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같은 증가폭은 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터키(6%), 체코(4.1%), 헝가리(4.1%), 미국(4%)에 이어 5위에 해당한다.
국가별로 보면 노르웨이 0.2%, 독일 1.3%, 오스트리아 1.8%, 스위스 1.9%, 프랑스 2%, 스웨덴 2.1%, 이탈리아 2.3%, 영국 2.6%, 스페인 2.8%, 그리스 2.4%, 네덜란드 2.4%, 덴마크 2.9%, 룩셈부르크 2.6% 등 유럽 주요 선진국들은 2%대 이하의 안정적인 물가 상승률을 보였다.
멕시코(2%), 칠레(2.7%), 캐나다(3%), 페루(2.7%), 포르투갈(2.7%), 폴란드(2.8%), 핀란드(3.5%), 벨기에(3.5%) 등도 비교적 물가 상승폭이 적었다.
일본(1.3%), 타이완(2.6%), 싱가포르(3.0%), 홍콩(1.4%) 등 아시아 주요국도 우리나라보다 물가 상승 속도가 훨씬 느렸다.
|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올들어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가 다른 나라에 비해 많이 오른 것은 국제유가 급등과 원화의 평가 절하로 원자재값 등 수입 물가 상승이 국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원화의 대외적 가치(실질실효환율)는 지난 상반기 12%가량 떨어져 OECD 회원국 중 하락폭이 가장 컸다.
한편 국내 곡물, 야채, 육류 등 식료품 물가는 올 상반기 동안 2.4% 올랐다. 이는 OECD 회원국 평균 3.6%를 훨씬 밑도는 수치다. 오스트리아(0.3%), 스페인(1.7%), 독일(2.3%) 등에 이어 하위권이다.
이영표기자 tomcat@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