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제라를 부칠 때는 재료를 붓는 속도가 중요한데 이는 빈 공간을 채우다 보면 인제라의 두께가 제 각각이 되기 때문이다. 타닥타닥 소리를 내며 인제라가 익으면 매끄럽던 표면이 해면조직처럼 변한다. 익은 느낌이 들었을 때 살짝 뚜껑을 덮어놓으면 인제라가 완성된다. 옛날에는 우리나라 가마솥 뚜껑 같이 생긴 도구를 이용해 인제라를 만들었는데 요즘 좀 사는 집들은 전기를 이용한 기계로 인제라를 만들고 있다.
|
이렇게 만든 인제라에 에티오피아 사람들은 여러가지를 올려 놓고 싸 먹는다. 무슬림들이 난이라고 생긴 아무 맛도 안 나는 밀가루빵으로 뭔가를 싸 먹는 것처럼 에티오피아 사람들은 이 인제라에 뭔가를 싸서 먹는다. 막 부쳐낸 그대로의 인제라 위에 각 종 소스를 부어 싸 먹기도 하고 야채 같은 걸 올려서 싸 먹기도 한다. 보통은 부쳐낸 인제라를 돌돌 말아서 10센티 정도의 크기로 뚝뚝 잘라 접시에 수북이 담아내는데 그걸 각자의 접시에 가져가 이것저것 싸 먹는다. 인제라와 인제라 사이에 소스를 발라 몇겹으로 만들어 우리나라 시루떡처럼 만들어 그냥 먹기도 한다.
|
|
에티오피아에서는 집이든 식당이든 어딜 가나 인제라를 볼 수 있다. 얼마 전까지 에티오피아의 Dire Dawa(에티오피아의 부산과 같은 곳)라는 곳이 수해 피해가 극심해 BBC와 CNN에서 그 내용을 앞다퉈 보도했었는데 이 곳에 도착하는 구호식품들 중에서 이 인제라를 만날 수가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도식락이나 빵, 우유쯤이 제공될 텐데 여기서는 쟁반에 인제라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소스를 얹어 수재민들에게 나눠주고 있었다. 이 곳의 주식은 빵도 우유도 아닌 인제라기 때문이다.
젓가락과 숟가락을 사용해 밥을 먹는 사람 눈에 이 곳 사람들이 맨 손으로 인제라를 먹는 모습은 참으로 낯설다. 멋지게 잘 차려 입은 사람들이 담소를 나누며 소스로 뒤범벅이 된 손으로 인제라를 먹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 또 매니큐어를 예쁘게 바른 아가씨가 인제라로 접시 바닥을 싹싹 닦아가며 먹는 모습도 상상해 보라. 쟁반 하나에 인제라를 놓고 다 같이 조금씩 찢어가며 이것저것 싸 먹는데 인제라만으로 능숙하게 바닥까지 훑어 먹는 경지에는 오르지 못했다. 소스 같은 걸 인제라에 얹으면 인제라 표면으로 액체 같은 게 스며 흘러 나오는데 그걸 아무렇지도 않게 꼭꼭 저며 에티오피아 사람처럼 먹는다는 게 아직은 어려운 일 중의 하나다.
먹을 때는 왼손이 아니라 오른손을 사용한다. 에티오피아 사람들은 뭔가를 먹을 때 인도 사람들이 그러는 것처럼 오른손을 사용하지만 화장실에서 왼손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화장실에서는 화장지를 사용한다(?)고 한다. 먹을 때 손을 사용하기 때문에 손을 닦을 수 있는 곳은 어디든 쉽게 만날 수가 있다. 그러나 손톱이 길면 인제라를 먹을 때 아주 낭패다. 에티오피아에 갈 계획이 있다면 손톱을 바짝 깎고 가기를 강추한다.
|
저녁에 직접 부쳐낸 인제라를 접시에 올려놨는데 집에서 일하는 친구가 부쳐낸 인제라와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모양도 두께도 고르지가 않다. 그래도 이 곳에서는 너무도 먼 나라, 코리아에서 온 친구가 만든 인제라라고 다들 한마디씩 거들며 맛있게 먹어줬다. 아머세끄날로! (암하릭어로 Thank you!)
<윤오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