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人物情報 參考

조정래가 ‘한국의 간디’라 부른 박태준 회장

鶴山 徐 仁 2023. 1. 24. 13:47

조정래가 ‘한국의 간디’라 부른 박태준 회장

 

빠꼼임 2023. 1. 16. 08:41


조정래가 ‘한국의 간디’라 부른 박태준 회장...3가지가 달랐다 [송의달 LIVE]

 

21세기 한국인의 ‘롤 모델’
①짧은 인생을 영원(永遠) 조국에
②천하위공과 멸사봉공
③차원 높은 일본관(日本觀)

 

송의달 에디터


입력 2023.01.15 13:30

 

송의달의 모닝라이브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80902

 

청암(靑巖) 박태준(朴泰俊) 포항제철 회장은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든 국가 건설자(state-maker)입니다. 1927년 경남 동래군에서 태어난 그는 아버지를 따라 6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초중고교를 다녔고 와세다대 공대 2학년 재학 중 해방을 맞아 중퇴·귀국했습니다.

청암 박태준 포항제철(현 포스코) 창업자 겸 회장. 1988년 당시 쇳물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성분을 조정하는 포항제철소 제강 공장의 전로(轉爐)를 배경으로 촬영했다./조선일보DB

 

육사 6기로 임관한 그는 6.25 전쟁 당시 경기 포천지역 1연대 중대장이었습니다. 군에서 충무무공훈장·화랑무공훈장을 받았고 육군대학 수석 졸업 후 최연소 육사 교무처장, 1군 참모장 등을 지냈습니다.

 

◇한국 정·재계의 중심 인물

34세이던 1961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비서실장을 맡은 그는 이후 50년 동안 요직(要職)을 맡았습니다. 육군 소장 예편→대한중석 사장(3년)→포항종합제철 사장·회장(25년)·명예회장→민정당 대표·민자당 최고위원·자민련 총재·4선(選) 국회의원→국무총리….

누가 봐도 한국 현대사에서 ‘권력과 부(富)의 중심에서 누릴 수 있는 걸 다 누린 인생’의 전형입니다. 흔히 부패 인사, 독재자 같은 비난을 받기 십상입니다. 그런데 ‘민족문학작가회의’ 고문을 지낸 좌파 진영 소설가인 조정래씨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박태준은 한국의 간디이다. 나는 그의 이름에 마하트마를 붙여 ‘마하트마 박’으로 부르고 싶다”고 했습니다.(2011년 12월 17일 서울 현충원 영결식장)

20대 장교 시절의 박태준(맨 왼쪽) 모습/조선일보DB

 

한 사람의 일생이 ‘성(聖)스러운’이라는 뜻의 ‘마하트마(Mahatma)’로까지 칭송받는 것은 여간 일이 아닙니다. 박태준 회장(이하 청암으로 호칭)에게 어떤 남다른 측면이 있는 걸까요? 통상대신(通商 大臣) 시절 포항제철을 방문했던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일본 총리의 회고입니다.

“내가 가장 인상 깊게 느낀 것은 종업원들이 너 나 없이 마음으로부터 박태준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감명을 거기서 받았다.”

 

◇용광로 같은 애국심...무사욕(無私慾)

이는 청암이 자신의 좌우명(座右銘), 즉 ‘짧은 인생을 영원(永遠) 조국에’에 지극히 철저해 탁월한 업무 능력과 강력한 도덕성을 갖추고 있었다는 증거입니다.

경북 포항시에 있는 포스코(옛 포항제철) 본사 정문. '유한한 자원을, 무한한 창의로 이겨내자'는 박태준 회장 이래 포스코의 정신적 전통이자 기백이 적혀 있다./조선일보DB

 

그는 실제로 1964년 12월 국영기업체인 대한중석 사장을 맡은지 1년 만에 만년적자(萬年赤字) 회사를 흑자로 전환시켰습니다. 보통 4~5년 걸리는 종합제철소 건설 작업을 제철소 구경조차 한 적 없는 38명과 함께 착공 3년 3개월만에 마쳤습니다.

조업 첫 해인 1973년 포항제철은 매출액 1억달러·순이익 1200만달러를 냈습니다. 가동후 50년 가까이 적자였던 일본 동종 업계와 비교하면 ‘기적’ 같은 일입니다. 포항제철은 세계 철강사에서 제철소 가동 첫해부터 이익을 낸 유일한 기업입니다.

1968년 포항제철소 건설 부지에 100만원을 들여 지은 60평짜리 2층 목조건물 모습. 사막이나 다름없는 황무지에 모랫바람을 맞으며 중장비들과 함께 들어선 모습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의 롬멜 전차군단과 같다고 해서 '롬멜하우스'로 불려졌다./포스코

 

청암은 제철소 공기(工期) 단축을 위해 하루 24시간 작업을 지시해 놓고 자신도 매일 3~4시간 잠 자며 현장을 챙겼습니다. 1968년 포항제철 출범부터 1992년 광양제철소 2기 완공까지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가족과 떨어져 포항 효자동 사택과 회사에서 지내 ‘효자사 주지스님’으로 불렸습니다.

그는 ‘솔선수범’하는 경영자인 동시에 ‘무사욕(無私慾)’의 리더였습니다. 피와 땀을 쏟아 창업하고 성장시킨 포스코에서 25년 만에 물러날 때, 그는 한 주의 공로주(功勞株)는커녕 퇴직금 1원도 거부했습니다. 1988년 포항제철 임직원 1만9419명에게 전체 발행 주식의 10%를 우리 사주(社株)로 배정했을 때도 같았습니다.

명예회장으로 복귀한 뒤 “노후를 생각해 조금이라도 스톡옵션을 받으시라”는 주변의 권유에 그는 “포항제철은 선조(先祖)의 피로 세운 회사이다. 공적인 일을 할 때 사욕(私慾)을 갖지 말라!”고 일갈했습니다.

경북 포항에 있는 포스코 역사관 내부 모습/조선일보DB

 

◇주식·퇴직금 ‘0원’...73세에 전셋살이

“청암의 도덕성은 무서울 정도였다. 그분의 리더십 근간은 청렴결백(淸廉潔白)이었다”(황경로·포스코 2대 회장)는 증언 그대로입니다. 인사 청탁과 금품 주고받기[授受]가 난무하던 1956년 11월, 그는 세칭 ‘노른자위’ 자리인 국방부 인사과장이 됐습니다. 그러나 청암은 유혹 및 압력과 싸우다가 10여개월만에 25사단 참모장 근무를 자원해 갔습니다.

포항제철 사장 시절 아버지가 “문중 사람들을 좀 써주면 안되겠냐”고 하자, 청암은 그대로 방을 나와 회사로 돌아갔습니다. 1962년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준 하사금을 합쳐 서울 북아현동에 집을 마련하기까지 그는 8년 새 15번 전셋집을 전전했습니다. 38년간 살던 집을 2000년에 팔아 생긴 돈 14억 5000만원 중 10억원을 아름다운 재단에 기부하고 73세에 다시 전세살이를 했습니다.

박태준 포항제철 사장이 1970년 2월 초 정치인과 정부 관료들의 정치자금 및 리베이트 상납 요구와 각종 간섭 등을 보고하자, 박정희 대통령이 외압 차단을 약속하며 서명해 써 준 종이. ‘종이마패’로 불렀다./조선일보DB

1992년 10월 3일 개천절, 서울 현충원 박정희 대통령 유택 앞에서 임무완수 '영혼 보고'를 하는 박태준 회장. 그는 1948년 육사 강의실에서 탄도학을 강의하던 박정희 당시 대위와 운명적으로 만났다. 1960년 부산군수기지 사령관 참모장과 국가재건최고위 의장 비서실장으로 인연을 이어갔고 대한중석 사장과 포항제철 사장에 발탁됐다. 1965년 "고속도로를 내가 직접 감독할테니, 종합제철은 임자가 맡아"라는 박정희의 한마디가 철강왕 박태준 쇳물 인생의 시작이었다./포스코

 

그가 사후에 남긴 재산은 전무(全無)했고, 말년에 생활비와 병원비는 자녀 5명(4녀 1남)의 도움으로 해결했습니다. 청암을 다룬 평전 <세계 최고의 철강인 박태준>의 저자인 이대환 작가는 이렇게 평가합니다.

“단군 이래 최대 프로젝트였던 포항제철 25년 동안 박태준은 한 푼의 비자금도 만들지 않았다. 이는 누구도 찬사를 보내지 않을 수 없는, 20세기 후반 한국사에 길이 기록될 업적이다. 이거야말로 박태준의 이름을 포철 용광로만큼이나 칭송(稱頌)해야 할 일이다.”

경북 포항시 포항공대(포스텍) 캠퍼스 내 노벨동산에 세워져 있는 박태준 회장 동상. '강철거인'과 '교육위인'이 새겨져 있다./포스텍

 

◇“천하는 개인 것이 아니다”...‘멸사봉공’

‘천하위공(天下爲公·천하는 개인의 사사로운 소유물이 아니라 모든 이[公]의 것). 이 한 마디는 청암의 생애를 관통하는 또다른 정신적 기둥입니다.

1970년 포항제철에 사상 처음 6000만원의 보험회사 리베이트 자금이 생겼을 때입니다. 청암이 이 돈을 청와대로 들고가 박정희 대통령에게 “포항제철의 예산에서 빼낸 것이 아니고 공돈이니 통치 자금에 보태 쓰시라”고 건네자, 박 대통령은 “임자 마음대로 써라”며 돌려주었습니다.

청암은 그러나 이 돈을 허투루 쓰지 않았습니다. 거기에다 회삿돈을 더 보태 임직원 자녀들을 위한 제철장학회를 세웠습니다. 이렇게 세운 학교만 포항과 광양에 모두 27개입니다. 한국 기업 최초로 임직원 자녀 대상 전액 대학 장학금 제도와 한국 최초의 연구 중심대학(포항공대)은 이렇게 탄생했습니다.

1970년 4월 1일 거행된 포항제철 1기 공사 착공식. 오른쪽부터 김학렬 부총리, 박정희 대통령, 박태준 사장이 버튼을 누르고 있다./조선일보DB

 

국영기업 최고경영자(CEO)로 30여년 재임하는 동안, 청암에게는 고가(高價)의 설비 구매나 원료 도입 결정을 둘러싼 정치 자금 협조와 인사 청탁, 리베이트 요구가 쏟아졌습니다. 하지만 그는 불법 뇌물인 정치 자금을 한 푼도 내지 않고 ‘정치 무풍지대’를 고수했습니다. 이는 최고 권력자인 박정희 대통령의 무한(無限) 신뢰와 청암의 ‘천하위공’ 자세가 어우러진 덕분입니다.

청암이 현실과 적당히 타협했다면, 포항제철은 부실 회사로 추락하거나 지금도 적자를 걱정하는 2~3류 기업으로 머물러 있을 것입니다. 1965년 한일(韓日) 국교 정상화를 하면서 일본으로부터 받은 대일(對日) 청구권 자금 일부로 세운 ‘국민 기업’이라는 칭호도 퇴색했을 게 분명합니다

장교 시절 당번병을 쓰지 않았던 청암은 통행금지를 지키다가 첫 아이를 잃었습니다. 그는 멸사봉공(滅私奉公)과 선공후사(先公後私)를 입으로만 외치지 않고 국제 가격보다 20~40% 저렴하게 양질의 철강 제품을 국내 기업들에 공급하면서 흑자 행진을 이어가는 ‘제철보국(製鐵報國) 경영’에 목숨 걸었습니다.

회사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그는 “우리가 실패하면 조상에게 엄청난 죄를 짓는 것이다. 그러면 모두 ‘우향우(右向右)’해서 영일만 바다에 투신하자”고 외치면서 돌파구를 열었습니다.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에 있는 박태준 포항제철 회장의 묘. 2020년 8월 모습이다./송의달 기자

 

1979년 박정희 서거후 청암은 “포항제철을 정치 외풍에서 지키기 위해” 정치권에 발을 들여놨습니다. 1990년 3당 합당 후 민정계의 수장(首長·최고위원)이 된 그는 김영삼 대통령 후보와의 불화로 1992년 말 민자당 최고위원·포항제철 회장·국회의원직에서 모두 물러났습니다.

 

“너나 없이 돈에 홀려 정신 잃은 세상에서 박태준의 길을 따라가기란 너무 어렵고, 어쩌면 그 분은 이 시대에 마지막 애국자인지 모른다. (중략) 정직·청렴한 그 분을 바로 아는 것은 우리들의 삶을 바르게 세우는 길이다.”

진보좌파 진영의 소설가 조정래씨가 2007년 발간한 박태준 회장 전기(傳記)/조선일보DB

 

◇성숙한 일본관...知日과 用日·克日

청암의 세 번째 남다른 측면은 차원 높고 성숙한 일본관(日本觀)입니다. 일제강점기에 ‘식민지 백성’으로서 일본에서 청소년 시절을 보낸 그에게는 ‘평생 잊지 못할’ 기억 두 개가 있습니다.

이야마 북중학교 1학년때 교내 수영대회에서 1등을 했지만 ‘조선인’이란 이유로 일본인 심판의 편파 판정으로 우승을 빼앗긴 일과 2차 세계대전 종전 무렵 도쿄 시내에 미군의 폭탄이 쏟아지던 날 방공호에서 겪은 일입니다.

“그때 방공호는 질서가 정연했다. 노인들, 특히 할머니들이 나섰다. ‘젊은이는 안으로 들어가라. 위험한 곳은 우리가 막는다. 왜 책을 들고 오지 않았느냐? 젊은이는 책을 펴고 공부해라.’ 방공호 입구에 천막이 쳐지고 젊은이가 모인 제일 안쪽엔 두 개의 촛불이 켜졌다.”

청암은 “1등을 뺐겼을 때 가슴 속이 끓었지만 참고 다스렸다”며 “방공호에서 할머니의 질책을 들었을 땐 식민지 청년으로서 고국(故國)에 대한 책임감에 몸서리쳤다”고 했습니다. 그는 일본이 준 분노는 참고, 감동은 받아들여 조국 재건을 위한 동력으로 삼았습니다.

그의 진면목(眞面目)은 포항제철 건설 자금 마련을 위한 협상에서 드러났습니다. 박정희 정부는 1965년부터 종합제철소 건설을 추진했고, 이듬해 11월 미국·영국·독일 등 5개국 8개 회사 연합체인 대한(對韓)국제제철차관단(KISA·Korea International Steel Associates)이 발족했습니다.

1976년 5월 31일 포항제철 제2고로 화입식(火入式)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박태준 포항제철 사장과 함께 불을 넣고 있다./조선일보DB

 

KISA는 그러나 1969년 상반기 “한국에서 종합제철소 건설은 채산성이 없다”며 ‘최종(最終) 불가(不可)’ 결론을 내리고 붕괴했습니다. 세계은행(IBRD)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한국은 제철소 건립 자금을 모을 방법이 없는 ‘고립무원(孤立無援)’ 처지가 됐습니다.

여기서 청암은 ‘농림수산업 지원 용도’로 정해져 있는 대일(對日) 청구권 자금을 포항제철 건설 자금으로 일부 전용(轉用)하자는 아이디어를 냈고 자신이 ‘해결사’로 나섰습니다. 이 제안에 완강하게 반대하던 오히라 마사요시 대장상(大藏相·우리나라의 기획재정부 장관)을 1969년 8월 1주일 동안 세 차례 만났습니다.

청암은 일본 정부간행물보관소를 찾아가 샅샅이 뒤져 일본 사례를 분석한 뒤 “한국에 제철소를 지으면 일본 안보에 큰 도움된다”는 논리를 설파하며 설득해 냈습니다.

포항제철 건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박태준 회장이 이나야마 일본철강연맹 회장 겸 신일본제철 회장(오른쪽)을 만나고 있다./조선일보DB

 

전 세계가 하나같이 “한국에서 제철 산업은 ‘절대 불가능’하다”고 할 때, “난국에 빠진 조국을 구하겠다”는 청암의 순정하고 강렬한 애국심이 일본 지도층을 감복시킨 것입니다. 그의 완벽한 일본어와 일본인의 문화적 특성과 심리를 꿰뚫는 실력도 이를 뒷받침했습니다.

당시 그를 만났던 후쿠다 다케오 전 일본 총리는 “나는 박태준의 단호함에 너무 놀랐고, 그래서 당신이라면 가능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고 했습니다. 감정적인 반일(反日) 데모가 끊이지 않던 1960~70년대, 청암은 “일본을 알고 일본을 활용해 일본을 극복하자”는 ‘지일(知日)·용일(用日)·극일(克日)’의 3단계 일본 대응을 주창했습니다. 청암은 포항제철의 ‘스승’이던 신일본제철을 1990년대 추월해 그 타당성을 증명해 냈습니다.

포항제철소 모습/조선일보DB

 

불굴의 용기와 투지로 청암이 일궈낸 한·일(韓日) 협력 모델은 대한민국의 진정한 산업화와 선진화를 앞당긴 본격 출발점이었습니다. 현해탄(玄海灘·대한해협) 양쪽에 자유민주·시장경제라는 공통 가치관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일본과 긴밀하게 협조하며 고도성장을 질주했습니다.

 

◇“후세 경영자들에게 살아있는 교본”

1978년 중국의 덩샤오핑이 이나야마 요시히로 신일본제철 회장을 만나 “중국에도 포항제철과 같은 제철소를 지어달라”고 하자, 요시히로 회장은 “중국에는 박태준이 없지 않습니까”라며 정중히 거절했습니다. 이 일화는 박태준이 한국을 넘어 최소한 ‘아시아적 인물’임을 보여줍니다.

그가 세우고 이끈 포항제철은 그의 생전에 품질 경쟁력 세계 1위 철강사가 됐고, 양적으로도 1975년 세계 46위에서 3위(1989년), 1위(1997년)로 급부상했습니다. 그가 없었다면, 한국 조선·자동차·기계·건설 산업의 성장과 대한민국의 경제대국 도약은 한낱 ‘꿈’에 그쳤을 것입니다.

1973년 6월 9일 오전 7시 30분 박태준 사장과 박종태 포항제철소 초대 소장 등 직원들이 제1고로(용광로)에서 사상 첫 쇳물을 뽑는 데 성공하자 다같이 만세를 부르며 환호하고 있다./포스코

 

기술도 자본도 없는 철강 불모지(不毛地)라는 현실에 무릎꿇지 않고, ‘세계 1등’과 ‘초격차 경영’을 이뤄낸 박태준은 “후세 경영자들에게 살아있는 교본”(이병철·삼성그룹 창업주)이며 한국 산업계의 선구자입니다. 그는 1977년 8월 공정률 80%짜리 건물의 부실(不實)을 발견하고 서슴없이 폭파 명령을 내리면서 “조국의 백년대계가 여기서 출발한다. 이것은 폭파가 아니라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는 기폭제다”라고 말했습니다.

1977년 8월 1일 포항제철 3기 공사 중 불량 구조물 폭파 모습/포스코

 

◇“현장의 선비”...10년 후를 내다보라!

선조들의 핏값과 후손들의 미래라는 숭고한 대의(大義)를 잠시도 잊지 않는 청암이었기에 그는 어떠한 부실·부정(不正)·불의(不義)와 거래할 수도, 눈 감을 수도 없었습니다. 송복 연세대 명예교수는 이렇게 말합니다.

“한국의 저명(著名) 인사들은 모두 강당에서의 선비이고, 책 속의 선비, 말 속의 선비였다. 그러나 박태준은 지(志)와 의(義), 그리고 렴(廉)과 애(愛)를 ‘행동’으로 ‘실천’한 ‘현장의 선비’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 보다 돈에 대한 집착과 사익(私益) 추구가 극심합니다. 그래서 국민들은 진짜 사표(師表)이자 롤 모델(role model)이 되는 지도자 출현을 더 목말라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정세와 수십 년된 패러다임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지금, 청암이 평생 붙잡은 4가지 화두는 우리의 앞길을 비춰주는 등불입니다.

①짧은 인생을 영원 조국에 ②절대 절망(絶望)은 없다 ③어디서든 세계 1등이 되자 ④10년 후를 내다보라!

2023년은 마침 대한민국 최초인 포항제철 1고로(高爐·거대한 용광로)에서 쇳물을 처음 쏟아낸 지 반세기(半世紀), 청암이 이 땅을 떠난 지 12년을 각각 맞는 해입니다.

2011년 12월 17일 오전 서울 강남 포스코 본관에서 고(故) 박태준 명예회장 영결식 모습/뉴스1

 

 

※참고한 도서 (저자 이름, 발간 연도)

세계 최고의 철강인 박태준 (이대환, 2004년), 박태준 사상 미래를 열다 (송복 외, 2012), 두 광인 이야기 : 박태준·옥한흠 (유승관, 2013), 박태준이 답이다 (허남정, 2014), 대한민국의 위대한 만남 박정희와 박태준 (이대환, 2015) 등

 

출처: 조정래가 ‘한국의 간디’라 부른 박태준 회장 (tistory.com)

 

조정래가 ‘한국의 간디’라 부른 박태준 회장

조정래가 ‘한국의 간디’라 부른 박태준 회장...3가지가 달랐다 [송의달 LIVE] 21세기 한국인의 ‘롤 모델’ ①짧은 인생을 영원(永遠) 조국에 ②천하위공과 멸사봉공 ③차원 높은 일본관(日本觀)

yiiksoo.tistory.com


鶴山 ;

현재 한국 사회에서 활개를 치고 있는 정치꾼을 비롯한 각계의 인사들은 고 박태준 회장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을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