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비교. 통계자료

작년 소득 양극화 사상 최악

鶴山 徐 仁 2007. 2. 6. 20:04

 

소득 상위층과 하위층의 빈부격차가 벌어져 양극화가 더욱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06년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소득이 높은 상위 20%(5분위) 가구의 월 평균 소득은 634만원으로 소득이 낮은 하위 20%(1분위)가구의 83만원보다 7.64배 많았다.

이 같은 소득 격차는 1년새 0.08포인트 증가한 것으로,2003년 이후 가장 많이 벌어졌다.

소득 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지니계수도 나빠졌다.2003년 이후 계속 높아져 지난해엔 0.351로 최악의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지난해 종부세 대상 확대와 재산세 증가로 우리나라의 가구당 세금 부담이 1년새 14%나 늘어났다.

도시 근로자의 경우 주거비 부담이 13.3%나 증가했다. 전국가구 월평균 소득은 300만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전국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212만원으로 2005년보다 4.2% 늘었다.

이 가운데 가구당 월 평균 세금 지출은 8만 7100원으로 전년에 비해 무려 14.1% 급증했다. 이는 전년의 세금 부담 증가율 3.3%의 4배를 넘는 수치다.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이 주택 공시가 기준 9억원 초과에서 6억원 초과로 확대되고 부과 기준도 가구별 합산으로 바뀐 결과로 풀이된다. 재산세도 18.2%나 더 걷혔다.

게다가 교육비 지출도 1년새 5.2% 늘어,2005년 증가율 4.5%보다 악화됐다. 유학비 등을 포함한 사적송금도 월평균 12만 4300원으로 13.3% 증가했다. 공적연금과 사회보험도 각각 7.6%,8.2%씩 증가했다. 국민연금 가입자가 늘어난데다 건강보험의 요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조세 지출도 10만 7000원에서 12만 1000원으로 13.4%나 뛰었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경우 주거비 부담이 갈수록 가계를 압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영표기자 tomcat@seoul.co.kr

기사일자 : 2007-02-07    1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