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멋대로’ 였던 1차 접촉때와는 달리 이번 회담을 앞두고는 과거 남북간 정식 회담을 준비할 때와 큰 차이가 없는 실무적이고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1차 개성접촉 당시 북측이 우리 당국자를 초청하며 전해온 메시지는 ‘개성공단 운영과 관련한 중대문제를 통보할 것이니 개성공단관리위원장은 개성공단과 관련한 책임있는 정부 당국자와 함께 4월21일 개성공단으로 오라’는 것이 전부였다.
누가 나올 것인지,의제가 무엇인지,심지어 개성공단내 어디로 오라는 내용도 없었다.
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거듭 요구했음에도 회담 대표단 명단을 주지 않았고 장소도 남측기관인 개성공단관리위원회에서 하자는 우리 측 요구를 거부한 채 자기측 기관인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을 고집해 끝내 관철시켰다.
결국 시작 전부터 정상적인 회담과는 거리가 멀었던 1차 ‘개성접촉’은 ‘억류자 문제의 우선 해결’을 요구하는 남측과 ‘개성공단 관련 특혜를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북측이 22분간 자기 입장을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것으로 허무하게 마무리됐다.
그러나 북측은 이번 회담을 제의하는 통지문에서 회담장 시설은 물론 우리 대표단과 서울간 긴밀한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통신수단이 구비된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를 장소로 적시한데서부터 1차 접촉때와는 달랐다.
교류협력협의사무소는 통일부가 관리하는 기관인데다 북한이 작년 남북관계 1차 차단조치인 ‘12.1 조치’를 취하면서 폐쇄했던 곳이라는 점에서 북한이 회담장으로 지정한 것은 의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북측은 회담 이틀 전인 9일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을 대표로 하는 5명의 대표단 명단을 우리 측에 통보하는 한편 회담 준비를 위한 우리 통일부 당국자 등의 방북을 허용했다.
특히 통일부 당국자의 방북을 허용한 것은 북한이 우리 당국자의 군사분계선 통과를 불허한다는 작년 3월말의 입장을 공식 철회하지 않은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는 점에서 ‘유연성’을 발휘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정부 당국은 이 같은 징후만으로 회담 결과를 낙관하긴 무리라며 선을 긋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회담에 대한 남북간 입장 차이가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만나는 만큼 회담에 앞선 북한의 태도만으로 ‘장밋빛 전망’을 할 수 없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9일 “이번 회담은 북한이 먼저 하자고 해서 성사된 것이고 개성공단 내 우리 측 기관에서 하자고 북이 제안한 것이니 협의할 의사는 분명히 있는 것 같다”면서도 “다만 회담의 내용은 긍정 또는 부정적으로 예상키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회담이 정상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고 북측이 어떤 얘기를 할지를 예상해 보고 있지만 명단 통보 등만 가지고 결과를 예단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