대당 149억원에 245대를 생산할 계획이며 장기적으로 해외수출 전망도 밝다. 미국측이 제시한 아파치의 대당 판매가격은 137억원이지만 사업비 등 부수비용을 포함하면 대당 300억원 정도가 먹힌다. 1조원의 예산이 여기에 투입되고 나면 한국형 공격헬기 사업은 반쪽이 나거나 공중에 뜰 수밖에 없다.
국방부는 반발여론이 빗발치자 구매계획을 재검토 중이지만 아파치를 선호하는 육군의 반대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헬기수명을 보통 30년으로 본다. 아파치가 도입되는 2013년이면 30살이 된다. 국산 공격용 헬기개발을 접어두고 수명이 다된 중고헬기를 도입하는 건 납득이 안된다.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