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진흥재단 “비인증 박사 1000여명”
특히 교육인적자원부 산하 학술진흥재단이 “자체 검증 결과 3만 1387명(지난해 말 기준)의 해외 박사학위 신고자 가운데 1000여명이 미국 비인가 대학에서 학위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혀 파장이 확산될 조짐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는 24일 “학술진흥재단으로부터 2002년 이후 해외 미인가 대학에서 학위를 받은 100여명의 명단을 넘겨받아 검토작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서울 서부지검도 이날 신정아(35) 전 동국대 교수의 학력 위조 사건과 관련, 변양균 청와대 정책실장의 개입 여부를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김옥랑(62) 동숭아트센터 대표를 불러 조사했으며 업무방해 혐의 등으로 사법처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회유했다’ vs ‘개입한 사실 없다’
조선일보는 신씨의 학력 위조 논란이 불거진 지난 7월 초 변 실장이 신씨의 학력 위조 문제를 제기했던 장윤(전 동국대 이사·현 전등사 주지) 스님에게 두 차례 전화를 걸고 직접 만나 ‘더 이상 문제삼지 말라.’고 회유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변 실장은 “장윤 스님과는 지난 5월 지인의 소개로 처음 만났고 동국대 문제와 전등사 정책 민원 등으로 지난달 프라자호텔에서 만나는 등 두 번 만난 것이 전부”라고 말했다. 청와대내 불자모임 ‘청불회’ 회장인 그는 “신씨의 가짜 학위 문제에 개입하거나 회유한 사실이 없다.”는 입장을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밝혔다. 변 실장은 ‘과테말라에서 장윤 스님에게 국제전화를 걸었다.’는 보도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하고 “전시회 등에서 신씨를 알게 됐지만 개인적 친분은 없으며, 이 문제와 관련해 어떠한 연락이나 부탁을 받은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파문이 확산되자 장윤 스님은 이날 아침 전등사를 떠나 휴대전화를 꺼놓은 채 외부와 접촉을 끊은 상태다.
●신씨 비호 ‘보이지 않는 손’ 있나?
신씨가 동국대 조교수로 임용된 2005년 9월부터 그의 배후에 거물급 인사가 있다는 소문이 학교 안팎과 미술계에 파다했다.
임용택(법명 영배) 이사장과 홍기삼 당시 동국대 총장이 교수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임용을 강행했기 때문이다.
이후 신씨는 교수들의 반발로 사표를 냈지만, 대학측은 6개월을 휴직시킨 뒤 2006년 3월 교양교육원 소속으로 발령을 냈다.
신씨의 뒤를 봐주는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소문은 7월 초 그가 광주비엔날레 공동예술감독에 선임되자 걷잡을 수 없이 증폭됐다. 선임 과정에서도 재단 이사장이 유력 후보들을 제치고 신씨를 낙점하는 등 석연치 않았기 때문이다. 일부에선 재단내 소수파였던 장윤 스님의 잇따른 비판으로 골머리를 앓던 동국대 측의 요청으로 유력 인사들이 무마에 나섰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정상명 검찰총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의혹이 제기된 학력위조 인사들에 대해 검찰이 폭넓게 내사를 하고 있지만 무차별적으로 소환해 조사하지는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박찬구 임일영기자 ckpar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