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따라서 존재는 명사로 지칭될 수 있는 고체처럼 딱딱한 단독개념이 아니라, 관계의 설정으로 무수히 많은 다른 것들이 들락날락거리는 유연한 해면체의 삼투작용과 비슷한 공동의 존재방식을 지니고 있는 것이 된다.‘나무’의 존재도 많은 다른 것들과의 상관관계요, 심지어 ‘나’라는 존재도 내가 만난 무수한 인연들이 남긴 흔적들이 공존하는 세계다. 우리가 ‘나무’나 ‘나’라는 개념을 사용하지만, 사실 그 개념들은 편의상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편이지 실상을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실상은 아주 복잡한 관계의 총화다. 이 복잡한 관계의 총화를 불교에서 연기라 부른다.
제2의 붓다라고 불리어지는 인도의 고승(2~3세기) 용수(龍樹=나가르주나)의 유명한 저서 ‘중론’에 이 연기법의 의미가 먼저 나온다. 연기의 존재방식은 ‘생기하는 것도 아니고 소멸하는 것도 아니고, 영원한 실체도 아니고 영원한 허무도 아니고, 동일한 것도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니고, 오는 것도 아니고 가는 것도 아니다.’라고 해석되어 있다. 이 우주의 일체적 존재방식은 서로 그물 망처럼 상응해서 짜여진 상호관계 속에서 생기하면서 동시에 사라지고, 항상 있거나 항상 없는 것도 아니므로 존재하고 동시에 없어지는 이중성을 정시하고 있고, 계속 동일한 존재방식을 유지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서로 아주 다른 존재방식을 나타내는 것도 아니다. 또 새 것이 오면서 헌 것이 가는 신진대사를 중단 없이 행하고 있지만, 우주의 존재방식은 오는 새 것이 가는 헌 것과 얽히고설켜 공존하기에 무엇이 가고 무엇이 오는지 정확히 분별되지 않는다. 그래서 오는 것도 가는 것도 아니라고 용수가 말했겠다. 연기의 존재방식은 생/멸(生/滅=생기/소멸)과 상/단(常/斷=실체/허무)과 동/이(同/異=같음/다름)와 내/거(來/去=옴/감)를 택일적으로나 분별적으로 말할 수 없는 반(反)개념적 사유를 지니고 있다. 반개념적 사유는 어느 것에 얽매이거나 집착하지 않는 사유를 의미한다. 심지어 어떤 것이 진리라 할지라도, 그 진리라는 것에 얽매이고 집착하면, 그것은 진리가 아니고 인간을 미망으로 빠뜨리는 마군(魔軍)이 된다. 진리도 자기의 이면에 악마성을 숨기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것이 이 우주적 도의 본질이고, 그 본질이 무의식적이므로 인간의 의식은 이것을 보지 못한다.
용수는 이 도를 공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그는 연기법의 존재가 곧 공과 다른 것이 아니라고 설법했다. 공은 유/무를 택일적으로 선택하거나 그 둘을 변증법적으로 통일시키는 것도 아니다. 공은 유/무를 비동시적 동시성으로 동봉시키고 있다. 이 비동시적 동시성의 의미를 나는 이미 중국 화엄학의 대가인 현수법장 스님(7세기)의 ‘화엄금사자장’의 글을 인용하면서 설명한 적이 있었다(30회 글). 황금사자상이 사자라고 생각하면, 황금이라는 생각은 약간 후퇴하여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것이 황금이라 여기면, 사자라는 생각이 숨어 버리게 된다. 황금과 사자는 동시에 공존해 있지만, 생각은 비동시적으로 나타난다. 유/무도 이와 같다고 볼 수 있다. 가을 하늘에 떠 있는 뭉게구름은 높푸른 하늘의 허허로움을 바탕으로 나타나 있지만, 구름에 눈이 가면 허공은 뒤로 숨고, 허공에 마음이 가면 구름은 약간 뒤로 물러앉는다. 이것을 우리는 유/무의 비동시적 동시성을 동봉한 의미로서의 공이라 불러도 되겠다. 그러므로 사실상 공은 유/무를 다 동봉한 의미로서 유는 무로부터 나타난 무의 욕망과 같은 현상이고, 무는 유가 항상 있는 존재자로서의 실체처럼 고착될까봐 무로 사라지는 은적의 의미를 말한다. 존재자는 하이데거가 말한 용어인데, 그것은 존재가 연기법처럼 이해되지 못하고 실체처럼 단독명사로서 고착되는 개념화와 같다. 존재가 항상 있는 실체적 존재자로 간주되면, 사람들은 존재를 소유물처럼 생각하게 된다. 왜냐하면 항상 존재하는 것(존재자)들을 사람들은 자기 것으로 장악하려는 탐욕을 의식에서 표출시키기 때문이다.
이 공사상은 의식철학으로 잘 이해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의식철학은 논리적 자아의 힘인 지성의 보편성으로 세상의 모든 것을 다 장악하고 지배하는 주인의 위치를 고수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신의 지성이 우주를 창조했을 때에, 무로부터 유를 있게 했다고 한다. 창조는 무를 부정하여 유를 있게 하는 행위이므로 그 창조론은 무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의식철학에서 무는 존재의 결핍인 악과 동의어로 취급된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사상에 의하면 무를 배제한 의식의 철학은 유(존재)를 필연적으로 존재자로 인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 철학에서 무는 유와 동거할 수 없는 유의 파괴자처럼 간주되고, 유는 무와 싸워 승리해야 하는 의지로 여겨지므로 유는 무와 다른 ‘어떤 것’으로서의 자기동일성을 단단히 무장한 존재자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자기동일성으로 무장된 유는 위에서 지적된 해면체처럼 우주의 모든 것과 삼투작용을 하면서 일체감을 느끼는 공동존재방식이 아니다. 그래서 존재자는 존재와 다르다. 의식은 자의식이고 그 자의식의 철학은 존재자의 철학이다. 이것이 소유의 철학을 필연적으로 부른다.
중국 선종의 3대 조사인 승찬대사(6세기)는 그의 ‘신심명’에서 ‘유(존재)가 곧 무고, 무가 곧 유’라고 언명했다. 이것을 풀이하면 유는 무의 욕망이고, 무는 유의 은적과 같다는 뜻이겠다. 무는 허무가 아니고 고갈되지 않는 무한대의 기(氣)의 힘을 말한다. 무한대의 기는 자신을 표현하는 욕망과 같다. 무의 욕망은 자아의 욕망과 다르다. 자아의 욕망은 자아의 이기적 소유를 위한 탐욕을 말하지만, 무의 욕망은 세상에 한없이 일체로서의 공동존재의 기쁨을 보시하고픈 증여 자체다. 그 욕망을 우리는 그동안 소유론적 욕망과 구별된 존재론적 욕망이라 불렀다. 유가 무의 욕망이라면, 무는 유의 은적이다. 은적은 숨는 것이다. 왜 숨나? 존재(유)가 때가 되어 무로 숨지 않으면, 그 존재는 자기동일성의 강한 성채를 지어서 존재자적인 소유물로 모두 미끄러지기 때문이다. 예컨대 인간에게 죽음이 없다면, 인생은 존재론적인 사유로 이해되지 않고 전적으로 소유론적 탐욕으로 가득 차게 되리라. 그때에 세상은 끝 모를 소유의 투기장으로 변할 것이다. 그것이 지옥이다. 죽음은 인간에게 무를 삶의 한복판에서 생각케 하는 양약이다.
유/무를 동시적으로 동봉하고 있는 공사상은 탐욕의 병을 씻게 해주는 양약이다. 탐욕이 왕성하다고 국민 각자가 부자가 되는 것도 아니고, 나라가 강해지는 것도 아니다. 지금 한국인은 치유하기 힘든 탐욕의 병을 앓고 있다. 특히 각계각층의 지도층의 탐욕은 도를 넘치고 있다고 여겨진다. 그들의 세속적 탐욕을 그들은 그럴싸한 명분으로 치장한다. 그 위선의 껍데기를 벗겨내야 한다. 탐욕이 곧 성공의 길이 아니기에 탐욕스러운 사람들은 사기를 친다. 사기가 도처에 판친다. 마음을 비운 사람이 사업을 해야 망하지 않고 부자 기업을 일으키고, 마음을 비운 사람이 정치를 해야 입으로만 떠드는 허상의 명분이 아니라 국민의 괴로움을 실질적으로 더는 실상(實相)의 정치인 지혜의 방편을 찾아낼 수 있고, 마음을 비운 사람이 교육을 해야 유치한 이념의 노예나 개인출세의 탐욕으로 교육을 망가뜨리지 않고 진실로 2세 국민을 훌륭히 키울 수 있다. 또 마음을 비운 사람이 장군이 되어야 호국의 간성인 강병을 육성할 수 있다. 국민의 마음을 어떻게 다 비우게 할 수 있는가? 그것은 부지하세월(不知何歲月)이다. 가장 빠른 효과의 길은 지도층이 솔선수범하는 길이다. 옛 신라가 삼국 중에서 가장 후진국이었는데, 지도층의 솔선수범으로 통일의 길로 나갈 수 있었다. 공은 마음을 비우는 무욕이라고 보통 생각한다. 그러나 그 무욕은 사리사욕을 없애는 것이지, 힘을 지우는 것은 아니다. 공에서 무욕의 힘이 솟는다. 그 힘을 나는 무의 욕망이라 불렀다. 무의 욕망은 일체를 이롭게 하고 복되게 하는 무사심의 존재론적 욕망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철학