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말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곡물 재고량은 2006년 3억 8882만t, 지난해 3억 3572만t에 이어 올 3억 1916만t으로 떨어질 전망이다.1981년 3만 785t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올 소비량은 지난해에 비해 2.5% 증가, 사상 최대인 20억 9539만t에 이르고 생산은 20억 7883만t으로 4.4% 정도만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재고율은 15.2%에 그쳐 1972∼73년 곡물파동 당시의 15.4%보다도 낮은 사상 최악이다.
고유가는 식량난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대체재인 바이오 연료 개발 붐 탓에 곡물 소비가 더 늘고 있기 때문이다. 친환경을 부르짖지만 곡물을 이용한 연료 생산은 인도주의에 반하는 ‘범죄’라고 규정한 잔 지글러 스위스 제네바대학 사회학과 교수의 경고가 더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 연료 개발은 이미 지구촌에서 대세를 굳힌 분위기다. 양립하기 힘든 기아인구 해소는 더 달성하기 어렵게 됐다.
중국과 인도 등 인구대국들의 곡물수요가 경제발전에 따라 급증하는 등 식량문제의 구조적인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이들 나라에서 곡류보다는 고기를 선호하는 식습관 변화에 맞춰, 논밭을 갈아엎고 가축을 기르는 농가가 늘고 있는 것도 식량대란의 요인이다.
수요를 충족하려면 재배면적이 21% 늘어야 한다고 세계적 투자기관인 ING가 밝혔다. 이는 불가능에 가깝다.ING는 곡물가가 2010년까지 3년간 40% 올라 식량대란이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쌀을 증산, 식량대란에 대비해야 한다는 ‘녹색혁명’의 꿈은 이래저래 멀어지기만 한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