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國際.經濟 關係

[2008 글로벌 이슈] (8) 지구촌 엄습하는 식량대란

鶴山 徐 仁 2008. 1. 16. 19:54

 

8억 5000만명 매일 굶는다

올해도 지구촌 식량대란 시름은 더 깊어질 것 같다.‘고유가-고물가’에서 이어지는 악순환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비정부기구인 독일농업행동(DWHH)은 지난 연말 ‘글로벌 기아 지수’ 보고서에서 세계 8억 5000만명 이상이 굶주림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밝혔다. 개발도상국에서 8억 2000만명, 선진국에서도 3400만명이나 날마다 주린 배를 움켜쥐고 잠자리에 들고 있다. 선진국들까지 곡물 확보전에 매달리게 된 것이다.

지난해 말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곡물 재고량은 2006년 3억 8882만t, 지난해 3억 3572만t에 이어 올 3억 1916만t으로 떨어질 전망이다.1981년 3만 785t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올 소비량은 지난해에 비해 2.5% 증가, 사상 최대인 20억 9539만t에 이르고 생산은 20억 7883만t으로 4.4% 정도만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재고율은 15.2%에 그쳐 1972∼73년 곡물파동 당시의 15.4%보다도 낮은 사상 최악이다.

고유가는 식량난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대체재인 바이오 연료 개발 붐 탓에 곡물 소비가 더 늘고 있기 때문이다. 친환경을 부르짖지만 곡물을 이용한 연료 생산은 인도주의에 반하는 ‘범죄’라고 규정한 잔 지글러 스위스 제네바대학 사회학과 교수의 경고가 더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 연료 개발은 이미 지구촌에서 대세를 굳힌 분위기다. 양립하기 힘든 기아인구 해소는 더 달성하기 어렵게 됐다.

중국과 인도 등 인구대국들의 곡물수요가 경제발전에 따라 급증하는 등 식량문제의 구조적인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이들 나라에서 곡류보다는 고기를 선호하는 식습관 변화에 맞춰, 논밭을 갈아엎고 가축을 기르는 농가가 늘고 있는 것도 식량대란의 요인이다.

수요를 충족하려면 재배면적이 21% 늘어야 한다고 세계적 투자기관인 ING가 밝혔다. 이는 불가능에 가깝다.ING는 곡물가가 2010년까지 3년간 40% 올라 식량대란이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쌀을 증산, 식량대란에 대비해야 한다는 ‘녹색혁명’의 꿈은 이래저래 멀어지기만 한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기사일자 : 2008-01-15    19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