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

鶴山 徐 仁 2006. 12. 6. 19:43
성리학에서 모든 존재의 생성과 변화를 이와 기의 두 요소의 결합으로 보는 학설.
 
〔이기이원론의 특징〕
 
중국 사상사에서
세계와 현실 존재에 대한 해명은
 
노장(老莊)의 자연적 세계관과
후기 음양 오행으로 대표되는 기적 세계관(氣的世界觀)이라는 흐름과
 
선진(先秦)의 천()주역의 태극을 세계의 근원자로 보는 흐름,
두 흐름이 있다.
 
다만 서양의 이원론이 신과 세계, 정신과 육체 등
통일될 수 없는 상호 대립적인 두 요소로 이루어진 것임에 비해,
 
성리학의 이기이원론에서는 이기의 두 요소를
상대적인 동시에 상수적(相須的)인 것으로 본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성리학에서 는 존재가 존재이게 하는 소이연(所以然)의 원리며,
동시에 변화 속에서 자기동일성을 유지하게 하는 존재의 본질()이다.
 
이에 비해 는 소이연의 이가 존재화하는 데 갖추어야 할 터전이며,
동시에 현실 존재의 구체적이고 물질적인 구성 요소다.
 
그러나 이처럼 서로 달리 규정되는 이와 기는
현실 존재에서는 서로 분리되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기의 관계를
하나이면서 둘이며, 둘이면서 하나(一而二 二而一)’라고 표현하며,
 
그 하나임을 불리(不離)라 하고
그 둘임을 부잡(不雜)이라 한다.
 
그런데 성리학의 이기론은 단순히 존재 세계에 대한 해명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오히려 인간 존재에 대한 해명을 위해 제기된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인간의 가치 체계를 근거 지워주기 위해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많은 논리적인 문제가 파생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이기관계에 있어서 생성론적인 선후(先後)의 문제와
가치론적인 경중(輕重)의 문제가 가장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순수한 존재론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기의 관계는 그들이 현실 존재 속에서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불상리(不相離).
 
한편, 이선기후(理先氣後)와 이중기경(理重氣輕)을 내세워
이기의 불상잡(不相雜)을 강조하는데 강한 가치론적인 시각이 표출된다.
 
이렇게 보면 주희에 의해 확립된 이기이원론은
사실상 이 우위(理優位)를 전제한 이기이원론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주자학의 강한 이념성의 근거가 있고,
동시에
 
후기 성리학이 관념성과 공소성으로 흘러
기학파(氣學派)의 반격을 받게 되는 이유가 있다.
 
 
〔한국 성리학과 이기이원론〕
 
한국 성리학의 흐름에서도 초기에는
주희의 같은 이 우위적 이기이원론이 주류를 이룬다.
 
초기 성리학 형성에 큰 공헌을 한
정도전(鄭道傳)권근(權近)의 이선기후의 입장이나,
 
한국 성리학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이황(李滉)의 이존기비(理尊氣卑)의 주장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에 대한 이의 능동성과 주재성(主宰性)을 강조한
이황의 이원론적인 시각은
 
그 뒤 이현일(李玄逸이상정(李象靖이진상(李震相) 등 영남학파로 이어져
이일원론으로 전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가치론적인 흐름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존재론적인 관점에서 이기의 불리(不離)를 강조하는 학자로서는
이이(李珥)를 들 수 있다.
 
보통 그는
서경덕(徐敬德)의 기철학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이기론은 존재론과 가치론을 함께 아우르는
주자학의 이중적 성격을 나름대로 계승한 것이다.
 
이 때문에 그의 이기론은
이기일원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의 이기론은 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을 거쳐
기호학파에 정통적으로 계승된다.
 
 
 
 

'敎育.學事 關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단칠정 [四端七情]  (0) 2006.12.06
이기일원론과 이기이원론의 의미와 구별  (0) 2006.12.06
주기론 [主氣論]  (0) 2006.12.06
주리론 [主理論]  (0) 2006.12.06
이기론 [理氣論]  (0) 2006.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