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유럽 아프리카

(12) 암하라주(州) 기행 ① 리틀 차이나 바하르다르

鶴山 徐 仁 2007. 2. 25. 09:12

 

에티오피아는 수도 아디스 아바바(Addis Ababa)와 9개주로 구성된 연방 민주공화국(The 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으로, 9개주는 대부분 에티오피아를 구성하는 80여개의 종족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람들의 거주지로 나누어져 있다. 티그레이족이 많이 사는 티그레이(Tigray), 소말리족이 많이 사는 소말리(Somali), 오로모족이 많이 사는 오로미아(Oromia) 등이 그것이다. 그 중에서 바하르다르(Bahardahr)는 암하라(Amhara)의 수도로, 암하라는 에티오피아 전체 인구 중 오로모족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암하라족의 주 거주지역이다. 현재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인 암하릭어(Amharic)는 바로 암하라족의 언어로, 바하르다르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바로 표준 암하릭어라고 할 수 있다. 아디스 아바바의 경우 지방에서 올라 온 사람들이 워낙 많기 때문에 같은 것을 지칭하는 데도 발음들이 제각각이다.

▲ 바하르다르 시내의 자전거 판매소. 자전거는 전량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고 새 자전거 한 대는 현지 돈으로 1,000birr 정도.

바하르다르에 도착한 후 가장 놀랐던 것은 바로 자전거 행렬이었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의 피부색은 까맣지만 문득 중국에 와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 정도였다. 아디스 아바바의 경우 수도이긴 하지만 도로 포장 상태가 썩 좋지 않고, 평균 해발 고도가 2,300m 정도의 고지대라서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이용하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그러나 바하르다르의 경우 대부분 평지로 이루어져 있어 이 길을 자전거가 누비고 있었다. 게다가 자전거를 팔고 또 자전거를 수리하는 장소도 눈에 많이 띄었다. 이곳에서 만난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봉사단원이나 일본국제청년협력대(JICA) 단원도 출퇴근을 전부 자전거로 하고 있었다.

▲ 중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삼륜차. 에티오피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풍경이다. 뒤쪽에 짓고 있는 건물을 보면 비계를 아직도 나무로 사용하고 있다.

▲ 바하르다르 최대의 재래시장. 지붕은 엉성하지만 품목별로 판매구역이 나누어져 있다. 소매치기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가방 단속에 주의할 것.

▲ 잘 정돈된 바하르다르 시내. 지대가 낮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현재 자전거는 전량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었고, 새 자전거 한 대는 현지 돈으로 1,000birr(1USD≒8.67birr) 정도였다. 기계 정비공이 한 달 풀타임으로 일할 경우 800birr 정도를 월급으로 받는다고 하는데, 현지 물가를 고려했을 때 자전거 한 대에 1,000birr면 그리 싼 편은 아니다. 모든 자전거에는 중국처럼 번호판이 부착되어 있었다.

중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삼륜차를 만난 후 바하르다르는 아프리카에 있는 어떤 도시라기보다는 중국의 축소판 도시라는 생각이 들었다. 바하르다르에 딱 두 개가 있는 재래시장에는 질 낮은 중국산 제품이 즐비했다. 게다가 중국 정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많기 때문에 중국인이 엄청 많이 유입되고 있었다. 사람이 가면 문화도 따라가는 법. 현재 아프리카 대륙 전체가 그렇지만 바하르다르에서도 역시 중국이 아시아 문화를 대표하고 있었다.

 

 

 

<윤오순>

기사일자 : 2006-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