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歷史. 文化參考

[스크랩] 고대 7대 불가사의 // 현대 7대 불가사의

鶴山 徐 仁 2006. 8. 10. 09:58
 
고대 7대 불가사의 // 현대 7대 불가사의
 

쿠푸왕의 피라미드는 가운데 보이는 가장 큰 피라미드
기자의 쿠푸왕 피라미드
이집트 기자에 있는 피라미드는 모두 제 4왕조(B.C. 2600 ~ B.C.2480)에 만들어진 것으로 가장 큰 것은 쿠푸왕의 피라미드이다. 높이가 무려 148미터에 이른다고 한다(현재는 137미터).
피라미드를 만드는데 사용된 돌은 무려 230~250만개. 돌 하나당 무게는 2.5톤이나 나간다. 이런 돌로 돌집을 쌓으면 무려 12만명이나 수용할 수가 있다고 함.



바빌론의 공중정원
바빌론의 왕이였던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메디아 왕국의 키약사레스 왕의 딸 아미티스를 왕비로 맞았다.
녹음으로 우거졌던 메디아에서 자란 왕비는 평탄하고 비가 잘 오지 않아 황량한 바빌론으로 시집오자, 항상 아름다운 고향의 푸른 언덕을 그리워하였다.
이 모습을 안타깝게 여긴 왕이 왕비를 위하여 메디아에 있는 어떤 정원보다 아름다운 정원을 만들었다고 한다.

공중정원이라 불리는 이유는 공중에 떠있는 것이 아닌 정원이 높이 솟아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계단식 테라스로 된 노대에 흙과 풀, 수목 등을 심어 멀리서 보면 마치 삼림이 우거진 작은 산처럼 보였다고 한다.



에페수스의 아르테미스 신전

사냥, 다산과 풍요를 가져다 주는 신인 아르테미스를 모시기 위해 에페수스 사람들이 건설한 신전으로 기원전 6세기경에 만들기 시작하여 120년에 걸려 완성되었다.
높이 20미터 정도의 백색의 대리석을 깎아, 127개의 기둥을 이오니아 식으로 세우고 지붕을 이어 만들었다.
하지만 기원전 356년 10월, 헤로스트라투스라는 자가 후세에까지 유명해질 수 있는 일을 찾다가 고의적으로 이 신전에 불을 질렀다(덕분에 후세에까지 이름이 남아있긴 하다).
신전이 불타버리자 에페수 사람들은 재건에 착수하였는데 이때 그 곳에 살던 여인들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보석 등의 귀금속을 팔았고, 각지의 왕들은 기둥을 기증하기도 하였다.
에페수스인들은 복구 사업을 하며 그 당시 가장 훌륭한 아테네의 파르테논 시전보다 2배나 더 크고 아름다운 신전으로 만들려고 마음먹고, 파르테논 신전이 높이 10미터 대리석 기둥 58개를 사용한 점을 감안하여 높이 18미터짜리 기둥을 127개나 사용하여 만들었다.
기원전 250년경에 완성되자 그 규모의 화려함이 전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런데 화려한 신전이 세워지고 그를 보기위해 관광객들과 상인이 몰려들어 영화를 누르던 에페수스시에 기독교의 물결이 밀려왔다.
우상 숭배를 금했던 초기 기독교인들과 에페수스인들과의 마찰은 당연히 일어날 수 밖에 없었고, 사도 바울도 이곳에서 우상 숭배를 하지 말 것을 권유했다고 한다.
하지만 에페수스 사람들은 아르테미스 신전을 고수하였다.
그러나 기원 후 260-268년에 유럽에서 아시아로 이동해온 고트족들에 의해 신전은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상

제우스 신상과 파르테논 신전의 아테네 여신상은 페이디아스의 2대 걸작품으로 꼽힌다.
당대 제일의 조각가 페이디아스가 만든 제우스 신상으로 높이 90cm, 폭이 6.6미터인 받침대 위에 세워져 있는데, 신상의 높이는 무려 12.4m로 천장에 닿아 있었다.
426년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가 이교신전파괴령에 의해 신전이 헐리고, 그 후 지진과 하천의 범람으로 신역이 3-5미터 아래 모래층에 매몰되어 오늘날에는 남아 있지 않다.



지중해 로도스섬의 콜로서스(Colossus)

지중해에 있던 도시연합국가는 로도스섬에서 상업을 번성하고 지중해 유수의 무역중심지로 발전하였다. 이를 마케도니아의 데메트리오스 1세가 함락시키기 위해 로도스를 포위하였는데, 도시연합국가 쪽이 그를 무찔렀다.
그 기념으로 36m짜리 태양의 신 헬리오스의 청동상을 세우게 된다.
알려지기는 한손으로 눈을 가리고 항구 입구에 양다리를 벌리고 서 있었다고 하지만 이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한다.
이 거상은 BC 225년경 지진에 의해 파괴되었다.



마우솔로스 묘

카리아의 통치자 마우솔로스의 무덤으로 그의 누이이자 미망인인 아르테미시아가 BC 353년~351년경에 지었다.
당대 최고의 건축가와 예술가들이 만들었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로는 건축가 피테우스와 예술가 스코파스, 브리악시스, 레오카레스, 티모테우스 등이 있다.
기록에 따르면 거의 정사각형으로 지어진 이 묘는 그 둘레가 125m에 이르렀다고 한다.
훗날 지진으로 파괴된 것으로 보이며 남아있는 돌은 그 지방의 건물을 짓는데 다시 사용된 듯 하다.



알렉산드리아의 파로스 등대

높이 135m의 이 거대한 등대는 세계 모든 등대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다.
프톨레마이오스 2세(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전성기때 왕)의 명령에 의해서 건설되었다.
이 등대의 꼭대기의 전망대에서는 수십킬로미터나 떨어진 지중해를 바라볼 수 있었고 램프의 뒤쪽 반사경으로 비치는 불빛은 43km나 떨어진 바다에서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햇빛을 반사시키면 160km 정도 떨어져 있는 배도 태울 수 있었다고 한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은 기자의 쿠푸왕 피라미드이다.


※ 불가사의?
사실 영문으로 wonder라고 해서 경이로운 건축물을 뜻한다. 하지만 쿠푸왕의 피라미드는 불가사의라 부를만 하다.

쿠푸왕의 피라미드에 신비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사각형의 네 방향이 정확히 동서남북과 일치한다.
<= 충분히 가능한 일이긴 하다.

하지만 각변의 길이 오차가 1/10000 밖에 되지 않는다.
<= 무게 2.5톤이 넘는 거석을 쌓아만든 건축물이 길이 오차가 3/10000 은 현대 기술로도 많은 무리가 따른다(현대의 건설계에서는 2/1000 이하의 오차는 같다라고 본다)

20년간 쌓았다고 본다면 대략 1년에만 10만개의 돌을 쌓아야 한다.
<= 하루 평균 무게 2.5톤의 돌을 오차 3/10000 이하로 270여개나 쌓아야 한다. 이는 밤새 일해도 시간당 11개의 돌을 쌓아야 한다는 것이다. 40년간 쌓았다고 하면 그 반으로 줄어들지만 그렇다고 해도 불가능에 가까운 숫자이다.

지반을 어떻게 다졌을까?
<= 그와 같이 큰 건축물이 들어서려면 당연히 지반을 단단히 다져야 하는데 과연 어떤 방식으로 몇년에 걸쳐서 다졌다는 것인가? 지금도 지상 10m 짜리 건물을 지을때도 한 달은 족히 걸린다(더구나 요즘은 철심을 박고 콘크리트로 마무리하는데도 그렇다).

후대에 만들어진 피라미드는 훼손이 심해 원형을 알아보기 힘든데 오히려 고대 왕조에 만들어진 피라미드가 더 쌩쌩하다.
<= 무엇이 달라서?
 
 

이탈리아의 로마 원형극장


터키의 성소피아 성당


영국의 스톤헨지


중국의 만리장성


이탈리아의 피사의 사탑


이집트의 쿠푸왕 피라미드





나머지 하나는 파로스의 등대, 남아있지 않다.

이 가운데 고대와 현대 둘 모두 꼽히는 불가사의는 쿠푸왕 피라미드와 등대.

남아 있는것은 쿠푸왕의 피라미드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