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몬트리올 맥길대학의 언어심리학 교수 프레드 제네시에 따르면 아이가 깨어 있는 시간의 최소 30%를 하나의 언어에 노출시킴으로써 최고 3개 언어가 동시에 학습될 수 있다.
이럴 경우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는 시스템은 ‘한 부모로부터 하나의 말 배우기’이다. 즉 아버지와 어머니의 모국어가 다를 경우, 각각의 모국어로 아이와 대화하고 가족이 함께 이야기할 때는 공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러면 아이에게 3개 언어를 학습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이가 자신을 돌보는 사람과 부가적인 언어로 대화하거나 아니면 집중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하는 방식도 있다.
특히 다언어 학습에서는 언어에 노출되는 것이 일관되고 지속적이며 풍부해야 한다고 제네시 교수는 강조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여러 개의 언어를 배우는 행위가 두뇌 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도 발생시킬 수 있다.
미국 다트머스대학 연구팀은 광학화상기술을 이용해 단일 언어와 다언어를 쓰는 사람의 뇌 활동을 살펴본 결과, 다언어를 동시에 쓰는 행위가 좌뇌와 우뇌의 활동을 증진시키는 현상을 발견했다.
IHT는 인종 다양성, 식민 통치의 유산, 경제적 필요성으로 인해 실제로 전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2개 언어 구사자라면서 필리핀을 다언어 사용권의 가장 두드러진 예로 들었다. 보통의 필리핀인은 필리핀어와 최소한의 기본 영어뿐 아니라 120개 방언 중 하나도 구사한다는 것이다.
IHT는 또 “이전에는 중학교부터 외국어를 가르쳤지만 선진국에서는 이르면 유아원부터 외국어를 가르치기 시작한다.”면서 완벽한 구사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더 일찍 외국어를 가르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니스 교수는 “다른 언어를 배우려고 애쓰는 성인은 진정한 의사소통을 위해선 새 언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즉 그 언어가 필요한 환경에 푹 빠져들어야 한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