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정다운
한국 경제가 현재의 생산성을 그대로 유지할 경우 물가를 자극하지 않고 달성 가능한 성장률인 잠재 성장률이 2040년엔 0%로 추락하고, 2040년대 후반부턴 마이너스 성장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전망했다. KDI는 3년 전엔 성장률이 0%가 되는 시점을 2050년으로 예상했는데 10년이나 앞당겨진 것이다.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연 5% 안팎이었지만 20년 만에 2%로 반 토막이 난 데 이어, 계속 떨어져 15년 뒤엔 0%가 된다는 것이다.
잠재성장률의 지속적인 하락은 과도한 기업 규제와 높은 인건비 등 고비용·저효율의 경제 구조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가운데, 저출생·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 구조 변화는 불가항력 요인이지만, 규제 개혁과 신산업 육성, 기업 활동 장려 등의 정책적 노력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 경제 규모가 한국의 15배인 미국의 잠재성장률(2.1%)이 한국보다 더 높은 것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디지털 혁신에 기반한 신산업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KDI는 성장률 0% 추락을 막기 위해선 혁신 기업이 새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규제 개선을 통해 경쟁을 더 촉진하며, 임금 체계 개편과 노동시간 규제를 완화해 생산성을 더 끌어올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오래전부터 거론돼 온 낯익은 처방들이다. 하지만 기득권 이익집단의 저항과 표만 보고 기득권에 영합하는 정치권의 포퓰리즘에 발목 잡혀 왔다. 한국은행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대폭 낮추면서 “이게 현재 우리의 실력”이라고 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그동안 구조 조정도 하지 않고, 새 성장 동력이 될 만한 산업도 키우지 않은 채 기존 산업에만 의존해 왔기 때문”이라고 했다.
‘성장률 0% 사회’가 어떻게 될지는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보면 안다. 우리보다 근대화가 100년 빨랐던 일본은 그동안 벌어 놓은 자산으로 버티지만, 우리나라가 장기 저성장의 늪에 빠지면 어떻게 되겠나. 더 이상 포퓰리즘은 안 된다.
많이 본 뉴스

[광화문·뷰] 늙은 보수가 사는 길 '정치적 사전 증여'
보수당은 청년층의 호감을 얻기 힘들다. 거기에 ‘계엄’을 더하면 ‘극혐’이다. 지난겨울, 그게 뒤집어지는 걸 봤다. 5060 아버지 세...

[사설] 단일화 난장판, 대선 포기하고 당권 투쟁 하나
후보 단일화를 둘러싼 진흙탕 싸움이 도를 넘고 있다. 대선 후보 등록을 불과 이틀 앞두고 국민의힘 지도부와 김문수 후보, 한덕수 무소...

민주당은 국회 법사위에서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정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단독 처리했다. ‘피고인이 대통령에 당...
'政治.社會 關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완진픽] 김문수 '기사회생'..."민심은 천심이다" (0) | 2025.05.11 |
---|---|
"김문수 부활! 한덕수의 결단….윤대통령도 화답했다 (0) | 2025.05.11 |
김문수, 한덕수 단일화 담판 결과는? | 이재명 독재를 막을 비책은 이것이다 / 강대규 변호사 · 홍석준 전 국민의힘 의원 [이것이 뉴스다] (1) | 2025.05.07 |
충격 "수치로 확인됐다" 이재명 대법원 판결 후 여론조사 지각변동 (0) | 2025.05.07 |
대선후보 김문수 확정! (굿바이 한동훈)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