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國際.經濟 關係

[사설] 벌써 대미 수출 14% 격감, "어두운 터널 시작"

鶴山 徐 仁 2025. 4. 22. 11:17

오피니언 사설

[사설] 벌써 대미 수출 14% 격감, "어두운 터널 시작"

조선일보

입력 2025.04.22. 00:25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여파로 4월 1~20일 중 대미 수출액이 14% 이상 급감했다. 사진은 경기 평택항 자동차 전용 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들. 수출 효자 종목인 승용차도 6.5% 감소했다./뉴시스

4월 들어 20일까지 미국에 대한 수출이 작년 동기보다 14.3% 격감했다. 미 트럼프 정부가 모든 수입품에 10% 보편 관세를 일괄 부과하고, 철강·자동차에는 25% 품목 관세를 매긴 결과다. 여기에다 90일간 유예된 국가별 상호 관세와 반도체 품목 관세가 어느 선에서 결정되는냐에 따라 수출 타격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미국발 ‘관세 폭탄’이 한국 경제를 강타하기 시작했다.

주요 수출 품목 중 관세 부과가 유예된 반도체(10.7%)만 증가세를 보였고, 가전(-30%), 컴퓨터 기기(-23%), 석유 제품(-22%), 철강(-8.7%), 자동차(-6.5%), 정밀 기기(-5.9%) 수출이 모두 격감했다. 미국과 함께 우리의 양대 교역국인 대중국 수출도 3.4% 감소해 이중의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수출의 성장 기여도가 95%에 달한다. 경제가 수출 외 바퀴로 굴러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출의 40%를 차지하는 미국·중국의 관세 전쟁은 한국 경제를 위기로 내몰 메가톤급 변수가 아닐 수 없다. 여기에다 트럼프 정부는 한국을 ‘머니 머신’으로 지칭하면서 무역 흑자 축소, 알래스카 LNG 개발 투자, 방위비 추가 분담 등 전방위적 부담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을 말하며 “갑자기 어두운 터널로 들어온 느낌”이라고 했다.

갑갑한 상황이지만, 주어진 조건에서 최적의 해법을 찾을 수밖에 없다. 정부는 오는 24일 시작될 ‘2+2 한미 통상 협의’에서 최선의 결과를 이끌어내야 한다. 이미 협상을 시작한 일본이 ‘협상 타결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대통령 부재 상황에서 협상 타결 시점을 새 정부 출범 이후로 넘기는 것이 지혜로운 대응이 될 수 있다.

기업들은 관세 전쟁 장기화에 대비해 미국·중국 대신 유럽·중동·남미·동남아·인도 등지의 수출 비중을 늘리는 노력을 해야 한다. 아울러 관세전쟁에 비켜나 있으면서 수출 확장 잠재력이 큰 방산·원전·조선 산업을 더 키워 수출 기반을 확대하는 전략을 민관 공동으로 추구할 필요가 있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수출 감소에 따른 성장률 공백을 메울 수 있도록 내수 진작 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펴야 한다.

#사설


많이 본 뉴스

[조형래 칼럼] 험난한 미래를 예고한 국회의 한화 토론회

한화그룹의 방산(防産) 계열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이하 유증)와 관련한 논란이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한화에어로가 국내...


[기자의 시각] 이재명의 '재판 지우기', 망상일까

이재명 전 대표가 공직선거법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뒤로는 민주당에서 이 전 대표의 재판 리스크를 언급하는 사람을 찾아보기 어렵다. ...


[홍성욱의 과학 오디세이] [79] 이공계 안 가는 진짜 이유

중국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이 되면 2000만명의 학생에게 시험을 치르게 해서 0.5%의 영재를 선발한다. 뽑힌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재학...


​鶴山;

대통령 중심제의 자유민주주의 국가 대한민국에서 대통령을 잡아먹고, 대통령 병에 걸린 자들이 우후죽순[雨後竹筍]으로 등장하고, 설마 병에 중병을 앓고 있는 국민들은 이들과 부화뇌동[附和雷同] 해 막장을 벌리고 있으니, 우수한 인재들과 대기업들이 탈출하는 것을 어찌 막을 수가 있으며, 이제 머지않아 꿈이여, 다시 한번을 염원할 테지만, 단지 꿈은 꿈으로 종말을 고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